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04/2025 수요일
그것은 두려운 일
창세기에 사라와 사별한 아브라함이 그의 감정을 쏟아내는 장면이 나옵니다. “아브라함이 들어가서 사라를 위하여 슬퍼하며 애통하였다”(23:2). 성경에서 가장 기억될 만한 인물 중의 하나인 아브라함의 신실한 아내 사라를 잃은 슬픔이 가득한 이야기가 그 장에서 아름답게 펼쳐집니다. 사라는 늙은 여인이 엄마가 될 것이라는 말에 웃었지만(18:11-12) 이삭이 태어날 때는 고통 으로 울었습니다.
우리는 “예수께서 눈물을 흘리시더라”(요한복음 11:35)라고 한, 그 선명 하고 인간미 가득한 요한복음의 한 구절을 매우 사랑합니다. 나사로의 무덤에서 메시아가 흘린 눈물은 예수님의 상실의 아픔을 그대로 보여주었습니다. 사랑하는 것은 참으로 두려운 일입니다. 할레비 시인은 사랑을 가리켜 “어리석은 자들이 하는 것”이라고 하면서도, 또한 “거룩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것은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안에 감추어진”(골로새서 3:3) 믿음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특히 그렇습니다.
우리는 배우자로부터 자녀, 부모, 친구, 반려동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사랑하고 또 잃습니다. 그럴 때 “고통 속의 기쁨”으로 우는 것은 너무도 인간적인 모습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믿는 우리에게 슬픔은 하룻밤으로 족합니다. 다윗은 “저녁에는 울음이 깃들일지라도 아침에는 기쁨이 오리로다”(시편 30:5) 라고 기록하였습니다.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지금까지 우리를 희망 없이 버려두신 적이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23:1-4, 17-20아브라함이 들어가서 사라를 위하여 슬퍼하며 애통하다가 [창세기 23:2]
당신의 사랑하는 능력에 영향을 끼친 것이 무엇입니까? 당신은 마지막으로 누구를 위해 울었습니까? 왜 그랬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에게 사랑할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06/04/2025 WEDNESDAY
’TIS A FEARFUL THING
In Genesis, an outpouring of emotion occurred when Abraham lost Sarah in death. “Abraham went to mourn for Sarah and to weep over her” (23:2). The chapter unfolds the beautiful, griefheavy story of the loss of one of Scripture’s most memorable characters: Sarah, the faithful wife of Abraham, that old woman who laughed at the news she’d be a mother (18:11-12) but cried in pain as Isaac made his way into this world.
We make much of that crisp, humanity-rich verse in John’s gospel: “Jesus wept” (JOHN 11:35). The Messiah’s tears at the tomb of Lazarus emphasized Jesus’ loss. To love is indeed a fearful thing. The poet Halevi calls it “a thing for fools,” yet he follows by also naming it “a holy thing,” which it is, especially for those whose faith is “hidden with Christ in God” (COLOSSIANS 3:3).
We love and lose everything from spouses to children to parents to friends to pets, and weeping with “painful joy” is oh so human. Yet for the believer in Jesus, our weeping only lasts for the proverbial night. As David wrote, “Weeping may stay for the night, but rejoicing comes in the morning” (PSALM 30:5). Our Father hasn’t left us bereft of hope.
JOHN BLASE
Today's Reading
GENESIS 23:1-4, 17-20Abraham went to mourn for Sarah and to weep over her. [ GENESIS 23:2 ]
What has affected your ability to love? Who is the last person you wept over and why?
Dear Father, please grant me the courage to love.
오늘의 말씀
06/03/2025 화요일
흔들리지 않는 믿음
삶이 불확실할 때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마음이 무뎌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다른 것이나 우리 자신을 포함한 사람들을 믿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지만, 우리는 “구원의 반석”(시편 95:1)이신 하나님을 의지할 수 있습니다. “구원의 반석”은 변함없으신 하나님의 성품을 보여주는 말입니다. “땅의 깊은 곳이 그의 손 안에 있으며 산들의 높은 곳도 그의 것이로다 바다도 그의 것이라 그가 만드셨고 육지도 그의 손이 지으셨도다”(4-5절).
우리는 “우리를 지으신 여호와”(6절)를 경배하며 흔들림 없는 믿음으로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우리와 우리가 사랑하는 이들과 늘 함께 하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의 손이 돌보시는 양”(7 절)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5:1-7그는 우리의 하나님이시요 우리는 그가 가르치는 백성이며 그의 손이 돌보시는 양이기 때문이라 [시편 95:7]
당신이 무력함을 느낄 때 하나님은 어떻게 그분이 당신과 당신이 사랑하는 이들을 돌보아 주신다는 것을 보여주셨습니까? 하나님의 변함없는 성품을 알게 되면 하나님을 약속을 지키시는 분으로 는데 어떤 도움이 됩니까?
위대하신 하나님, 저를 돌보아 주신다고 약속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3/2025 TUESDAY
UNBROKEN FAITH
Uncertainties in life can harden our hearts toward God. We may be tempted to place our faith in other things or people, including ourselves. We can, however, depend on “the Rock of our salvation” (PSALM 95:1)—a phrase that points to the certainty of God’s character. “In his hand are the depths of the earth, and the mountain peaks belong to him. The sea is his, for he made it, and his hands formed the dry land” (VV. 4-5).
We can live with unbroken faith, worshiping our “Lord our Maker” (V. 6). We can trust Him to be with us and those we love because we’re “the flock under his care” (V. 7).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95:1-7He is our God and we are the people of his pasture, the flock under his care. [ PSALM 95:7 ]
How has God shown that He cares for you and your loved ones when you’ve felt helpless? How does knowing the certainty of His character help you trust Him as a promise keeper?
Great God, thank You for promising to care for me.
오늘의 말씀
06/02/2025 월요일
패배를 통한 승리
와드와의 관점은 바울이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을 경주에 비유해 설명한 두 구절(고린도전서 9:24-27과 빌립보서 3:12-14)의 이야기를 새로운 안목으로 보게 합니다. 바울은 이 두 경우에서 믿는 사람들은 그리스도와 복음을 전력을 다해 좇아야 하며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빌립보서 3:13), 그리고 “상을 받도록 이와 같이”(고린도전서 9:24) 달려가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역설적인 사실은 우리가 힘을 다해 복음을 충실히 전하고(23절) 그리스도를 알아간다(빌립보서 3:8) 하더라도 우리가 성취했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항상 부족할 것이며, 결코 “온전히 이루었다”(12절)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괜찮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께 계속 더 가까이 나아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직 하나님의 권능으로 우리는 힘과 마음의 동력을 얻어 언젠가 우리를 승리로 이끄실 하나님을 온 마음 다해 좇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9:19-27너희도 상을 받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 [고린도전서 9:24]
당신은 어떻게 부족함을 통해 성장을 경험했습니까?
부족할 때 어떻게 더 예수님을 의지하게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감사합니다. 제가 부족해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음은 하나님께서 제가 부족함으로 언제나 하나님께 더 가까이 가게 하시기 때문입니다.
Daily Article
06/02/2025 MONDAY
WINNING BY LOSING
Wadhwa’s perspective gives fresh insight into Paul’s analogy used in two passages that compare following Christ to running a race: 1 Corinthians 9:24-27 and Philippians 3:12-14. In both instances, Paul emphasizes that believers ought to give their pursuit of Christ and the gospel their all, “straining toward what is ahead” (PHILIPPIANS 3:13) and running “in such a way as to get the prize” (1 CORINTHIANS 9:24).
The paradoxical truth is that what we’re striving for—faithfully sharing the gospel (V. 23) and knowing Christ (PHILIPPIANS 3:8)—aren’t things we can ever say we’ve achieved. We’ll always fall short. We’ll never be able to say we’ve “already arrived” (V. 12).
But that’s okay—because it’s the experience of drawing ever closer to Christ that matters. It’s only His strength that empowers and motivates us to pour our whole hearts into pursuing Him—the one who will one day carry us to victory.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9:19-27Run in such a way as to get the prize. [ 1 CORINTHIANS 9:24 ]
How have you experienced growth through falling short?
How can falling short encourage you to rely on Christ?
Dear God, thank You that I don’t need to fear falling short, but that You use these moments to continually draw me closer to You.
오늘의 말씀
06/01/2025 주일
사려 깊은 우리 하나님
그 말을 듣는 순간 나는 죄책감이 들었습니다. 오랜 세월 친구로 지내온 그가 다쳐서 움직이지 못하고 감각까지 없어진 것을 미처 몰랐던 것입니다. 내가 그의 입장에서 그의 처지와 다친 상처를 보았다면 매일 직면하는 그의 문제들을 더 잘 이해했을 텐데 그러지 못한 것이 부끄러웠습니다.
내가 친구에 대해 사려 깊지 못했던 것을 돌아보니 유다 왕 히스기야가 한 일이 떠오릅니다. 이사야 선지자가 히스기야에게 그의 궁전의 모든 것이 언젠가 “바벨론으로 옮겨질 것”이며, 그의 후손들이 “사로잡혀 갈 것”이라 하는 말을 듣고(열왕기하 20:17-18) 그는 ‘기뻐’했습니다. “히스기야는 자기가 살아 있는 동안만이라도 평화와 안정이 계속된다면, 그것만으로도 다행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19절, 현대인의 성경). 히스기야는 선한 왕이었지만 다른 사람들이 겪을 일보다 자기 자신을 더 많이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정말 다르십니다. 요한은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그 아들을 보내어” 우리를 구원하셨다고 기록했습니다(요한1서 4:10). 우리를 진실로 깊이 사랑 하시는 하나님은 우리를 위해 고난을 당하셨고, 그래서 우리는 그의 사랑 안에서 영원히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20:12-19만일 내가 사는 날에 태평과 진실이 있을진대 어찌 선하지 아니하리요 [열왕기하 20:19]
사려 깊은 하나님의 모습이 어떤 의미로 다가옵니까? 오늘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생각하며 돌아볼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생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저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흘러가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6/01/2025 SUNDAY
OUR THOUGHTFUL GOD
As soon as he said it, I felt convicted. During all the years I’d known him as a friend, I’d been unaware that his injury prevented both his mobility and ability to feel. I was embarrassed that I hadn’t had more empathy for him and his injury to better understand what he faced daily.
My lack of thoughtfulness about my friend reminds me of something King Hezekiah of Judah did. When the prophet Isaiah told him that everything in his palace would one day “be carried off to Babylon,” and his own descendants “taken away” (2 KINGS 20:17-18), Hezekiah was pleased. “For he thought, ‘Will there not be peace and security in my lifetime?’ ” (V. 19). Even though he was a good king, Hezekiah was focused more on himself than on what others would face.
How different is God. “This is love,” John wrote, “not that we loved God, but that he loved us and sent his Son” to save us (1 JOHN 4:10). God cares so deeply for us that He suffered for us, so that we might live in His love forever.
JAMES BANKS
Today's Reading
2 KINGS 20:12-19Will there not be peace and security in my lifetime? [ 2 KINGS 20:19 ]
What does God’s thoughtfulness mean to you? How might you think of others today?
Thank You for thinking of me, dear God. Please let Your love flow through me to others.
오늘의 말씀
05/31/2025 토요일
하나님이 가장 잘 아신다
나중에 한 의사가 우리에게 “그 자연 치료 요법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을 겁니다.”라고 말해주었습니다. 내 조카의 건강에 관해서는 조카의 엄마인 내 동생이 자기 딸에게 무엇이 가장 좋을지 정말 잘 알고 있습니다. 엄마가 아닌 나로서는 알 수 없는 방식으로 말입니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걱정하며 내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도와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할 때에 이 경우를 떠올립니다. 그들을 사랑하시고 나보다 그들을 훨씬 더 잘 아시는 하나님께서 무엇이 최선인지 잘 아신다고 생각합니다.
이사야 55장 9절에서 하나님은 “하늘이 땅보다 높음 같이 내 길은 너희의 길보다 높다”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에서 ‘길(데렠)’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단어는 악한 자들의 행동과 대치되는 하나님의 도덕적인 행위입니다. 하나님의 지혜와 의로운 길은 우리의 그것보다 훨씬 높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삶에 일어나는 일이 우리가 원하는 바가 아닐 수도 있지만, 하나님은 그분이 보시기에 가장 좋은 방식으로 그들의 삶 속에서 일하신다는 것을 우리는 믿을 수 있습니다.
“[우리] 구할 것을 하나님께”(빌립보서 4:6) 구하면서 사랑하는 사람들을 하나님께 계속 맡겨 드리도록 합시다. 사랑과 자비, 지혜, 통치에 있어서 완전하신 분은 오직 하나님 한 분뿐입니다(이사야 55:3, 7-11).
오늘의 성구
이사야 55:6-11내 길은 너희의 길보다 높으며
[이사야 55:9]
사랑하는 사람을 위한 어떤 근심이 있습니까? 상황에 관한 당신의 지식을 어떻게 하나님의 지혜 앞에 굴복시킬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사랑하는 사람들을 하나님의 돌보심에 의탁합니다. 하나님만이 그들에게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 아십니다.
Daily Article
05/31/2025 SATURDAY
GOD KNOWS BEST
Later, a doctor told us, “That natural remedy would’ve caused a strong allergic reaction.” When it comes to my niece’s welfare, her mom truly knows what’s best for her—in ways that I don’t.
I remember this incident when I’m anxious about other loved ones, asking God to help them the way I think they should be helped. I remember that God, who loves them and knows them far better than I do, knows best.
In Isaiah 55:9, God says, “As the heavens are higher than the earth, so are my ways higher than your ways.” The Hebrew word here for ways (derek) refers to the moral actions and behavior of God contrasted with that of wicked people. God’s wisdom and righteous ways are far above ours. What happens in a loved one’s life may not be what we want, but we can trust Him to work in their lives as He sees best.
Let’s keep entrusting those we love to God by presenting “[our] requests to God” (PHILIPPIANS 4:6). He alone is perfect in love, mercy, wisdom, and sovereignty (ISAIAH 55:3, 7-11).
KAREN HUANG
Today's Reading
ISAIAH 55:6-11My ways [are] higher than your ways. [ ISAIAH 55:9 ]
What concerns do you have for a loved one? How can you surrender you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to God’s wisdom?
Dear God, I entrust my loved ones into Your care. You alone know what’s best for them.
오늘의 말씀
05/30/2025 금요일
깊음 속에서
깊음, 당신도 아마 그것을 경험했을지 모릅니다. “나는 깊은 수렁에 빠지며... 내가 부르짖음으로 피곤하다”(2-3절)고 시편 69편은 말합니다. 원수들에게 비방을 받고 가족과도 사이가 멀어진(4, 7-12절) 시편 기자는 다른 사람들에게서 위로를 받을 수 없었고(20절) 비극이 자신을 “삼킬” 것 같아 두려웠습니다(15절). 우리를 깊음으로 몰고가는 것이 죄이든 슬픔이든, 깊음이란 삶의 어두운 절망의 순간입니다.
감사하게도, 절망은 깊음의 마지막 언어가 아닙니다. 비록 깊음이 냉혹하고 쓸쓸할지라도 그곳에도 계시는 한 분이 있습니다(139:8). 그리고 그분이 차가운 물 속에서 우리를 건지실 것입니다. “주님, ‘주님께서 나를 수렁에서 건져 주셨으니’, 내가 주님을 우러러 찬양하렵니다”(30:1, 새번역).
조각상이 우리에게 보여주듯, 우리가 세상의 무게에 짓눌려 가라앉을 때에도 우리는 혼자가 아닙니다. 깊음 가운데에도 예수님은 성령과 함께 거기 계시며, 높이 들려진 주님의 손은 결국 우리를 만나 건지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9:6-15큰 물이 나를 휩쓸거나 깊음이 나를 삼키지 못하게 하시며 [시편 69:15]
당신은 과거에 “깊음”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시편 69편 15절 말씀이 깊음을 헤쳐 나갈 때 어떻게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깊음 가운데에서 저를 만나 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의 사랑과 은혜와 능력으로 저를 건져 주소서.
Daily Article
05/30/2025 FRIDAY
IN THE DEPTHS
The depths. Maybe you’ve experienced them. “I sink in the miry depths,” Psalm 69 says, “I am worn out calling for help” (VV. 2-3). Mocked by his foes and estranged from his family (VV. 4, 7-12), the psalmist found no comfort in others (V. 20) and feared his misery would “swallow” him up (V. 15). Whether it’s sin or sadness that takes us there, the depths are life’s moments of dark despair.
Thankfully, this isn’t the last word on the depths. For while they’re cold and lonely, there is one who can be found in them (139:8). And He will rescue us from their chilly waters. “I will exalt you, Lord, for you lifted me out of the depths” (30:1). As that sculpture reminds us, when we’re sinking under the world’s weight, we’re not alone. Jesus by the Spirit is there in the depths, His hands raised high—ready to meet us and lift us out in tim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PSALM 69:6-15Do not let the floodwaters engulf me or the depths swallow me up. [ PSALM 69:15 ]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depths” in the past? How might Psalm 69:15 be pivotal in getting through them?
Dear Jesus, thank You for meeting me in the depths. Please lift me out with Your love, grace, and power.
오늘의 말씀
05/29/2025 목요일
하나님의 위대한 능력
복구 트럭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사도행전에서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하신 명령이 떠올랐습니다. 예수님은 부활 후 40일 동안 제자들에게 나타나 그들을 격려하시고 하나님 나라에 대해 가르치셨습니다(사도행전 1:3). 예수님은 하늘로 올라가시기 전 제자들에게 마지막 약속을 하셨습니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으리라”(8절).
예수님은 하나님의 비교할 수 없이 위대한 능력이 성령을 통해 제자들에게 임할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하지만 그 능력을 입는 목적은 자신들이 그냥 간직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대신 제자들은 하나님이 주시는 능력으로 죄로 인해 단절된 하나님의 능력과 사랑에 다시 연결되는 방법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는 사명을 감당했습니다.
우리가 공동체로 나아갈 때 우리에게는 동일한 능력과 부르심이 있습니다. 우리는 성령의 능력에 힘입어 고통 중에 있는 자들을 돌보고, 그들 또한 어떻게 하나님의 능력을 얻을 수 있는지 전해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1-9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사도행전 1:8]
당신을 돕는 성령의 능력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그 메시지를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나눌 수 있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능력과 사랑을 선물로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29/2025 THURSDAY
GOD’S GREAT POWER
Hearing about the repair trucks brought to mind Jesus’ command to His disciples in the book of Acts. For forty days after His resurrection, Christ appeared to His disciples to encourage and teach them about the kingdom of God (ACTS 1:3). Before Jesus’ return to heaven, He gave them one last promise: “You will receive power when the Holy Spirit comes on you” (V. 8).
Christ promised that God’s incomparably great power would be available to the disciples through His Spirit. But the purpose of having power wasn’t to keep it to themselves. Instead, the disciples let God empower them in the mission of telling others how to experience once more the connection to God’s power and love that was broken by sin.
As we go out into our communities, we have the same power and calling. Empowered by God’s Spirit, we can care for those who are suffering and share how they too can have access to God’s power.
LISA M. SAMRA
Today's Reading
ACTS 1:1-9You will receive power when the Holy Spirit comes on you; and you will be my witnesses . . . to the ends of the earth. [ ACTS 1:8 ]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power of God’s Spirit to help you? How might you share that message with others?
Dear God, thank You for the gift of Your power and love.
오늘의 말씀
05/28/2025 수요일
가서 말하라
바울은 복음을 전하는 데 따르는 위험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감옥에 갇힌 적도 있었고(8, 16절), 그의 가르침 때문에 매를 맞고 채찍질을 당하고 돌에 맞기도 하는 등(고린도후서 11:23-29 참조), 여러 가지 고난을 겪었습니다(11-12 절). 하지만 그 어떤 것도 바울이 예수님을 전하는 일을 멈추게 하지 못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내게 사는 것이 그리스도니 죽는 것도 유익하다”(빌립보서 1:21)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전하는 삶을 살았지만, 설혹 죽게 되더라도 예수님과 함께 있을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성령님께서 그에게 능력을 주실 것이라고 상기시켜 주었습니다(디모데후서 1:7).
하나님은 믿는 우리 모두를, 국내나 해외 어디에 있든지 다른 사람들에게 예수님을 전하라고 부르십니다. 고난을 당할 수도 있지만 하나님은 바로 그 자리에 우리와 함께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6-14우리 주님을 증언하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복음을 위하여 고난을 함께 겪으십시오. [디모데후서 1:8, 새번역]
다른 사람들에게 예수님을 전하는데 어떤 것이 도움이 됩니까? 누군가에게 복음을 전하다가 어떻게 고난을 당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하나님을 알듯이 다른 사람들도 하나님을 알기를 원합니다. 주님에 대한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성령의 능력을 입혀 주소서.
Daily Article
05/28/2025 WEDNESDAY
GO AND TELL
Paul understood the danger inherent in proclaiming the good news. He spent time in prison (VV. 8, 16) and had suffered in many other ways because of his teaching (VV. 11-12)—including being beaten, whipped, and stoned (SEE 2 CORINTHIANS 11:23-29). But nothing kept Paul from telling others about Jesus. His philosophy? “For to me, to live is Christ and to die is gain” (PHILIPPIANS 1:21). He lived to tell others about Christ, but he knew that if he died, he would be with Jesus. Paul reminded Timothy that the Holy Spirit would empower him (2 TIMOTHY 1:7).
God calls all of us who believe, wherever we are—at home or abroad—to tell others about Jesus. We may suffer, but He is right there with us.
ALYSON KIEDA
Today's Reading
2 TIMOTHY 1:6-14Do not be ashamed of the testimony about our Lord . . . . Rather, join with me in suffering for the gospel. [ 2 TIMOTHY 1:8 ]
What helps you to tell others about Jesus? How have you suffered for telling someone the good news?
Dear God, I want others to know You as I do! Please empower me through Your Holy Spirt to tell them the great news about You.
오늘의 말씀
05/27/2025 화요일
와!
고대 예루살렘을 방문한 스바 여왕도 솔로몬 왕을 만났을 때 이와 비슷한 “와” 반응을 보였습니다. 여왕은 “솔로몬의 모든 지혜와 그가 건축한 왕궁...을 보고 크게 감동되었습니다”(열왕기상 10:4-5). 여러 세기가 지난 뒤, 다윗의 또 다른 왕손 예수님이 등장하여 사람들을 다른 방식으로 놀라게 했습니다. 예수님이 가시는 곳마다 사람들은 그분의 지혜와 사역이 경이로움을 깨닫게 되었으며(누가복음 4:36), 예수님은 사람들에게 “솔로몬보다 더 큰 이”가 이곳에 온 것을 보라고 강조하셨습니다(11:31). 예수님의 놀라운 사역으로 우리의 죄가 용서받았는데, 그것은 그분의 죽음이라는 커다란 희생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주님은 그분께 나아오는 사람 누구나 반갑게 맞아 주십니다. 그리고 주님께 나아가는 사람들은 주님의 아름다움과 은혜를 경험하고 지금부터 영원토록 주님을 찬양하게 됩니다. 와!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1:27-32솔로몬보다 더 큰 이가 여기 있으며 [누가복음 11:31]
예수님에 대한 어떤 부분이 “와”라고 외치게 만듭니까?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선하심을 아직 경험하지 못했다면, 그분을 알지 못하게 막고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놀라우신 주님을 잘 깨달을 수 있도록 저의 눈과 마음을 계속 열어 주소서.
Daily Article
05/27/2025 TUESDAY
WOW!
The Queen of Sheba had a similar “wow” response when she visited King Solomon in ancient Jerusalem. When she “saw all the wisdom of Solomon and the palace he had built . . . she was overwhelmed” (1 KINGS 10:4-5). Centuries later, another royal son of David—Jesus—appeared, and He amazed people in other ways. Everywhere He went, people recognized the wonder of His wisdom and works (LUKE 4:36), and He urged them to see that “someone greater than Solomon” had stepped onto the scene (11:31 NLT). The stunning ministry of Jesus grants forgiveness of sin—purchased at great cost, His death. He welcomes anyone who will to come to Him. And those who do will experience His beauty and grace and will sing His praises now and throughout eternity. Wow!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LUKE 11:27-32Now someone greater than Solomon is here. [ LUKE 11:31 NLT ]
What about Jesus compels you to say, “Wow!”? If you haven’t yet experienced the goodness of God through Jesus, what’s keeping you from getting to know Him?
Dear Jesus, please continue to open my eyes and heart to see how amazing You are.
오늘의 말씀
05/26/2025 월요일
해하려는 칼에서 구함
하워드는 이 작품에서 “인간은 위대한 고점에 도달할 수도 있고 짐승 수준으로 추락할 수도 있다는 인간성을 관통하는 실마리를 찾고자” 했습니다. 전쟁이 바로 이런 현실을 잘 보여줍니다.
시편 기자 다윗은 전쟁의 참혹한 결과를 잘 알았습니다. 악과 싸우기 위한 전쟁의 비극적인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그는 “내 손을 가르쳐 싸우게 하시는” (시편 144:1)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또한 “해하려는 칼에서 구하실”(10-11절) 것을 기도하며 전투를 피하기도 했습니다. 다윗은 젊은이들이 전쟁에서 죽지 않고, 아들들은 “장성한 나무들과 같으며” 딸들은 “궁전의 양식대로 아름답게 다듬은 모퉁잇돌들과 같을”(12절) 때를 기대했습니다. 그날에는 “우리를 침노하는 일이나 우리가 나아가 막는 일이 없으며 우리 거리에는 슬피 부르짖음이 없을”(14절) 것입니다.
과거를 돌아보면 전쟁에서 쓰러진 이들이 떠오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미래를 바라보며 다윗과 함께 “내가 주께 새 노래로 노래하리라”(9절)고 찬양할 수 있습 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4:1-2, 9-15하나님이여 내가 주께 새 노래로 노래하며 [시편 144:9]
전쟁이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습니까? 당신은 평화를 이루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전쟁에서 죽어간 이들을 기억하며, 하나님의 영원한 평화를 갈망합니다.
Daily Article
05/26/2025 MONDAY
FROM THE DEADLY SWORD
Howard sought “to find the thread that runs through humanity— that human beings can reach great heights, and they can sink to the level of the animal.” War reveals this reality.
The psalmist David knew well the bloody consequences of war. Aware of its tragic necessity to confront evil, he praised the God who “trains my hands for war” (PSALM 144:1). Yet he also recoiled from combat, praying, “From the deadly sword deliver me” (VV. 10-11). David looked forward to the time when the young won’t die in war, but sons “will be like well-nurtured plants” and daughters “like pillars carved to adorn a palace” (V. 12). On that day “there will be no breaching of walls, no going into captivity, no cry of distress in our streets” (V. 14).
Looking back, we remember those who’ve fallen in battle. Looking ahead, we sing with David, “I will sing a new song to you, my God” (V. 9).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PSALM 144:1-2, 9-15I will sing a new song to you, my God. [ PSALM 144:9 ]
How has war affected you? What can you do to work for peace?
Father, we remember those who’ve died in war. We long for Your lasting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