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15/2022 토요일
죽음으로 얻는 생명
카알이 겪었던 딜레마는 하나님은 죽음으로 생명이 있게 하신다는, 성경의 기본 진리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출애굽 이야기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노예로 태어난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 사람들의 강압적인 통제 아래 피폐해져 가고 있었습니다. 애굽 왕 바로는 하나님이 직접 치시기까지 자기의 굳건한 통치를 놓으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흠 없는 양을 죽여 그 피로 문의 좌우 설주와 인방에 바르지 않은 모든 집의 장자가 죽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출애굽기 12:6-7, 12-13).
오늘날 우리도 죄의 노예로 태어났습니다. 사탄은 우리를 거머쥔 손아귀를 쉽게 놓지 않으려 했지만, 하나님께서 친히 그의 완전하신 아들로 하여금 십자가에서 희생의 피를 흘리게 하심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해 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도 그의 십자가에서 같이 못박힐 것을 요구하십니다. 바울은 말했습니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갈라디아서 2:20). 우리가 하나님의 흠 없는 어린 양이신 주님을 믿으면, 우리는 매일 주님과 함께 죽음으로 우리의 죄에 대해 죽어서, 주님과 함께 새 생명으로 부활하게 됩니다(로마서 6:4-5). 우리가 죄로 말미암는 족쇄를 거부하고 예수님이 주시는 자유를 받아들일 때마다 우리는 이 믿음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님과 함께 죽을 때보다 더 활기찬 생명을 누릴 때는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2:5-13내가 피를 볼 때에 너희를 넘어가리니 [출애굽기 12:13]
왜 죽음으로만 생명에 이를 수 있을까요? 당신은 예수님이 날 대속해 죽으셨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것을 어떻게 보여주었습니까?
예수님, 주님의 죽음은 제게 생명을 줍니다. 오늘 죄에 대하여 죽고 주님을 통해 제 삶을 살아가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5/2022 Saturday
LIFE BY DEATH
Carl’s dilemma highlights a basic truth of Scripture: God uses death to bring life. We see this in the story of the exodus. Born into slavery, the Israelites languished under the oppressive hands of the Egyptians. Pharaoh wouldn’t release his grip until God made it personal. Every eldest son would die unless the family killed a spotless lamb and slathered its blood across their doorposts (EXODUS 12:6–7).
Today, you and I have been born into the bondage of sin. Satan wouldn’t release his grip on us until God made it personal, sacrificing His perfect Son on the blood-spattered arms of the cross.
Jesus calls us to join Him there. Paul explained,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and I no longer live, but Christ lives in me” (GALATIANS 2:20). When we put our faith in God’s spotless Lamb, we commit to daily dying with Him—dying to our sin so we might rise with Him to new life (ROMANS 6:4–5). We express this faith every time we say no to the shackles of sin and yes to the freedom of Christ. We’re never more alive than when we die with Jesus.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 XO DUS 12:5–13When I see the blood, I will pass over you. [ EXODUS 12:13 ]
Why is death the only path to life? How have you shown that you’ve received Jesus’ death on your behalf?
Jesus, Your death brings me life. Help me die to sin today and live my life through You.
오늘의 말씀
01/14/2022 금요일
설교하는 것을 실천하라
어느 날 내가 화가 나서 그 아이를 야단쳤더니 아들은 나를 껴안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엄마, 설교하신 대로 해보세요.”
재비어가 이렇게 부드럽게 깨우쳐준 것은 야고보가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는 예수를 믿는 유대인 신자들에게(야고보서 1:1) 현명한 조언을 해주었던 것과 아주 유사합니다. 야고보는 죄가 우리가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조하면서 그들에게 “말씀을 온유함으로 받으라”(21절)고 격려했습니다. 성경을 듣고도 순종하지 않으면 우리는 거울을 보고도 그 모습을 잊어버리는 사람들과 같습니다(23-24절). 그리고 그리스도의 피를 통해 하나님 마음에 합한 형상을 지닌 자로서 우리가 받은 특권을 보지 못하기도 합니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은 복음을 전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성령님은 우리를 변화시켜 우리가 더 나은 대리인이 되어 좋은 소식을 전하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능력을 주십니다. 우리가 사랑으로 순종함으로써 하나님이 우리를 보내시는 곳마다 하나님의 진리와 사랑의 빛을 반영할 수 있게 되고, 우리가 전파하는 것을 실천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을 예수님께로 인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9-27너희는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자가 되지 말라 [야고보서 1:22]
성경에 순종하기 위해 어떤 식으로 힘겹게 노력해 보셨습니까? 하나님은 어떤 방식으로 당신을 변화시켜 주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을 더 닮게 하셔서 주시는 모든 기회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나눌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4/2022 Friday
PRACTICE WHAT YOU PREACH
One day, I got angry and spoke harshly within his earshot. My son hugged me and said, “Practice what you preach, Mama.”Xavier’s gentle reminder echoes the wise counsel of the apostle
James as he addressed Jewish believers in Jesus scattered in various countries (JAMES 1:1). Highlighting the various ways sin can interfere with our witness for Christ, James encouraged them to “humbly accept the word planted in them” (V. 21). By hearing but not obeying Scripture, we’re like people who look in the mirror and forget what we look like (VV. 23–24). We can lose sight of the privilege we’ve been given as image-bearers made right with God through the blood of Christ.
Believers in Jesus are commanded to share the gospel. The Holy Spirit changes us while empowering us to become better representatives and therefore messengers of the good news. As our loving obedience helps us reflect the light of God’s truth and love wherever He sends us, we can point others to Jesus by practicing what we preach.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JA M E S 1:19–27Do not merely listen to the word, and so deceive yourselves. Do what it says. [ JAMES 1:22 ]
In what ways have you struggled to obey Scripture? In what ways has God transformed you?
Loving God, please make me more like You so I can use every opportunity You give me to share Your love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1/13/2022 목요일
터무니없는 투자
하나님은 예레미야에게 “베냐민 땅 아나돗에 있는 [그] 밭을 사라”(예레미야 32:8)고 하시면서 완전히 터무니없는 투자처럼 보이는 것을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그 때는 나라 전체가 약탈당할 위기에 처해 있었기 때문에 밭을 살 때가 아니었습니다. “예루살렘은 바빌로니아 왕의 군대에게 포위되어 있었고”(2절, 새번역), 예레미야가 구입한 밭도 곧 바벨론의 땅이 될 것이었습니다. 곧 모든 것을 잃을 상황에서 어떤 바보가 투자를 하겠습니까?
글쎄요, 그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미래를 계획하신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사람이라면 모르겠지요.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사람이 이 땅에서 집과 밭과 포도원을 다시 사게 되리라”(15절). 하나님은 멸망 그 이상의 것을 보시며 구원과 치유, 그리고 회복을 약속해 주셨습니다. 하나님과 관련된 일이나 하나님을 위한 봉사에 터무니없이 투자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라고 우리를 인도하실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지혜로운 행동입니다. (그리고 그 말씀 뒤에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을 알기 위해 늘 기도하며 애써야 합니다.) 하나님의 이끄심을 따라 다른 사람들에게 “어리석은” 투자를 하는 것은 이 세상에서 가장 타당한 일입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2:6-15내가 이것이 여호와의 말씀인 줄 알았으므로 밭을 사는데 [예레미야 32:8-9]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누군가에게 또는 무엇인가에 터무니없는 투자를 하라고 하시는 것을 어디에서 느끼십니까? 이 단계에서 어리석어 보이는 여러 상황 가운데 어떻게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때로는 제가 보는 모든 것이 파멸과 재앙 뿐이기에 하나님께서 미래를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제가 어디로 가야 할지, 어느 곳에 제 삶을 바쳐야 할지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1/13/2022 Thursday
A LUDICROUS INVESTMENT
God told Jeremiah to make what seemed like an absolutely ludicrous investment: “Buy [the] field at Anathoth in the territory of Benjamin” (JEREMIAH 32:8). This was no time to be buying fields, however. The entire country was on the verge of being ransacked. “The army of the king of Babylon was . . . besieging Jerusalem” (V. 2), and whatever field Jeremiah purchased would soon be Babylon’s. What fool makes an investment when everything would soon be lost?
Well, the person who’s listening to God—the One who intended a future no one else could envision.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the God of Israel, says: Houses, fields and vineyards will again be bought in this land” (V. 15). God saw more than the ruin. God promised to bring redemption, healing, and restoration. A ludicrous investment in a relationship or service for God isn’t foolish—it’s the wisest possible move when God leads us to make it (and it’s essential that we prayerfully seek to know He’s behind the instruction). A “foolish” investment in others as God leads makes all the sense in the world. WINN COLLIER
Today's Reading
JEREMIA H 32:6–15I knew that this was the word of the Lord; so I bought the field. [ JEREMIAH 32:8–9 ]
Where do you sense God asking you to make a ludicrous investment in someone or something? How will this step require you to trust God in ways that appear foolish?
God, it’s a good thing You see the future because sometimes all I see is ruin and disaster. Show me where to go, where to give my life.
오늘의 말씀
01/12/2022 수요일
하늘에서 우리의 기도를 들으신다
마음 뭉클한 이 이야기는 우리의 간구를 들으시는 하나님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솔로몬 왕은 특히 고난의 시기에 하나님의 열린 귀를 향하여 열성을 다해 기도했습니다. “비가 없고”(열왕기상 8:35), “기근이나 전염병이 있거나” 재앙이나 무슨 질병이 있든지(37절), 전쟁이나(44절) 죄악이 있을 때에도, “하늘에서 그들의 기도와 간구를 들으사 그들의 일을 돌아보옵소서”(45절)라고 솔로몬은 기도했습니다.
선하신 하나님은 우리의 마음을 감동시키는 약속으로 응답하셨습니다. “내 이름으로 일컫는 내 백성이 그들의 악한 길에서 떠나 스스로 낮추고 기도하여 내 얼굴을 찾으면 내가 하늘에서 듣고 그들의 죄를 사하고 그들의 땅을 고칠지라”(역대하 7:14). 하늘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분을 믿는 사람들과 함께 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고 그 기도에 응답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8:37-45하늘에서 그들의 기도와 간구를 들으시고 [열왕기상 8:45]
하나님께서 하늘에서 들으신다는 것을 믿고, 오늘 어떤 힘든 상황에 대해 기도하시겠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의 간구를 들으시기에 어떤 도움을 바라며 감사할 수 있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정말 힘든 환난과 고난 중에도 저의 부족한 간구를 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12/2022 Wednesday
HEARING US FROM HEAVEN
That heart-warming story reminds me of the God who hears us. King Solomon prayed fervently for God’s attuned ear, especially during troubling times. When “there is no rain” (1 KINGS 8:35), during “famine or plague,” disaster or disease (V. 37), war (V. 44), and even sin, “hear from heaven their prayer and their plea,” Solomon prayed, “and uphold their cause” (V. 45).
In His goodness, God responded with a promise that still stirs our hearts. “If my people, who are called by my name, will humble themselves and pray and seek my face and turn from their wicked ways, then I will hear from heaven, and I will forgive their sin and will heal their land” (2 CHRONICLES 7:14). Heaven may seem a long way off. Yet Jesus is with those who believe in Him. God hears our prayers, and He answers them.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1 KIN G S 8:37–45Hear from heaven their prayer and their plea. [ 1 KINGS 8:45 ]
What troubling situation can you pray about today, believing God is hearing you from heaven? What help from God can you thank Him for because He hears your plea?
Heavenly Father, during my toughest struggles and troubles, I thank You for hearing my humble cry.
오늘의 말씀
01/11/2022 화요일
도피인가 평안인가?
사실 도피라는 말은 아주 유혹적입니다. 그 말은 안도감이나 편안함, 안전, ‘벗어남’ 같이, 우리가 원하는 어떤 것을 약속해 주기 때문입니다. 그 어떤 것이란 요즘의 우리 문화가 여러 가지로 우리를 유혹하고 집적거리는 것들입니다. 휴식을 취하거나 경치 좋은 곳으로 떠나는 것이 전혀 잘못이 아니지만, 인생의 고난에서 ‘도피하는 것’과 고난을 지니고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은 다른 이야기입니다.
요한복음 16장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장차 그들의 믿음이 시험받을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주님은 16장의 마지막에서 “세상에서 너희가 환난을 당할 것”이라고 말씀하시고는, “그러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33절)라고 약속해 주십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이 절망에 빠지는 것을 원치 않으시고, 오히려 주님을 믿고 그분이 주시는 안식을 알기를 바라셨습니다. “이것을 너희에게 이르는 것은 너희로 내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려 함이라”(33절).
예수님은 우리에게 고통 없는 삶을 약속하지 않으십니다. 그러나 우리가 주님을 믿고 주님 안에서 안식할 때 이 세상이 우리에게 팔려고 하는 그 어떤 도피보다 더 깊고 더 만족스러운 평화를 경험할 수 있다고 주님은 약속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25-33이것을 너희에게 이르는 것은 너희로 내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려 함이라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요한복음 16:33]
최근에 세상에서의 도피를 위한 초대를 어떻게 받아보았습니까? 그 초대가 주는 약속들이 얼마나 잘 지켜질 것 같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하나님을 믿음으로 하나님 안에서 평안과 안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1/2022 Tuesday
ESCAPE OR PEACE?
Still, that word entices so effectively because it promises something we want: Relief. Comfort. Security. Escape. It’s something our culture tempts and teases us with in many ways. Now, there’s nothing wrong with resting or a getaway to someplace beautiful. But there’s a difference between escaping life’s hardships and trusting God with them.
In John 16, Jesus tells His disciples that the next chapter of their lives will test their faith. “In this world you will have trouble,” He summarizes at the end. And then He adds this promise, “But take heart! I have overcome the world” (V. 33). Jesus didn’t want His disciples to cave in to despair. Instead, He invited them to trust Him, to know the rest He provides: “I have told you these things,” he said, “so that in me you may have peace” (V. 33).
Jesus doesn’t promise us a pain-free life. But He does promise that as we trust and rest in Him, we can experience a peace that’s deeper and more satisfying than any escape the world tries to sell us. ADAM R. HOLZ
Today's Reading
JO H N 16:25–33I have told you these things, so that in me you may have peace. In this world you will have trouble. But take heart! I have overcome the world. [ JOHN 16:33 ]
How have you seen invitations to escape in the world around you recently? How well do you think they might deliver on those promises?
Father, help me to trust You, so that I may find peace and rest in You.
Read Finding Peace in a Troubled World at DiscoverySeries.org/Q1126.
오늘의 말씀
01/10/2022 월요일
모래화판식 용서
하나님의 용서는 이 장난감 모래화판과 매우 흡사하게 작용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깨끗이 씻어내시고 우리를 위해 깨끗한 화면을 만들어 주십니다. 우리는 저지른 잘못을 기억할지 몰라도, 하나님은 용서하시고 잊어버리십니다. 그분은 우리의 죄를 씻어내시고, 우리의 죄 때문에 우리를 비난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죄의 행동에 따라 우리를 처벌하지 않으시고(시편 103:10) 용서를 통해 은혜를 베푸십니다. 하나님의 용서를 구하면 우리는 깨끗해지며 새로운 삶을 누리게 됩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놀라운 선물 때문에 죄책감과 수치심을 버릴 수 있습니다.
시편 기자는 우리에게 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우리의 죄가 우리에게서 멀어졌다고 일깨워 줍니다(12절). 그보다 더 먼 것은 없습니다! 하나님이 보시기에 우리의 죄는 더 이상 주홍 글씨나 나쁜 그림처럼 우리에게 붙어있지 않습니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와 자비에 대해 기뻐하며 감사할 이유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3:7-13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우리의 죄과를 우리에게서 멀리 옮기셨으며 [시편 103:12]
하나님께서 왜 우리의 행위대로 대하지 않으신다고 생각하십니까? 죄를 우리에게서 멀어지게 하신 하나님께 어떻게 감사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의 죄를 용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저의 죄를 더 이상 기억하지 않으신다는 것을 일깨워 주소서.
Daily Article
01/10/2022 Monday
ETCH A SKETCH FORGIVENESS
God’s forgiveness works much like that Etch A Sketch. He wipes away our sins, creating a clean canvas for us. Even if we remember wrongs we committed, God chooses to forgive and forget. He’s wiped them out and doesn’t hold our sins against us. He doesn’t treat us according to our sinful actions (PSALM 103:10) but extends grace through forgiveness. We have a clean slate—a new life awaiting us when we seek God’s forgiveness. We can be rid of guilt and shame because of His amazing gift to us.
The psalmist reminds us that our sins have been separated from us as far as the east is separated from the west (V. 12). That’s as far away as you can get! In God’s eyes, our sins no longer cling to us like a scarlet letter or a bad drawing. That’s reason to rejoice and to thank God for His amazing grace and mercy.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PSA LM 103:7–13As far as the east is from the west, so far has he removed our transgressions from us. [ PSALM 103:12 ]
Why do you think God chooses to not treat you as your actions might deserve? How can you thank Him for separating your sins from you?
Loving God, thank You for forgiveness. Remind me that You no longer remember my sins.
Read The Forgiveness of God at DiscoverySeries.org/Q0602.
오늘의 말씀
01/09/2022 주일
씻음 받음
얼마나 놀라운 반응입니까! 그것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희생하신 것을 믿는 믿음을 통해 가능해진 구원의 본질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고린도전서 6장에서 바울은 하나님에 대한 불순종이 어떻게 그분에게서 멀어지게 하는지 몇 가지 예를 든 후, “너희 중에 이와 같은 자들이 있더니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우리 하나님의 성령 안에서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받았느니라”(11절)라고 말합니다. “씻음”, “거룩함”, “의롭다 하심”을 받았다는 말은 신자가 용서받고 하나님 앞에 바로 서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도서 3:4-5은 구원이라고 하는 이 기적과도 같은 사건에 관해 좀 더 말해줍니다. “우리 구주의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시되 우리의 행한 바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긍휼하심을 따라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 죄는 우리를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지만 예수님을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죄의 형벌이 씻겨졌습니다. 우리는 새로운 피조물이 되고(고린도후서 5:17),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 나아가게 되며 (에베소서 2:18), 깨끗하게 되었습니다(요한1서 1:7). 오직 주님만이 우리가 ‘씻음’을 받기 위해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디도서 3:3-7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안에서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받았느니라 [고린도전서 6:11]
예수님에 의해 씻음 받고 거룩하게 되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주님을 믿는다는 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였으며, 앞으로 어떤 의미가 되겠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제가 주님께 죄를 범했음을 압니다. 그리고 제 죄의 대가로 주님에게서 멀어진다는 것도 압니다. 주님이 이루신 구원과 저를 영원히 주님 가까이 이끌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9/2022 Sunday
WASHED
What an amazing response! That’s precisely the essence of salvation made possible through faith in Jesus’ sacrifice for us on the cross. In 1 Corinthians 6, after Paul gives examples of how disobedience against God leads to separation from Him, he says, “That is what some of you were. But you were washed, you were sanctified, you were justified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V. 11). “Washed,” “sanctified, “justified”—words that point to believers being forgiven and made right with Him.
Titus 3:4–5 tells us more about this miraculous thing called salvation. “God our Savior . . . saved us, not because of righteous things we had done, but because of his mercy. He saved us through the washing of rebirth.” Our sin keeps us from God, but through faith in Jesus, sin’s penalty is washed away. We become new creations (2 CORINTHIANS 5:17), gain access to our heavenly Father (EPHESIANS 2:18), and are made clean (1 JOHN 1:7). He alone provides what we need to be washed. DAVE BRANON
Today's Reading
TIT US 3:3–7You were washed, you were sanctified, you were justified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 1 CORINTHIANS 6:11 ]
Why is it vital for you to be washed and sanctified by Jesus? What has it meant or what will it mean for you to put your faith in Him?
Dear Jesus, I know I’ve sinned against You. And I realize that the penalty for my sin is separation from You. Thank You for the salvation You’ve made possible and for drawing me close to You forever
오늘의 말씀
01/08/2022 토요일
하나님께 가까이 가기
구약에서 하나님은 성막 안의 지성소라고 불리는 곳에 들어가기 위한 특별한 규정들을 제정하셨습니다(출애굽기 26:33). “성소와 지성소를 분리”하는 휘장 뒤로는 오직 대제사장만이 한 해에 한 번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히브리서 9:7). 아론과 그의 후임 대제사장들은 들어가기 전에 예물을 가져오고 몸을 씻은 후 거룩한 옷을 입어야 했습니다(레위기 16:3-4). 하나님의 지시들은 건강이나 안전 때문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우리가 용서가 필요함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이 죽으시던 순간에 성소 휘장이 찢어진 것은(마태복음 27:51) 우리의 죄를 용서하기 위해 주님이 죽으셨다는 것을 믿는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성소 휘장이 찢어짐으로 우리는 영원히 기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우리가 언제나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게 해주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6:1-5네 형 아론에게 이르라 성소의 휘장 안 법궤 위 속죄소 앞에 아무 때나 들어오지 말라 [레위기 16:2]
당신이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어떤 식으로 깨닫고 있습니까? 그 사실이 어떻게 당신에게 기쁨을 가져다줍니까?
항상 하나님께 가까이 갈 수 있게 해 주신 예수님,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8/2022 Saturday
DRAWN NEAR
In the Old Testament, God had specific protocols for entering part of the tabernacle called the Most Holy Place (EXODUS 26:33). Behind a special curtain, one that “separate[d] the Holy Place from the Most Holy Place,” only the high priest could enter once a year (HEBREWS 9:7). Aaron, and the high priests who would come after him, were to bring offerings, bathe, and wear sacred garments before entering (LEVITICUS 16:3–4). God’s instructions weren’t for health or security reasons; they were meant to teach the Israelites about the holiness of God and our need for forgiveness.
At the moment of Jesus’ death, that special curtain was torn (MATTHEW 27:51), symbolically showing that all people who believe in His sacrifice for their forgiveness of sin can enter God’s presence. The tear in the tabernacle curtain is reason for our unending joy—Jesus has enabled us to draw near to God always!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LE V ITICUS 16:1–5Tell your brother Aaron that he is not to come whenever he chooses into the Most Holy Place. [ LEVITICUS 16:2 ]
In what ways are you aware of being drawn near to God? How does that truth bring you joy?
Thank You, Jesus, for making it possible for me to be drawn near to God always.
To learn how to draw nearer to God this year,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F104.
오늘의 말씀
01/07/2022 금요일
진정한 희망
그때, 1967년 신학자 위르겐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은 보다 명확한 비전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길은 낙관주의의 길이 아니라 희망의 길이었습니다. 이 둘은 같지 않습니다. 몰트만은 낙관주의는 현재 상황에 근거하고 있지만, 희망은 우리의 상황과 관계없이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단언했습니다.
이 희망의 근원이 무엇일까요? 베드로는 이렇게 썼습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그의 많으신 긍휼대로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게 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베드로전서 1:3). 우리의 신실하신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 예수님을 통해 죽음을 정복하셨습니다! 모든 승리 중에서 가장 큰 이 승리로 말미암아 우리는 매일 그리고 모든 상황에서 단순한 낙관주의를 넘어 강하고 견고한 희망을 향해 들림을 받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3-9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게 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 [베드로전서 1:3]
당신이 낙관주의자이든 비관주의자이든, 현재 어떤 상황들이 걱정됩니까? 희망이 낙관론이나 비관론보다 나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나님, 이 세상은 고통스럽고 혼란스럽습니다. 그리고 많은 목소리가 저를 희망이 없어 보인다는 관점으로 이끌어 갑니다. 미래를 주관하시는 예수님의 부활의 약속과 능력 안에 제 마음이 뿌리내릴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07/2022 Friday
GENUINE HOPE
Then, in 1967, theologian Jürgen Moltmann’s A Theology of Hope pointed to a clearer vision. This path wasn’t the way of optimism but the way of hope. The two aren’t the same thing. Moltmann affirmed that optimism is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moment, but hope is rooted in God’s faithfulness—regardless of our situation.
What’s the source of this hope? Peter wrote, “Praise be to the God and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In his great mercy he has given us new birth into a living hop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from the dead” (1 PETER 1:3). Our faithful God has conquered death through His Son, Jesus! The reality of this greatest of all victories lifts us beyond mere optimism to a strong, robust hope—every day and in every circumstance.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PE T E R 1:3–9He has given us new birth into a living hop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from the dead. [ 1 PETER 1:3 ]
Whether you’re an optimist or a pessimist, what situations cause concern in you? Why is hope better than either optimism or pessimism?
God, this world is distressing and confusing, and many voices want to drive me to a perspective that feels void of hope. Help me to root my heart in the promise and power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who holds the future.
Read Hope: Choosing Faith Instead of Fear at DiscoverySeries.org/Q0733.
오늘의 말씀
01/06/2022 목요일
불일치에 대처하기
우리는 이제 사람들의 신념에서부터 그들이 입는 옷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공개적으로 비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사실 비방하고 미워하는 태도는 예수님을 믿는 자로 우리를 부르신 하나님의 뜻에 어긋나는 것입니다. 때로는 불일치에 대처해야 할 때도 있지만, 신자인 우리는 언제나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골로새서 3:12)으로 행해야 한다고 성경은 상기시켜 줍니다. 하나님은 심하게 비난하는 대신 우리 적들에게까지도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라”(13절)고 권면하십니다.
이 권면은 생활 방식이나 신념에서 우리와 일치하는 사람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게 하기가 쉽지 않을 때라도, 우리가 주님의 사랑으로 구원받았음을 알고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인도하실 때 만나게 되는 모든 이들에게 은혜와 사랑을 전해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4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골로새서 3:13]
친구나 낯선 사람을 섣불리 비난한 적은 없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그렇게 한 결과가 어땠습니까? 어떻게 다르게 행동하여 하나님이나 그 사람을 높일 수 있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가 매일 하나님의 영광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압니다. 하나님의 조건 없는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사람들에게 인내하고 온유함으로 하나님을 더 닮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06/2022 Thursday
DEALING WITH DISAGREEMENT
We’ve learned to publicly criticize everything from the beliefs people hold to the clothes they wear. The reality, however, is that a critical and unloving attitude doesn’t align with who God has called us to be as believers in Jesus. While there will be times when we have to deal with disagreement, the Bible reminds us that as believers we’re to always conduct 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COLOSSIANS 3:12). Instead of being harshly critical, even of our enemies, God urges us to “bear with each other and forgive one another if [we have] a grievance” (V. 13).
This treatment isn’t limited to the people whose lifestyles and beliefs we agree with. Even when it’s difficult, may we extend grace and love to everyone we encounter as Christ guides us, recognizing that we’ve been redeemed by His love. KIMYA LODER
Today's Reading
COLOSSIA NS 3:12–14Forgive as the Lord forgave you. [ COLOSSIANS 3:13 ]
Consider a time when you were quick to criticize a friend or a stranger. What was the result? What could you have done differently to honor God and the individual?
Heavenly Father, I know I fall short of Your glory every day. Thank You for Your unconditional love. Help me strive to be more like You by being patient and gentle with oth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