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25/2022 화요일
사랑의 하나님
요한1서 4:10-21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가족으로서 하나님께 “사랑합니다.”라고 말할 몇 가지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을 우리 죄의 희생 제물로 보내시고(10절), 성령님을 주셔서 우리 안에 거하게 하셨습니다(13, 15절). 하나님의 사랑은 언제나 신뢰할 수 있으며(16절), 더 이상 심판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17절). “하나님이 우리를 먼저 사랑하셨기 때문에”(19절, 새번역) 우리가 그분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게 해주십니다.
다음에 하나님의 백성들과 모임을 할 때 하나님을 왜 사랑하는지 함께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 하나님께 연이어 “사랑합니다.”라고 고백함으로써 하나님께는 영광이 되고 우리는 더 가까워지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4:10-21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사랑을 우리가 알고 믿었노니 [요한1서 4:16]
왜 하나님을 사랑하십니까?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사랑을 알게 하시고 가족으로 삼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사랑을 여러 가지 창조적인 방법으로 보여줄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1/25/2022 Tuesday
LOVING GOD
In 1 John 4:10–21, we, as part of God’s family, find several reasons to say “I love you” to Him: He sent His Son as a sacrifice for our sin (V. 10). He gave us His Spirit to live in us (VV. 13, 15). His love is always reliable (V. 16), and we never need to fear judgment (V. 17). He enables us to love Him and others “because he first loved us” (V. 19).
The next time you gather with God’s people, take time to share your reasons for loving Him. Making an “I love you” chain for God will bring Him praise and bring you closer together. ANNE CETAS
Today's Reading
1 JO H N 4:10–21We know and rely on the love God has for us. [ 1 JOHN 4:16 ]
Why do you love God? How can you show others His love?
I’m grateful to know Your love and to be a part of Your family, Father. Show me ways to creatively express that love.
오늘의 말씀
01/24/2022 월요일
토기장이의 손길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토기장이가 직접 운영하는 상점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게시되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파손 시 더 좋은 것으로 만들어 드림”. 이것은 바로 예레미야 18장에 나오는 사건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예레미야는 토기장이의 집에 방문해서 “부서진” 토기가 토기장이의 세심한 손을 거쳐 “다른 그릇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지켜봅니다(4절). 여기서 선지자는 우리에게 하나님은 진정 능숙한 토기장이시며 우리는 진흙이라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주권자이신 그분은 그의 창조물을 가지고 우리 속에 있는 악을 멸하시기도 하고 우리 속에 아름다움을 창조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나님은 훼손되고 깨어진 우리의 모습도 새롭게 빚으실 수 있습니다. 뛰어난 토기장이신 그분이 우리의 깨어진 조각들로 새롭고 소중한 그릇을 만드실 수 있고 또 기꺼이 그렇게 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깨어진 삶과 실수, 그리고 과거의 죄를 쓸모없는 것으로 여기지 않으시고, 오히려 우리의 부서진 조각들을 모아 그분 보시기에 가장 멋진 모습으로 다시 빚어 주십니다.
우리의 깨어진 모습조차도 뛰어난 토기장이신 하나님께는 무한한 가치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손을 통해 우리 삶의 깨어진 조각들도 그분이 쓰시는 아름다운 그릇으로 다시 빚어질 수 있습니다(4절).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8:1-6진흙으로 만든 그릇이 토기장이의 손에서 터지매 그가 그것으로 자기 의견에 좋은 대로 다른 그릇을 만들더라 [예레미야 18:4]
하나님은 깨어진 조각들로 새로운 것을 만드실 수 있는 토기장이라는 사실이 당신에게 어떤 위안이 됩니까? 토기장이신 하나님께서 당신을 아름다운 그릇으로 다시 빚어 주신다니 얼마나 마음이 놓이나요?
하나님, 하나님은 토기장이시고 저는 진흙입니다. 원하시는대로 저를 빚어 주시고, 제가 하나님의 능숙하고 세심한 손길 안에 있음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24/2022 Monday
THE POTTER’S WHEEL
Ironically, a different sign might be placed in a real potter’s shop. It would say: “If you break it, we’ll make it into something better.” And that’s exactly what’s revealed in Jeremiah 18.
Jeremiah visits a potter’s house and sees the potter shaping the “marred” clay with his hands, carefully handling the material and forming “it into another pot” (V. 4). The prophet reminds us that God is indeed a skillful potter, and we are the clay. He is sovereign and can use what He creates to both destroy evil and create beauty in us.
God can shape us even when we’re marred or broken. He, the masterful potter, can and is willing to create new and precious pottery from our shattered pieces. God doesn’t look at our broken lives, mistakes, and past sins as unusable material. Instead, He picks up our pieces and reshapes them as He sees best.
Even in our brokenness, we have immense value to our Master Potter. In His hands, the broken pieces of our lives can be reshaped into beautiful vessels that can be used by Him (V. 4).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JEREMIA H 18:1–6The pot he was shaping from the clay was marred in his hands; so the potter formed it into another pot, shaping it as seemed best to him. [ JEREMIAH 18:4 ]
What comfort can you find in knowing God is a potter who can form something new from your broken pieces? How can you relax as the Potter reshapes you into a beautiful vessel?
God, You’re the Potter and I’m the clay. Mold me as You wish. Remind me that I’m in Your skillful and caring hands.
오늘의 말씀
01/23/2022 주일
은혜란 이런 것이다
이런 값진 사랑은 분명 은혜의 샘으로부터 흘러나온 사랑을 가리킵니다. 베드로는 오순절 날 회중에게 불과 두 달도 채 되기 전 이곳에서 사람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고 말했습니다. 설교를 듣고 마음이 무너진 회중들은 어찌해야 좋을지 물었습니다. 베드로는 “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받으라”(사도행전 2:38)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형벌을 예수님이 대신 받으셨기 때문에, 이제 예수님을 믿으면 그들은 죄 사함을 받게 되었습니다.
진정 은혜의 역설적인 모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죄 사함을 받을 수 있었는데, 그 죽음에 대한 책임이 바로 그들에게 있었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은혜로우시며 전능하신 하나님! 하나님은 인류의 가장 큰 죄를 사용하여 우리의 구원을 완성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그 죄를 통하여 이 일을 이미 행하셨다면, 하나님께는 이 세상에서 선으로 바꾸실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들에게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로마서 8:28)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을 믿으십시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32-41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사도행전 2:36]
당신은 자신을 예수님께 드리셨습니까? 아직 안 드리셨다면 망설이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이미 드리셨다면 자신의 두려움까지 주님께 드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죄에서 구원해주신 값진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저의 모든 두려움을 맡기고 주님을 믿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3/2022 Sunday
THIS IS GRACE
Such extravagant love points to the love that flowed from the fountain from which all grace comes. On the day of Pentecost, Peter told his audience that less than two months before, in that very city, they had crucified Jesus. The crowd was crushed and asked what they must do. Peter replied, “Repent and be baptized, every one of you, in the name of Jesus Christ for the forgiveness of your sins” (ACTS 2:38). Jesus had endured the punishment they deserved. Now their penalty would be forgiven if they put their faith in Him.
Oh, the irony of grace. The people could only be forgiven because of Christ’s death—a death they were responsible for. How gracious and powerful is God! He’s used humanity’s greatest sin to accomplish our salvation. If God has already done this with the sin of crucifying Jesus, we may assume there’s nothing He can’t turn into something good. Trust the One who “in all things . . . works for the good of those who love him” (ROMANS 8:28). MIKE WITTMER
Today's Reading
AC T S 2:32–41God has made this Jesus, whom you crucified, both Lord and Messiah. [ ACTS 2:36 ]
Have you given yourself to Jesus? If not, what’s holding you back? If you have, what will it mean for you to give your fears to Him as well?
Dear Father, thank You for Your extravagant love that rescued me from my sin. Please take all my fears and help me to trust You.
Learn more about having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at ODB.org/personal-relationship.
오늘의 말씀
01/22/2022 토요일
하나님으로부터 숨기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아시기 때문에 아담과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숨었을” 때에도 그들은 언제나 하나님의 “시야” 안에 있었습니다(창세기 3:8). 그러나 그들은 숨바꼭질 놀이를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먹지 말라고 하신 나무의 열매를 먹고 갑자기 죄책감과 부끄러움을 느껴서 그렇게 한 것이었습니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지시를 어기고 하나님과 그분의 사랑의 돌보심을 떠났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분노로 그들을 저버리지 않으시고 “네가 어디 있느냐”라고 물으시며 그들을 찾으셨습니다(9절). 어디 있는지 몰라서 물으신 것이 아니라,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로운 마음을 그들이 알아주기를 바랐던 것입니다.
나는 숨바꼭질할 때 숨은 친구들을 찾지 못했지만,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를 보고 아십니다. 우리는 늘 그분의 시야 안에 있습니다. 하나님이 아담과 하와를 찾으셨던 것처럼, 예수님도 “아직 죄인”이었던 우리를 찾으시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심으로 우리를 향한 사랑을 보여주셨습니다(로마서 5:8). 우리는 더 이상 숨을 필요가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1-10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부르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 있느냐 [창세기 3:9]
당신은 언제 하나님으로부터 “숨으려” 했습니까? 그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을 찾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잘못했을 때에도 아버지의 사랑과 돌보심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22/2022 Saturday
HIDING FROM GOD
Since God is all-knowing, when Adam and Eve “hid from [Him]” in the garden of Eden, they were always in “plain sight” (GENESIS 3:8). But they weren’t playing any childhood game; they were experiencing the sudden awareness—and shame—of their wrongdoing, having eaten from the tree God told them not to eat from.
Adam and Eve turned from God and His loving provision when they disobeyed His instructions. Instead of withdrawing from them in anger, however, He sought them out, asking, “Where are you?” It’s not that He didn’t know where they were, but He wanted them to know His compassionate concern for them (V. 9).
I couldn’t see my friend hiding, but God always sees us and knows us—to Him we’re always in plain sight. Just as He pursued Adam and Eve, Jesus sought us out while we were “still sinners”—dying on the cross to demonstrate His love for us (ROMANS 5:8). We no longer need to hide.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G E N E SIS 3:1–10The Lord God called to the man, “Where are you?” [ GENESIS 3:9 ]
When have you tried to “hide” from God? How has He sought you out?
Father God, thank You for demonstrating Your love and care for me despite the ways I wrong You.
오늘의 말씀
01/21/2022 금요일
살아있는 동안 기부하기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의 제자들은 나면서부터 소경이었던 사람이 “누구의 죄” 때문인지 궁금해했습니다(9:2). 예수님은 그들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이 사람이나 그 부모의 죄로 인한 것이 아니라 그에게서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나타내고자 하심이라 때가 아직 낮이매 나를 보내신 이의 일을 우리가 하여야 하리라”(3-4절). 우리가 하는 일은 예수님이 행하신 기적과 아주 다르겠지만, 어떤 방식으로 우리 자신을 드리든지 우리는 준비된 마음과 사랑으로 베풀어야 합니다. 우리가 베푸는 그것이 시간이든 자원이든, 아니면 행동이든, 우리의 목표는 하나님의 역사가 드러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셔서 모든 것을 주셨습니다. 이제 우리도 살아있는 동안 기부합시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9:1-12때가 아직 낮이매 나를 보내신 이의 일을 우리가 하여야 하리라 [요한복음 9:4]
베풀어야 할 때 베풀지 못했던 한 가지가 무엇입니까? 살아있는 동안 기부한다는 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입니까?
베푸시는 하나님, 오늘 제가 베풀 수 있는 곳이 어디인지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1/21/2022 Friday
GIVE WHILE YOU LIVE
In John’s account of the man born blind, Jesus’ disciples were trying to determine “who sinned” (9:2). Jesus briefly addressed their question by saying, “Neither this man nor his parents sinned . . . but this happened so that the works of God might be displayed in him. As long as it is day, we must do the works of him who sent me” (VV. 3–4). Though our work is very different from Jesus’ miracles, no matter how we give of ourselves, we’re to do so with a ready and loving spirit. Whether through our time, resources, or actions, our goal is that the works of God might be displayed.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In turn, let’s give while we live. JOHN BLASE
Today's Reading
JO H N 9:1–12As long as it is day, we must do the works of him who sent me. [ JOHN 9:4 ]
When it comes to giving, what’s one thing you’ve been delaying? What would it mean for you to give while you live?
Giving God, please show me places where I can give today.
Read Celebrating God’s Generosity at DiscoverySeries.org/Generosity.
오늘의 말씀
01/20/2022 목요일
배움의 기쁨
아이들은 선천적으로 호기심이 많고 배우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어릴 때 성경말씀을 접하게 해주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입니다. 아이들은 하나님의 비범한 약속들과 성경 속 영웅들의 신나는 이야기에 호기심을 갖게 됩니다. 그러다가 지식이 점차 깊어지면서 죄의 결과, 회개의 필요성, 그리고 하나님을 믿음으로 얻는 기쁨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면, 잠언 1장은 지혜가 주는 여러 가지 유익을 아주 잘 소개하고 있습니다(잠언 1:1-7). 성경 속의 귀중한 지혜는 우리의 실제 삶을 이해할 수 있게 빛을 밝혀 줍니다.
배움의 기쁨, 특히 영적인 진리를 배우는 기쁨을 키워 나가면 우리가 믿음 안에서 더 강건하게 자라갈 수 있습니다. 수십 년간 신앙생활을 해온 신자들도 삶 속에서 꾸준히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쌓아갈 수 있습니다. 잠언 1장 5절은 “지혜 있는 자는 듣고 학식이 더할 것”이라고 조언합니다. 우리가 기꺼이 마음을 열어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가르치심을 받아들인다면 하나님은 끊임없이 우리를 가르쳐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7지혜 있는 자는 듣고 학식이 더할 것이요 명철한 자는 지략을 얻을 것이라 [잠언 1:5]
최근에 배운 새로운 진리의 말씀은 무엇입니까? 어떻게 꾸준히 하나님의 진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성경을 읽고 지식과 지혜가 자라가도록 늘 제 마음을 열어 주소서.
Daily Article
01/20/2022 Thursday
LOVE OF LEARNING
Children are wired with natural curiosity and a love for learning, so introducing them to the Scriptures at an early age is of great value. They become intrigued by God’s extraordinary promises and exciting stories of biblical heroes. As their knowledge deepens, they can begin to comprehend the consequences of sin, their need of repentance, and the joy found in trusting God. The first chapter of Proverbs, for instance, is a great introduction to the benefits of wisdom (PROVERBS 1:1–7). Nuggets of wisdom found here shine a light of understanding on real-life situations.
Developing a love of learning—especially about spiritual truths—helps us to grow stronger in our faith. And those who have walked in faith for decades can continue to pursue knowledge of God throughout their life. Proverbs 1:5 advises, “Let the wise listen and add to their learning.” God will never stop teaching us if we’re willing to open our heart and mind to His guidance and instruction.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ROV E RBS 1:1–7Let the wise listen and add to their learning. [ PROVERBS 1:5 ]
What fresh truth of Scripture have you added to your knowledge recently? How can you continually pursue a deeper understanding of God’s truth?
Father, please continue to open my mind and heart to grow in knowledge and wisdom as I read from the Scriptures.
To grow deeper in your understanding of faith,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T101.
오늘의 말씀
01/19/2022 수요일
깨어 있으라!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만일 깨어 있지 않으면 그들 역시 심각한 실수를 저지를 거라고 경고하셨습니다. 기도하시려 그들을 데리고 겟세마네로 가신 예수님은 기도하시면서 이 세상에서 한 번도 겪지 못했던 고뇌와 슬픔을 경험하셨습니다. 주님은 베드로와 야고보, 요한에게 그와 함께 “깨어 있어” 기도하라고 요청하셨지만(마태복음 26:38) 그들은 잠이 들었습니다(40-41절). 깨어 기도하지 못했던 그들은 예수님을 부인하려는 유혹이 실제로 찾아왔을 때 이겨내지 못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가장 큰 고난 중에 계실 때 그들은 영적으로 깨어 있지 못했습니다.
우리 모두 기도로 주님과 시간을 보내기로 더욱 헌신함으로써 영적으로 깨어 있으라는 예수님의 말씀에 유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렇게 할 때 주님은 우리가 모든 유혹을 뿌리치고 예수님을 부인하는 심각한 실수를 저지르지 않도록 힘을 더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6:36-46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기도하라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 [마태복음 26:41]
당신의 기도 생활 중 어떤 부분에 더 많은 헌신과 훈련이 필요합니까? 어떻게 하면 이번 주에 하나님과 함께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가질 수 있을까요?
예수님, 영적으로 잠들어 있었기에 기도하지 못했고, 기도하지 않았기에 주님을 의지하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주님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9/2022 Wednesday
STAY AWAKE!
Jesus warned His disciples that if they didn’t remain alert, they too would make a costly mistake. He took them to a place called Gethsemane to spend some time in prayer. As He prayed, Jesus experienced a grief and sadness such as He’d never known in His earthly life. He asked Peter, James, and John to stay awake to pray and “keep watch” with Him (MATTHEW 26:38), but they fell asleep (VV. 40–41). Their failure to watch and pray would leave them defenseless when the real temptation of denying Him came calling. In the hour of Christ’s greatest need, the disciples lacked spiritual vigilance.
May we heed Jesus’ words to remain spiritually awake by being more devoted to spending time with Him in prayer. As we do, He’ll strengthen us to resist all kinds of temptations and avoid the costly mistake of denying Jesus.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M AT T H E W 26:36–46Watch and pray so that you will not fall into temptation. The spirit is willing, but the flesh is weak. [ MATTHEW 26:41 ]
What part of your prayer life needs to be more devoted and disciplined? How can you intentionally spend more time alone with God this week?
Jesus, because I’ve been spiritually sleeping, I haven’t been praying. And because I haven’t been praying, I haven’t depended on You. I’m sorry. Please help me to spend more time with You.
오늘의 말씀
01/18/2022 화요일
가장 큰 사랑의 선물
제프가 그를 깨워 괜찮은지 물으니 그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죽을 때까지 술을 마시고 있어. 폭풍 때문에 텐트가 망가졌고 난 이제 아무것도 없어. 살고 싶지 않아.”
제프는 기독교 재활 사역팀에 연락을 취하고, 도움을 기다리는 동안 바로 집으로 달려가 자신의 캠핑용 텐트를 가지고 왔습니다. 그리고 그 노숙자에게 “이름이 어떻게 되세요?”라고 묻자, 그 노숙자는 “제프리, G로 시작하지.”라고 대답했습니다. 제프는 자신의 이름이나 그 이름의 특이한 철자에 관해 말한 적이 없었습니다. 훗날 아들은 내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버지, 제가 바로 그 사람일 수도 있었어요.”
제프는 한때 약물 중독으로 힘들었던 적이 있었는데, 예전에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은혜를 생각하며 그 노숙자를 도와줄 수 있었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자비가 우리에게 임할 것을 바라보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이사야 53:6).
우리 구주 그리스도는 우리를 홀로, 절망 가운데 소망 없이 내버려 두지 않으셨습니다. 주님은 우리와 같은 사람으로 오셔서 사랑으로 우리를 건져주심으로, 우리가 자유롭게 되어 주님과의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하셨습니다. 이보다 더 큰 선물은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3:1-6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이사야 53:6]
예수님이 없었다면 당신은 어떤 삶을 살고 있었을까요?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어떻게 그분의 손과 발이 되어줄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저를 구원하러 오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구원 사역에 동참하여 주님이 필요한 이들에게 주님의 사랑을 전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8/2022 Tuesday
LOVE’S GREATEST GIFT
Geoff roused him and asked if he was okay. “I’m trying to drink myself to death,” he responded. “My tent broke in a storm, and I lost everything. I don’t want to live.”
Geoff called a Christian rehabilitation ministry, and while they waited for help, he ran home briefly and brought the man his own camping tent. “What’s your name?” Geoff asked. “Geoffrey,” the homeless man answered, “with a G.” Geoff hadn’t mentioned his own name or its uncommon spelling. “Dad,” he told me later, “that could have been me.”
Geoff once struggled with substance abuse himself, and he helped the man because of the kindness he’d received from God. Isaiah the prophet used these words to anticipate God’s mercy to us in Jesus: “We all, like sheep, have gone astray, each of us has turned to his own way; and the Lord has laid on him the iniquity of us all” (ISAIAH 53:6).
Christ, our Savior, didn’t leave us lost, alone, and hopeless in despair. He chose to identify with us and lift us in love, so that we may be set free to live anew in Him. There’s no greater gift.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 H 53:1–6We all, like sheep, have gone astray. [ ISAIAH 53:6 ]
Where would you be without Jesus? How can you be His hands and feet for someone in need?
Thank You, Jesus, for coming to rescue me. Help me to join in Your search-and-rescue mission and to share Your love with someone who needs You today.
Read Remade in the Image of Jesus at DiscoverySeries.org/Remade.
오늘의 말씀
01/17/2022 월요일
폭풍에 맞서라
킹 목사는 그 다음날 암살자의 총탄에 맞아 세상을 떠났지만, 그날 밤 그의 연설은 지금까지도 억눌린 자들에게 “약속의 땅”에 대한 소망을 심어주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초창기 예수님을 따르던 사람들을 감동시킨 잊을 수 없는 한 메시지가 있었습니다. 히브리서는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때문에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던 유대인 신자들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 쓰인 것인데, 그들에게 소망을 잃어버리지 말라고 확고한 영적인 메시지로 격려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피곤한 손과 연약한 무릎을 일으켜 세우라”(12:12)는 권면이었습니다. 유대인인 그들은 그것이 본래 이사야 선지자가 했던 호소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을 것입니다(이사야 35:3).
그러나 지금 예수님의 제자인 우리는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하며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라”(히브리서 12:1-2)는 요구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요구를 받아들일 때 우리는 “피곤하여 낙심하지 않게”(3절) 될 것입니다.
우리 삶에서 돌풍과 폭풍우를 피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예수님 안에 서 있으면 삶의 거센 폭풍도 견뎌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2:1-3, 12-13예수를 바라보자... 너희가 피곤하여 낙심하지 않기 위하여 [히브리서 12:2-3]
삶의 영적 폭풍에 어떻게 맞서고 있습니까? 예수님과 그분의 약속을 의지함으로 어떻게 힘을 얻고 있습니까?
모든 영적인 폭풍을 잠잠케 하시는 예수님, 폭풍우가 몰아칠 때 주님께 소망을 둠으로 제 영혼이 평온케 하소서.
Daily Article
01/17/2022 Monday
BRAVE YOUR STORM
The next day, King was killed by an assassin’s bullet, but his speech still inspires oppressed people with the hope of “the promised land.” Likewise, early followers of Jesus were uplifted by a stirring message. The book of Hebrews, written to encourage Jewish believers facing threats for their faith in Christ, offers firm spiritual encouragement to not lose hope. As it urges, “strengthen your feeble arms and weak knees” (12:12). As Jews, they would recognize that appeal as originally coming from the prophet Isaiah (ISAIAH 35:3).
But now, as Christ’s disciples, we’re called to “run with perseverance the race marked out for us, fixing our eyes on Jesus, the pioneer and perfecter of faith” (HEBREWS 12:1–2). When we do so, we “will not grow weary and lose heart” (V. 3).
Certainly, squalls and storms await us in this life. But in Jesus, we outlast life’s tempests by standing in Him.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H EBRE WS 12:1–3, 12–13[Fix your] eyes on Jesus, . . . so that you will not grow weary and lose heart. [ HEBREWS 12:2–3 ]
How do you respond to life’s spiritual storms? As you look to Jesus and His promises, how does He encourage you?
Jesus, You calm every spiritual storm. When tempests rage, speak peace to my soul as I put my hope in You.
오늘의 말씀
01/16/2022 주일
어둠과 빛
때로 이 세상에 어두움과 절망밖에 없다고 느껴질 때 우리는 쉽게 좌절합니다. 하지만 그럴 때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들 안에 거하시는 성령께서(요한복음 14:17) 예수님이 바로 그 상처와 고통 때문에 돌아가셨다는 것을 우리에게 일깨워줍니다. 주님은 인간의 모습으로 이 세상에 오시면서 어두움 속에 빛을 가져오셨습니다(1:4-5; 8:12). 우리는 어둠을 틈타 예수님을 몰래 찾아와서 주님과 대화를 나눈 후 빛이신 주님에 의해 변화된 니고데모의 모습을 통해서도 이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3:1-2; 19:38-40).
예수님은 니고데모에게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3:16)고 가르쳐 주셨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이 이 세상에 빛과 사랑을 가져오셨음에도 아직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죄로 인한 어두움 속에서 방황하고 있습니다(19-20절). 그러나 우리가 예수님을 믿고 따른다면 우리에게는 어두움을 몰아낼 수 있는 빛이 있습니다. 그 사실에 감사하며, 우리를 주님의 사랑을 나타내는 빛으로 삼아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합시다(마태복음 5:14-16).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3:1-2, 16-20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 [요한복음 8:12]
언제 하나님의 사랑을 기억하고 소망이 회복된 적이 있습니까? 그리스도의 빛을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전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죄와 절망의 어두움에서 저를 구하려고 오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빛 가운데 거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6/2022 Sunday
DARKNESS AND LIGHT
Sometimes when the world around us seems to hold only darkness and despair, it’s easy to give in to despair. But then the Spirit, who lives inside believers in Christ (JOHN 14:17), reminds us that Jesus died for that brokenness and pain. When He came into the world as a human, He brought light into the darkness (1:4–5; 8:12). We see this in His conversation with Nicodemus, who furtively came to Jesus in the cover of darkness but left impacted by the Light (3:1–2; 19:38–40).
Jesus taught Nicodemus that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3:16).
Yet even though Jesus brought light and love into the world, many remain lost in the darkness of their sin (VV. 19–20). If we’re His followers, we have the light that dispels darkness. In gratitude, let’s pray that God will make us beacons of His love (MATTHEW 5:14–16).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O H N 3:1–2, 16–20I am the light of the world. Whoever follows me will never walk in darkness, but will have the light of life. [ JOHN 8:12 ]
When has your hope been renewed through remembering that God loves you? How can you share Christ’s light with others?
Thank You, God, for coming to save me from the darkness of sin and despair. Help me to remain in Your l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