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06/2022 주일
기도의 말문이 막힐 때
때때로 우리는 기도할 때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말문이 막히기도 합니다. 입술로는 상투적인 표현과 반복적인 문구만 되풀이하고, 마음은 천국을 향해도 하나님이 과연 들으실까 의문을 품기도 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생각은 초점을 잃고 갈팡질팡합니다.
바울 사도는 1세기 때 로마 교회의 신자들에게 쓴 편지에서 우리가 어떻게 기도할지 몰라 힘들 때 성령님의 도움을 구하라고 권면합니다.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로마서 8:26). 여기서 “도움”이라는 개념은 무거운 짐을 덜어준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말할 수 없는 탄식”은 우리의 필요를 하나님께 가져가는 성령님의 중보를 가리킵니다.
기도 중에 말문이 막힐 때 성령님은 우리의 혼란과 고통, 산만함을 다듬어서 우리의 마음에서 하나님의 귀로 전달해주는 완벽한 기도로 만들어줍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해 주시며, 우리가 성령님께 기도해달라고 요청할 때까지 필요한지조차 몰랐을 바로 그 위로를 가져다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22-27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로마서 8:26]
무엇을 또는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 몰랐던 때가 언제였습니까? 그 상황 속에서 하나님이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 모를 때 성령님이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06/2022 S U N DAY
TONGUE-TIED IN PRAYER
Sometimes we can be tongue-tied in prayer, not knowing what to say. Our tongues tie up in spiritual clichés and repetitive phrases. We arrow our emotions heavenward, wondering if they will reach
God’s ears. Our thoughts zigzag along an unfocused path.
Writing to first-century Roman believers in Christ, the apostle Paul addressed what to do when we struggle to know how to pray, inviting us to find help from the Holy Spirit.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through wordless groans” (ROMANS 8:26). The concept of “help” here is to carry a heavy load. And “wordless groans” indicates an interceding presence as the Spirit carries our needs to God.
When we’re tongue-tied in prayer, God’s Spirit helps shape our confusion, pain, and distraction into the perfect prayer that moves from our hearts to God’s ears. He listens and answers, bringing the exact kind of comfort we may not have known we needed until we asked Him to pray for us.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ROMANS 8:22–27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through wordless groans. [ ROMANS 8:26 ]
When have you not known what or how to pray? How did God help you through that situation?
Dear God, thank You for Your Spirit’s help when I don’t know how to pray.
오늘의 말씀
03/05/2022 토요일
안전한 주의 손
머키 목사는 이 작품의 디자인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이 조각품은 그의 손 안에 숨으라는 그리스도의 초대입니다.” 시편 32편에서 다윗은 궁극적으로 안전한 장소, 곧 하나님 그분을 찾았다고 기록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1-5절), 혼란 가운데서도 그분께 기도하라고 권면하십니다(6절). 7절에서 시편 기자는 하나님을 향한 신뢰를 이렇게 선언합니다. “주는 나의 은신처이오니 환난에서 나를 보호하시고 구원의 노래로 나를 두르시리이다.”
어려운 일이 생길 때 어디로 향합니까? 이 세상에 존재케 해주는 연약한 끈이 풀리기 시작할 때 예수님의 용서의 사역으로 영원한 안전을 제공해주신 하나님께로 달려갈 수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감사한지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2주는 나의 은신처이오니 환난에서 나를 보호하시고 [시편 32:7]
예수님 안에서 피난처를 찾고 안전과 용서를 누릴 수 있다는 사실이 어떤 의미가 있었고 앞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보살핌이 필요하거나 두렵거나 무거운 짐들로 도움이 필요할 때 하나님이 어떻게 공급해 주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 없이 살아가려고 했던 저의 날들을 하나님은 아십니다. 안전을 위한 저의 그릇된 계획을 버리고 곧바로 아버지께 달려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05/2022 SATURDAY
SAFE HANDS
Doug explained the design of his artwork this way: The “sculpture is Christ’s invitation to hide in Him.” In Psalm 32, David wrote as one who had found the ultimate safe place—God Himself. He offers us forgiveness from our sin (VV. 1–5) and encourages us to offer prayer in the midst of tumult (V. 6). In verse 7, the psalmist declares his trust in God: “You are my hiding place; you will protect me from trouble and surround me with songs of deliverance.”
When trouble shows up, where do you turn? How good it is to know that when the fragile cords of our earthly existence begin to unravel, we can run to the God who has provided eternal safety through the forgiving work of Jesus.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32You are my hiding place; you will protect me from trouble. [ PSALM 32:7 ]
What has it meant or what will it mean for you to find shelter, safety, and forgiveness in Jesus? How does He provide what you need for your cares, fears, and burdens?
Father, You know the times I’ve sought to piece my life together without You. Help me to forsake my misguided plans for safety and to run swiftly to You.
오늘의 말씀
03/04/2022 금요일
흔들리지 않는 믿음
생전에 그의 아버지 래리는 근심이 없었고 항상 미소를 지으며 다른 사람들을 격려해주었습니다. 아버지가 그렇게 행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상자에 넣을 수 없는 다른 “소유물”, 곧 구주 예수님을 향한 흔들림 없는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보물을 하늘에 쌓아두라”(마태복음 6:20)고 권면하십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집이나 차를 사거나 미래를 위해 저축하거나 많은 재산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하신 것은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 마음의 중심을 살피라고 강조하신 것입니다. 아버지 래리는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살았을까요? 그의 마음은 다른 사람을 사랑함으로써 하나님을 사랑하는데 맞춰져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지내고 있던 복도를 왔다 갔다 하면서 마주치는 사람들에게 인사를 나누고 격려했습니다. 누군가 울고 있으면 위로의 말을 건네거나 들어주었고 진심으로 기도해 주었습니다. 그의 마음은 하나님의 영광과 다른 사람들의 선을 위해 사는 데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하나님과 이웃들을 사랑하는 보다 중요한 일을 방해하고 혼란스럽게 하는 하잘것없는 것들로 우리가 과연 행복할 수 있을지 자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의] 보물 있는 그 곳에는 [우리의] 마음도 있느니라”(21절).
우리가 어떻게 사는가를 보면 우리가 무엇에 더 가치를 두는가가 나타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19-24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하니라 [누가복음 12:15]
당신의 우선순위가 바뀔 여지가 있습니까? 당신에게서 하나님이 바라시는 변화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을 사랑합니다. 저의 위대한 사랑이 되어 주소서. 제가 하나님을 어떻게 더 닮아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3/04/2022 FRIDAY
UNSHAKABLE FAITH
His dad, Larry, had been carefree and always ready with a smile and an encouraging word for others. The reason for his happiness was another “possession” that didn’t fit into a box: an unshakable faith in his Redeemer, Jesus.
Jesus urges us to “store up . . . treasures in heaven” (MATTHEW 6:20). He didn’t say we couldn’t own a home or buy a car or save for the future or have numerous possessions. But He urged us to examine the focus of our hearts. Where was Larry’s focus? His heart was set on loving God by loving others. He would wander up and down the halls where he lived, greeting and encouraging those he met. If someone was in tears, he was there with a comforting word or listening ear or heartfelt prayer. His mind was focused on living for God’s honor and the good of others.
We might want to ask ourselves if we could be happy with fewer things that clutter and distract us from the more important matters of loving God and others. “Where [our] treasure is, there [our] heart will be also” (V. 21). What we value is reflected in how we live. - ANNE CETAS
Today's Reading
MATTHEW 6:19–24Life does not consist in an abundance of possessions. [ LUKE 12:15 ]
Are there ways in which your priorities are out of order? What changes do you think God might want you to make?
I love You, dear God, and want You as my greatest love. Show me how I can become more like You.
오늘의 말씀
03/03/2022 목요일
하나님이 주시는 격려
작은 격려가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특히 하나님이 함께 하실 때면 더욱 그렇습니다. 성경은 다윗이 “그의 생명을 빼앗으려” 하는 사울 왕으로부터 도망칠 때 있었던 일에 대해 말해줍니다. 그때 사울의 아들 요나단이 다윗을 찾아와서 “그에게 하나님을 힘 있게 의지하게 하였는데 곧 요나단이 그에게 이르기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 아버지 사울의 손이 네게 미치지 못할 것이요 너는 이스라엘 왕이 되리라’”고 하였습니다(사무엘상 23:15-17).
요나단이 옳았습니다. 다윗은 왕이 될 것이었습니다. 요나단이 준 격려가 효력이 있었던 주 요인은 “하나님 안에서”(16 절)라는 간단한 구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통하여 우리에게 “영원한 위로와 좋은 소망”을 주십니다(데살로니가후서 2:16).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겸손하게 몸을 낮출 때 하나님은 우리를 일으켜 세워주십니다. 어느 누구도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우리 주위에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격려가 필요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요나단이 다윗을 찾은 것처럼 우리도 그들을 찾아 친절한 말과 행동으로 하나님께 인도하면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해주실 것입니다. 이 세상에서의 삶이 어떻든, 그분을 신뢰하는 사람들에게는 영원한 밝은 미래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23:15-24사울의 아들 요나단이 일어나...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하나님을 힘 있게 의지하게 하였는데 [사무엘상 23:16]
당신의 신앙 여정에서 누군가에게서 특별한 격려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오늘 누군가의 믿음을 굳건하게 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이 주시는 격려와 비교할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 안에서 새로운 힘을 얻도록 도울 수 있는기회를 허락하소서.
Daily Article
03/03/2022 THURSDAY
ENCOURAGED IN GOD
A little encouragement can go a long way, especially when God is in it. Scripture tells of an incident when David was on the run from King Saul, who was trying “to take his life.” Saul’s son Jonathan sought David out “and helped him find strength in God. ‘Don’t be afraid,’ he said. ‘My father Saul will not lay a hand on you. You will be king over Israel’ ” (1 SAMUEL 23:15–17).
Jonathan was right. David would be king. The key to the effective encouragement Jonathan offered is found in the simple phrase “in God” (V. 16). Through Jesus, God gives us “eternal encouragement and good hope” (2 THESSALONIANS 2:16). As we humble ourselves before Him, He lifts us as no other can.
All around us are people who need the encouragement God gives. If we seek them out as Jonathan sought David and gently point them to God through a kind word or action, He’ll do the rest. Regardless of what this life may hold, a bright future in - JAMES BANKS
Today's Reading
1 SAMUEL 23:15–24Saul’s son Jonathan went to David . . . and helped him find strength in God. [ 1 SAMUEL 23:16 ]
How did someone provide special encouragement to you in your faith journey? What can you do to strengthen someone’s faith today?
Loving God, there’s nothing like the encouragement You give. Please give me opportunities to help others find new strength in You.
오늘의 말씀
03/02/2022 수요일
받은 은사 활용하기
어느 호텔 방에 있던 성경에서 로마서를 읽고 예수님을 믿게 된 슈쉐이는 그 오디오 성경 프로젝트야말로 “27년이 걸린 야망”의 성취라고 말했습니다. “나는 그 프로젝트에 전적으로 매달렸습니다. 나는 성경 낭송을 위해 하나하나 꼼꼼히 준비했기 때문에 문제없이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낭송 사업을 마치고 나서 슈쉐이는 그 일로 받은 보수를 모두 기부했습니다.
슈쉐이의 오디오 성경은 그가 받은 은사를 잘 활용하여 나눔으로써 어떻게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는지 보여주는 감동적인 일화입니다. 베드로는 초대교회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바로 그와 같은 충직한 청지기의 삶을 살라고 강권했습니다. 가이사가 아닌 예수님을 경배했기 때문에 박해를 받은 당시 신자들은 그들의 영적 은사를 양육하여 하나님을 위한 삶에 집중하라는 도전을 받고 있었습니다. “만일 누가 말하려면 하나님의 말씀을 하는 것 같이 하라”(베드로전서 4:11). 우리는 다른 모든 은사처럼 우리가 받은 은사들을 잘 개발함으로써 “범사에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게” 할 수 있습니다.
슈쉐이는 그가 받은 재능을 하나님께 드렸습니다. 우리도 똑같이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당신에게 무슨 재능을 주셨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그것을 잘 활용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7-11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서로 봉사하라 [베드로전서 4:10]
하나님께서 주신 당신의 재능과 영적 은사들을 말해 보십시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어떻게 그것들을 더 잘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때로는 제가 받은 은사와 재능들을 그냥 낭비했습니다. 제가 더욱 헌신하여 주신 은사들을 잘 활용함으로써 세상이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3/02/2022 WEDNESDAY
MANAGING OUR GIFTS
Suchet, who became a believer in Jesus after reading the book of Romans in a Bible he found in a hotel room, called the project the fulfillment of “a 27-year-long ambition. I felt totally driven. I
did so much research on every part of it that I couldn’t wait to get going.” Then he donated his wages.
His recording remains an inspiring example of how to glorify God by stewarding a gift, then sharing it. Peter urged such stewardship in his letter to first-century believers. Persecuted for worshiping Jesus, not Caesar, they were challenged to focus instead on living for God by nurturing their spiritual gifts. “If anyone speaks, they should do so as one who speaks the very words of God” (1 PETER 4:11). Like all gifts, we can develop them “so that in all things God may be praised through Jesus Christ.”
Suchet offered his talents to God. We can do the same. Whatever God has given to you, manage it well for His glory.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1 PETER 4:7–11Each of you should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to serve others. [ 1 PETER 4:10 ]
How would you describe your God-given talents and spiritual gifts? What could you do to manage or steward them better for God’s glory?
Heavenly Father, at times I’ve squandered my gifts and talents. Sharpen my commitment to manage the gifts You’ve given me so the world praises You.
오늘의 말씀
03/01/2022 화요일
우정 어린 대화
어느 주일 오후 캐서린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날 아침 목사님이 어떻게 영생을 얻는지에 대해 설교하셨는데, 내 친구는 나와 달리 성경의 가르침을 곧이곧대로 믿지 않았습니다.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예수님과 어떻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설명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내가 하는 말을 거부하고 나를 멀리할까 봐 두려워서 망설여졌습니다.
많은 경우 이런 두려움 때문에 우리는 침묵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바울 사도도 사람들에게 그가 “복음의 비밀을 담대히 알리게”(에베소서 6:19) 해달라고 기도를 부탁할 정도였습니다. 복음을 전할 때 생기는 위험을 피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바울은 스스로를 하나님을 대신해서 말하는 “사신”이라고 말했습니다(20절). 우리 또한 사신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우리의 메시지를 거부한다면 그 메시지를 보내신 분도 함께 거부하는 것입니다. 하나님도 우리와 함께 고통을 경험하십니다.
그러면 무엇이 우리로 담대히 말하도록 만들어 줄까요? 그것은 하나님이 우리를 아끼시는 것처럼(베드로후서 3:9), 사람들을 아끼는 마음입니다. 내가 캐서린에게 전화를 건 것도 바로 그 때문이었습니다. 놀랍게도 친구는 내 말을 막지 않고, 경청하며 질문도 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 자신의 죄를 용서해 주시기를 간구하며 주님을 위해 살기로 결심했습니다. 그 위험은 충분히 보상 받을 만큼 가치가 있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6:18-20[또 나를 위하여 구할 것은] 나로 복음의 비밀을 담대히 알리게 하옵소서 할 것이니
[에베소서 6:19]
하나님은 당신이 하나님을 대신해서 누구에게 복음을 전하기를 원하십니까?
무엇이 그것을 망설이게 합니까?
기도는 이런 상황에서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다가갈 용기를 주시고, 언제 어떻게 하나님에 대해 대화를 시작해야 할지 알 수 있는 지혜를 주소서.
Daily Article
03/01/2022 TUESDAY
A FRIENDLY CONVERSATION
One Sunday afternoon, I started to think about Catherine. My pastor had spoken that morning about how to have eternal life, and I knew my friend didn’t believe the Bible’s teachings the way I did. I felt a burden to call her and explain how she could have a relationship with Jesus. I hesitated, though, because I was afraid she would reject what I said and distance herself from me.
I think this fear keeps a lot of us quiet. Even the apostle Paul had to ask people to pray that he would “fearlessly make known the mystery of the gospel” (EPHESIANS 6:19). There’s no getting around the risk involved with sharing the good news, yet Paul said he was “an ambassador”—someone speaking on behalf of God (V. 20). We are too. If people reject our message, they’re also rejecting the One who sent the message. God experiences the sting along with us.
So what compels us to speak up? We care about people, like God does (2 PETER 3:9). That’s what led me to finally call Catherine. Amazingly, she didn’t shut me down. She listened. She asked questions. She asked Jesus to forgive her sin and decided to live for Him. The risk was worth the reward.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EPHESIANS 6:18–20[Pray for me] that I will fearlessly make known the mystery of the gospel.
[ EPHESIANS 6:19 ]
Whom might God want you to speak to on His behalf?
What’s stopping you?
What effect would prayer have on this situation?
Dear Father, give me the courage to reach out to people who don’t know You. Give me wisdom to know when and how to start
conversations about You.
오늘의 말씀
02/28/2022 월요일
축하를 선택하기
“질투의 반대는 축하”라는 그 통찰은 긴 여운을 내게 남기면서, 다른 사람과의 비교에서 자유롭고, 다른 사람들을 깊이 진실로 기뻐하는 그런 삶을 사는 듯한 내 친구들을 떠올려주었습니다.
질투는 빠지기 쉬운 함정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가장 깊은 내면의 연약함과 상처, 두려움을 먹고 자라며, 우리가 조금만 더 이러저러하다면 힘들거나 낙담하지 않을 거라고 계속 속삭입니다.
베드로가 베드로전서 2장에서 새로 믿음을 가진 자들에게 일깨운 것처럼, 질투심이 우리에게 하는 거짓말을 “없앨”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진리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주의 인자하심을 맛보는 것”, 곧 깊이 체험하는 것입니다(1-3 절). 우리 기쁨의 진정한 원천이 “살아 있고 항상 있는 하나님의 말씀”(1:23) 임을 알 때, 우리는 “마음으로 뜨겁게 서로 사랑”(1:22)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진정한 모습이 사랑받는 “택하신 족속이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라는 것을 기억하면 비교하는 마음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도록”(2:9) 부름을 받은 자들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1-3, 9-10평온한 마음은 육신의 생명이나 시기는 뼈를 썩게 하느니라
[잠언 14:30]
당신의 삶에 영향을 주었던, 비교하지 않고 기뻐했던 어떤 사례가 있습니까?
자신이 그리스도의 지체임을 기억하는 것이 어떻게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것으로부터 당신을 자유케 합니까?
모든 선한 것들의 원천이신 사랑의 하나님, 질투가 주는 거짓말들, 곧 기쁨을 메마르게 하고 “뼈를 썩게 만드는” 거짓말들을 버리고, 대신 하나님 나라의 수많은 삶의 아름다운 선물들을 기뻐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8/2022 MONDAY
CHOOSING CELEBRATION
That insight—“the opposite of envy is celebration”—lingers with me, reminding me of friends in my own life who seem to live out this kind of comparison-free, deep, and genuine joy for others.
Envy is an easy trap to fall into. It feeds on our deepest vulnerabilities, wounds, and fears, whispering that if we were only more like so-and-so, we wouldn’t be struggling, and we wouldn’t be feeling bad.
As Peter reminded new believers in 1 Peter 2, the only way to “rid [ourselves]” of the lies that envy tells us is to be deeply rooted in the truth, to “have tasted”—deeply experienced—“that the Lord is good” (VV. 1–3). We can “love one another deeply, from the heart” (1:22) when we know the true source of our joy—“the living and enduring word of God” (V. 23).
We can surrender comparison when we remember who we really are—beloved members of “a chosen people, . . . God’s special possession.” We’re called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2:9).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1 PETER 2:1–3, 9–10A heart at peace gives life to the body, but envy rots the bones.
[ PROVERBS 14:30 ]
What examples of comparison-free joy have influenced your life?
How does remembering your place in the body of Christ free you from the need to compare yourself to others?
Loving God, source of all that’s good, help me to let go of envy’s lies, the kind of lies that suck out joy and “rot the bones.” Help me to instead celebrate the countless beautiful gifts of life in Your kingdom.
오늘의 말씀
02/27/2022 주일
복음의 기쁨
이사야 선지자가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사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61:1)라고 했을 때 이를 들었던 이스라엘 민족도 같은 느낌이었을 것입니다. 그들이 황폐한 땅을 보며 무너진 삶과 암울한 미래로 모든 것을 다 상실한 것 같았던 바로 그 순간에 이사야는 또렷한 목소리로 기쁜 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하나님은 “마음이 상한 자를 고치며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오래 황폐하였던 곳을 다시 쌓을 것이며 옛부터 무너진 곳을 다시 일으킬”(1, 4절) 것을 계획하셨습니다. 사람들은 공포 한가운데에서 하나님의 확실한 약속, 곧 하나님이 주시는 기쁜 소식을 들었습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바로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의 기쁜 소식을 듣습니다. ‘복음’이라는 말의 의미가 바로 그것입니다. 우리가 공포나 고통, 실패 가운데 있을 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좋은 소식을 전해주시며, 그럴 때 우리의 괴로움은 기쁨으로 바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1:1-7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사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
[이사야 61:1]
당신의 어떤 부분에서 기쁜 소식을 경험할 필요가 있습니까?
언제 하나님의 기쁜 소식으로 두려움과 걱정이 기쁨으로 바뀐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 저에게 기쁜 소식이 필요합니다.
항상 나쁜 소식을 듣지만, 하나님께서 세상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싶습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이 저에게 필요합니다.
Daily Article
02/27/2022 SUNDAY
THE JOY OF GOOD NEWS
This must have been something like what Israel felt when they heard these words from the prophet Isaiah: “The Lord has anointed me to proclaim good news to the poor” (61:1). As they looked over the wasteland of their wrecked lives and grim future, Isaiah’s clear voice brought good news at the very moment when all seemed lost. God intended to “bind up the brokenhearted, to proclaim freedom for the captives. . . . [To] rebuild the ancient ruins and restore the places long devastated” (VV. 1, 4). In the midst of their terror, the people heard God’s assuring promise, His good news.
For us today, it’s in Jesus that we hear God’s good news—this is what the word gospel means. Into our fears, pains, and failures, He delivers good news. And our distress gives way to joy.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61:1–7The Lord has anointed me to proclaim good news.
[ ISAIAH 61:1 ]
Where do you need to experience good news?
When has God’s good news replaced your fear and worry with joy?
God, I need some good news. I hear bad news all the time.
I need to hear what You say about things.
I need the joy You bring.
오늘의 말씀
02/26/2022 토요일
가족의 일원
우리는 한때 “외인과 나그네”(에베소서 2:19)로 여겨졌고 하나님 가족의 일원에게 주어지는 권리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들은 그들의 배경에 상관없이 하나님과 화해하여 “하나님의 권속”(19절)으로 불립니다.
하나님의 가족이 되는 것은 엄청난 권리와 특권을 가져다줍니다. 우리는 “담대함과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갈”(3:12) 수 있으며, 방해받지 않고 무제한으로 하나님을 가까이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더 큰 가족, 곧 우리를 지지하고 격려해주는 믿음의 공동체의 일부가 됩니다 (2:19-22). 하나님의 가족 구성원들은 아낌없이 주시는 하나님의 엄청난 사랑을 붙잡을 수 있도록 서로 도와주는 특권을 지니고 있습니다(3:18).
두려움이나 의심은 우리로 하여금 쉽게 외인처럼 느끼게 하고, 하나님의가족의 일원이 되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게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거저 주시는 풍성한 사랑의 선물(2:8–10)에 대해 다시 듣고 받아들여, 하나님의 가족이라는 그 경이로움을 즐겨 누리십시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9-22그러므로 이제부터 너희는 외인도 아니요 나그네도 아니요 오직 성도들과 동일한 시민이요 하나님의 권속이라
[에베소서 2:19]
하나님의 가족이 되면 어떤 다른 혜택들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을 알 때 오늘 얼마나 담대히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를 하나님 가족으로 즐거이 받아 주시고, 하나님의 자녀로서 그에 따르는 모든 권리와 특권까지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26/2022 SATURDAY
PART OF THE FAMILY
We were once considered “foreigners and strangers” (EPHESIANS 2:19) and excluded from the rights given to those who are part of God’s family. But because of Jesus, all believers,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are reconciled to God and called “members of his household” (V. 19).
Being a member of God’s family brings incredible rights and privileges. We can “approach God with freedom and confidence” (3:12) and enjoy unlimited, unhindered access to God. We become part of a larger family, a community of faith to support and encourage us (2:19–22). Members of God’s family have the privilege of helping each other grasp the enormity of God’s lavish love (3:18).
Fear or doubt could easily make us feel like an outsider, keeping us from fully accessing the benefits of being part of God’s family. But hear and embrace once more the reality of God’s free and generous gifts of love (2:8–10) and bask in the wonder of being His.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EPHESIANS 2:19–22You are no longer foreigners and strangers, but fellow citizens with God’s people and also members of his household.
[ EPHESIANS 2:19 ]
What are some other benefits of belonging to the household of God?
How might you approach God in confidence today knowing you’re one of His children?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welcoming me into Your family and giving me all the rights and privileges that come with being
a child of God.
오늘의 말씀
02/25/2022 금요일
문을 피하라
문은 우리를 멋진 곳이나 아니면 위험한 곳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성적인 유혹을 피하라는 잠언 5장의 솔로몬의 충고에서 문이 두드러지게 눈에 띕니다. 그는 성적인 죄는 매혹적이지만 그것을 추구하면 곤경에 처한다고 말합니다 (5:3-6). 그 문을 지나 들어가면 거기에 갇혀 명예는 사라지고 낯선 사람들이 부를 빼앗아갈 것이기 때문에 그 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7-11절). 솔로몬은 대신 자신의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누리라고 충고합니다 (15-20절). 그의 충고는 여러 다른 죄에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21-23 절). 그것이 과식이나 과소비, 혹은 어떤 다른 유혹이든, 하나님은 우리가 덫에 갇히게 되는 문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실 수 있습니다.
겨울잠쥐는 집주인이 정원에 있는 새 모이통에서 그를 발견하고 풀어주었을 때 틀림없이 행복했을 것입니다. 감사한 것은 하나님의 손도 우리가 갇혔을 때 우리를 자유롭게 해주실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먼저 덫에 가두는 문을 피할 수 있도록 하나님의 능력을 구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잠언 5:1-14네 길을 그에게서 멀리하라 그의 집 문에도 가까이 가지 말라
[잠언 5:8]
당신을 가장 유혹하는 “문”은 어떤 것입니까?
오늘 그 문을 어떻게 피하시겠습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덫에 가두는 문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5/2022 FRIDAY
AVOID THE DOOR
Doors can lead us to wonderful places—or dangerous ones. A door features prominently in Solomon’s advice in Proverbs 5 on avoiding sexual temptation. While sexual sin may be enticing, he says, trouble awaits if it’s pursued (5:3–6). Best to stay far from it, for if you walk through that door you’ll be trapped, your honor lost, your wealth pecked away by strangers (VV. 7–11). Solomon counsels us to enjoy the intimacy of our own spouse instead (VV. 15–20). His advice can apply to sin more broadly too (VV. 21–23). Whether it’s the temptation to overeat, overspend, or something else, God can help us to avoid the door that leads to entrapment.
The dormouse must’ve been happy when the homeowner found him in her garden birdfeeder and freed him. Thankfully, God’s
hand is also ready to free us when we’re trapped. But let’s call on His strength to avoid the door of entrapment in the first place.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PROVERBS 5:1–14Keep to a path far from her, do not go near the door of her house.
[ PROVERBS 5:8 ]
What “door” leads to your greatest temptation?
How will you avoid that door today?
Almighty God, help me avoid the door that leads to entrap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