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16/2022     수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28-29; 마가복음 14:54-72
찬송가: 366(통485)

고맙지만 괜찮습니다

인도에 있는 자폐아동들을 위한 기독교 학교가 어떤 기업으로부터 큰 기부금을 받았습니다. 아무런 조건 없이 주는 것임을 확인하고 돈을 받았으나, 나중에 그 기업이 학교 이사회의 이사 자리를 요구하자 학교장은 그 기부금을 돌려주었습니다. 학교의 가치가 손상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던 학교장은 “하나님의 방식으로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도움을 거절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이것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우리는 성경에서 또 다른 이유 하나를 봅니다. 포로로 잡혀 있던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되돌아갈 때, 고레스 왕은 그들에게 성전을 재건하라고 명령했습니다(에스라 3 장). 이웃에 있는 대적들이 와서 “우리도 너희와 함께 건축하게 하라 우리도 너희 같이 너희 하나님을 찾노라”(4:2)고 말했지만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은 그것을 거절했습니다. 그들은 대적들의 도움을 받아들이는 것이 성전 재건 작업의 본질을 훼손할 수 있으며, 이웃 나라가 우상을 숭배했기 때문에 자신들의 공동체에도 우상숭배가 스며들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내린 결정은 옳았습니다. 후에 그 “이웃 나라”들이 건축을 막기 위해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했기 때문입니다.

성령님의 도우심과 예수님을 믿는 지혜로운 성도들의 권면으로 우리는 분별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방법으로 행해지는 하나님의 일은 하나님이 부족함 없이 공급하실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영적인 위험을 미묘하게 감추고 있는 친절한 제안을 단호히 거절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라 4:1-5, 24
너희는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함께 메지 말라 [고린도후서 6:14]

하나님의 일에 이해 상충을 일으킬 수 있는 사람들과 손을 잡는 것은 어떤 면에서 위험합니까? 우리는 어떻게 분별력을 키울 수 있을까요?

제 필요를 아시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다른 사람과 언제 손을 잡아야 하는지 알 수 있는 지혜와 분별력을 제게 주소서.

Daily Article

03/16/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28–29; MARK 14:54–72
Hymn: 366(OLD 485)

THANKS, BUT NO THANKS

A Christian school for autistic children in India received a big donation from a corporation. After checking that there were no strings attached, they accepted the money. But later, the corporation requested to be represented on the school board. The school director returned the money. She refused to allow the values of the school to be compromised. She said, “It’s more important to do God’s work in God’s way.”

There are many reasons to decline help, and this is one of them. In the Bible we see another. When the exiled Jews returned to Jerusalem, King Cyrus commissioned them to rebuild the temple (EZRA 3). When their neighbors said, “Let us help you build because, like you, we seek your God” (4:2), the leaders of Israel declined. They concluded that by accepting the offer of help, the integrity of the temple rebuilding project might have been compromised and idolatry could have crept into their community since their neighbors also worshiped idols. The Israelites made the right decision, as their “neighbors” then did all they could to discourage the building.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and the counsel of wise believers in Jesus, we can develop discernment. We can also be confident to say no to friendly offers that may hide subtle spiritual dangers because God’s work done in His way will never lack His provision.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EZRA 4:1–5, 24
Do not be yoked together with unbelievers. [ 2 CORINTHIANS 6:14 ]

What are the dangers of joining hands with those who would bring a conflict of interest to God’s work? How can you develop discernment?

Loving Father, You know my need. Help me to be wise and discerning in knowing when to partner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3/15/2022     화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26-27; 마가복음 14:27-53
찬송가: 510(통276)

공식은 필요 없음

젠이 어렸을 때 주일학교 선생님은 좋은 의도로 학생들에게 전도훈련을 시켰는데, 거기에는 성경 구절과 복음을 전하는 공식을 암기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젠과 친구는 긴장하며 다른 친구에게 배운 것을 시도하면서, 중요한 구절이나 전도 공식의 중요 단계를 잊어버릴까 봐 불안해했습니다. 젠은 “그날 저녁 그 친구가 회심을 했는지 기억나지 않지만 [아마도]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고 회상합니다. 그 접근법은 사람보다는 공식에 더 치중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몇 년이 지난 지금 젠과 남편은 자녀들에게 하나님을 향한 사랑의 본을 보이며 더 친근한 방법으로 믿음을 나누고 있습니다. 자녀들에게 하나님과 성경, 예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아는 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님과 성경에 대한 사랑을 매일 보여주면서 그 일을 하고 있습니다. “세상의 빛”(마태복음 5:14)이 되는 것과 친절한 행위와 말로 다른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직접 보여주는 것입니다. 젠은 말합니다. “우리 안에 생명의 말씀을 지니고 있지 않다면 다른 이들에게 그것을 전할 수 없습니다.” 이들 부부는 자신의 생활 속에서 친절을 보임으로써 자녀들도 “다른 이들을 믿음으로 초대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예수님께로 인도하기 위한 공식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여 우리를 통해 빛나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 안에 살면서 그 사랑을 나눌 때 하나님은 다른 이들도 그분을 알도록 이끌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13-16
너희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 [마태복음 5:16]

다른 사람들에게 복음을 어떻게 전하셨습니까? 그 결과가 어땠습니까? 예수님을 전할 다른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과의 사랑의 관계를 다른 사람들도 경험하기를 원합 니다. 저의 행동과 말로 다른 이들을 하나님께 이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15/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26–27; MARK 14:27–53
Hymn: 510(OLD 276)

NO FORMULA NEEDED

When Jen was young, her well-intentioned Sunday school teacher instructed the class in evangelism training, which included memorizing a series of verses and a formula for sharing the gospel. She and a friend nervously tried this out on another friend, fearful they’d forget an important verse or step. Jen doesn’t “remember if the evening ended in conversion [but guesses] it did not.” The approach seemed to be more about the formula than the person.

Now, years later, Jen and her husband are modeling for their own children a love for God and sharing their faith in a more inviting way. The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eaching their children about God, the Bible, and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Jesus, but they’re doing so through a living, daily example of a love for God and the Scriptures. They’re demonstrating what it means to be the “light of the world” (MATTHEW 5:14) and to reach out to others through kindness and hospitable words. Jen says, “We cannot impart words of life to others if we don’t possess them ourselves.” As she and her husband show kindness in their own lifestyle, they’re preparing their children “to invite others into their faith.”

We don’t need a formula to lead others to Jesus—what matters most is that a love for God compels and shines through us. As we live in and share His love, God draws others to know Him too.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MATTHEW 5:13–16
Let your light shine before others, that they may see your good deeds and glorify your Father in heaven. [ MATTHEW 5:16 ]

How have you shared the good news with another? What was the result? What are some other ways you could share about Jesus?

Dear God, I want others to experience the loving relationship I have with You. Help me in my walk and talk to draw others to You.

오늘의 말씀

03/14/2022     월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23-25; 마가복음 14:1-26
찬송가: 455(통507)

예수님이 보여준 정의

로마의 첫 번째 황제인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기원전 63 년-서기 14 년)는 법과 질서를 존중하는 통치자로 알려지고 싶어 했습니다. 그는 노예와 무력 정복과 뇌물을 바탕으로 제국을 건설했지만, 사법 절차를 새롭게 마련했고 오늘날의 사법 제도에서 정의의 여신으로 불리는 유스티티아를 로마 시민에게 소개했습니다. 또한 그는 제국의 인구 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 마리아와 요셉이 베들레헴으로 가게 되어 그 위대함이 땅 끝까지 미칠 오래 기다려 온 통치자가 그곳에서 탄생하게 되었습니다(미가 5:2-4).

아우구스투스를 비롯한 세상 사람들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것은 그 누구보다 위대한 왕이신 예수님이 진정한 정의가 무엇인지를 보여주기 위해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을 것인가 하는 사실이었습니다. 수 세기 전 미가 선지자의 시대에 하나님의 백성들은 또다시 속임수와 폭력과 “부정축재”의 문화에 젖어 있었습니다(6:10-12). 하나님이 끔찍이 사랑하셨던 민족이 하나님을 보지 못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이 서로 공의를 행하며 겸손하게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의 참뜻을 세상에 보여주기를 간절히 원하셨습니다(8 절).

정의의 화신인 섬김의 왕이 상처받고 잊혀지고 무력한 이들이 갈망하던 정의를 제대로 보여주셨습니다. 미가의 예언이 이루어져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과 사람, 그리고 사람 사이의 올바른 관계가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카이사르처럼 법과 질서를 강요하는 외적인 힘이 아니라, 우리의 섬김의 왕이신 예수님의 자비, 선, 영혼의 자유에서 우러나오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미가 6:1-8
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은 오직 정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하게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 [미가 6:8]

정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하게 하나님과 함께 행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예수님의 삶에서 이것이 어떻게 실천되었다고 보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의 이름으로 간구합니다. 하나님께서 제 삶에 허락하신 모든 이들에게 옳은 일을 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14/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23–25; MARK 14:1–26
Hymn: 455(OLD 507)

JUSTICE AND JESUS

Caesar Augustus (63 BC–AD 14), the first emperor of Rome, wanted to be known as a law-and-order ruler. Even though he built his empire on the back of slave labor, military conquest, and financial bribery, he restored a measure of legal due process and gave his citizens Iustitia, a goddess our justice system today refers to as Lady Justice. He also called for a census that brought Mary and Joseph to Bethlehem for the birth of a long-awaited ruler whose greatness would reach to the ends of the earth (MICAH 5:2–4).

What neither Augustus nor the rest of the world could have anticipated is how a far greater King would live and die to show what real justice looks like. Centuries earlier, in the prophet Micah’s day, the people of God had once again lapsed into a culture of lies, violence, and “ill-gotten treasures” (6:10–12). God’s dearly loved nation had lost sight of Him. He longed for them to show their world what it meant to do right by each other and walk humbly with Him (V. 8).

It took a Servant King to personify the kind of justice that hurting, forgotten, and helpless people long for. It took the fulfillment of Micah’s prophecy in Jesus to see right relationships established
between God and people, and person-to-person. This would come not in the outward enforcement of Caesar-like law-and-order, but in the freedom of the mercy, goodness, and spirit of our servant
King Jesus. - MART DEHAAN

Today's Reading

MICAH 6:1–8
What does the Lord require of you? To act justly and to love mercy and to walk humbly with your God. [ MICAH 6:8 ]

What does it mean to you to act justly, love mercy, and walk humbly with God? How do you see this lived out in the life of Jesus?

Father, in the name of Jesus, please help me do right by others and everyone You bring into my life.

오늘의 말씀

03/13/2022     주일

성경읽기: 신명기 20-22; 마가복음 13:21-37
찬송가: 255(통187)

사마귀를 포함해 모든 것

“영국의 수호자”로 알려져 있는 올리버 크롬웰은 17 세기 당시 영국군 사령관이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중요한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리고 화가들은 그 사람 얼굴의 덜 매력적인 부분은 보통 그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실물보다 나아 보이게 하는 초상화를 원하지 않았던 크롬웰은 화가에게 이렇게 주의를 주었습니다. “사마귀를 포함해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그려 주시오. 그렇지 않으면 돈을 지불하지 않겠소.”

분명히, 그 화가는 그 말을 따랐던 것 같습니다. 요즘이라면 소셜 미디어에 올리기 전에 당연히 걸러내거나 에어브러시로 수정해 버렸을 커다란 사마귀 두 개가 크롬웰의 초상화에는 그려져 있습니다.

“사마귀를 포함해 모든 것”이라는 표현은 사람들의 거슬리는 단점이나 태도, 문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함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어떤 경우에 그것이 너무 어렵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볼 때 우리 자신의 성품에도 상당히 못난 부분이 있음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사마귀”를 용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골로새서 3 장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은혜를 베풀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바울 사도는 우리에게 더 인내하고 친절하며 긍휼한 마음을 가지라고, 사랑하기 쉽지 않은 사람들에게까지 그렇게 하라고 권면합니다. 바울은 하나님이 우리를 용서하시기 때문에 우리도 용서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12-13 절). 사마귀를 포함해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본보기를 통해 우리도 다른 사람들을 그렇게 사랑해야 함을 배웁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5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골로새서 3:13]

받아들이거나 용서하기 어려운 다른 사람의 결점은 무엇입니까? 어떻게 하면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하나님의 본보기를 따를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사람들에게 알리는 데 방해가 되는 저의 단점이나 결점을 보여주소서. 하나님처럼 제가 사랑하고 용서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13/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20–22; MARK 13:21–37
Hymn: 255(OLD 187)

WARTS AND ALL

Oliver Cromwell, known as the “Protector of England,” was a military command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It was common practice during those days for people of importance to have their portraits painted. And it wasn’t unusual for an artist to avoid depicting the less attractive aspects of a person’s face. Cromwell, however, wanted nothing to do with a likeness that would flatter him. He cautioned the artist, “You must paint me just as I am—warts and all—or I won’t pay you.”

Apparently, the artist complied. The finished portrait of Cromwell displays a couple of prominent facial warts that in the present day would surely be filtered or airbrushed before being posted on social media.

The expression “warts and all” has come to mean that people should be accepted just as they are—with all their annoying faults, attitudes, and issues. In some cases, we feel that’s too difficult a task. Yet, when we take a hard inward look, we might find some pretty unattractive aspects of our own character.

We’re grateful that God forgives our “warts.” And in Colossians 3, we’re taught to extend grace to others. The apostle Paul encourages us to be more patient, kind, and compassionate—even to
those who aren’t easy to love. He urges us to have a forgiving spirit because of the way God forgives us (VV. 12–13). By His example, we’re taught to love others the way God loves us—warts and all.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COLOSSIANS 3:12–15
Forgive as the Lord forgave you. [ COLOSSIANS 3:13 ]

What faults do you find in others that are hard to accept or forgive? How can you follow God’s example in the way you interact with others?

Loving God, show me my shortcomings that detract from letting others know who You are. Help me to love and forgive as You do.

오늘의 말씀

03/12/2022     토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7-19; 마가복음 13:1-20
찬송가: 95(통82)

사랑 노래

토요일 오후 강변의 조용한 공원입니다. 조깅하는 사람들이 지나가고, 낚싯대가 드리워지며, 갈매기들이 물고기와 과자 포장지를 놓고 싸우고 있는 곳에서 아내와 함께 앉아 어느 커플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들은
40대 후반 정도로 되어 보이고 우리가 모르는 언어로 말하고 있습니다. 남자는 주위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기 언어로 사랑 노래를 부르고 있고 여자는 그런 남자의 눈을 마주 바라보며 앉아있는데, 그 노랫소리가 산들바람을 타고 주변 모두에게 들려옵니다.

이 사랑스러운 행동을 보며 나는 스바냐서를 떠올렸습니다. 왜 그럴까 의아해할 분도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스바냐 시대에 하나님의 백성들은 거짓 신들을 경배하며 타락했고(1:4-5), 이스라엘의 선지자와 제사장들은 거만하고 세속적이 되어버렸습니다(3:4). 스바냐는 그 책의 많은 부분에서 이스라엘뿐 아니라 이 땅의 모든 나라에 다가올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선포하고 있습니다 (8절).

하지만 스바냐는 다른 것도 예언하고 있습니다. 그 어두운 날로부터 하나님을 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습을 드러낼 것입니다(9-13절). 이 사람들에게 하나님은 마치 사랑하는 사람을 보고 기뻐하는 신랑과 같을 것입니다.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17절).

창조주, 아버지, 용사, 재판장 등, 성경은 하나님을 여러 이름으로 부릅니다. 그러나 우리를 위해 직접 사랑의 노래를 불러주는 분으로 하나님을 떠올리는 사람이 우리 중에 얼마나 될까요?

오늘의 성구

스바냐 3:9-17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스바냐 3:17]

당신은 보통 하나님을 창조주, 아버지, 용사, 또는 그 외에 어떤 분으로 묘사합니까? 하나님이 당신을 사랑하고 당신이 하나님께 사랑받는 자라고 생각할 때 당신의 삶이 어떻게 바뀔까요?

노래하시는 위대한 하나님, 저를 향한 하나님의 노래를 크게 기뻐합니다.

Daily Article

03/12/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7–19; MARK 13:1–20
Hymn: 95(OLD 82)

LOVE SONG

It’s a quiet riverside park on a Saturday afternoon. Joggers pass by, fishing rods whirl, seagulls fight over fish and chip wrappers, and my wife and I sit watching the couple. They are maybe in their late forties and are speaking a language unknown to us. She sits gazing into his eyes while he, without a hint of self-consciousness, sings to her a love song in his own tongue, carried on the breeze for us all to hear.

This delightful act got me thinking about the book of Zephaniah. At first you might wonder why. In Zephaniah’s day, God’s people had become corrupt by bowing to false gods (1:4–5), and Israel’s
prophets and priests were now arrogant and profane (3:4). For much of the book, Zephaniah declares God’s coming judgment on not just Israel but all the nations of the earth (V. 8).

Yet Zephaniah foresees something else. Out of that dark day will emerge a people who wholeheartedly love God (VV. 9–13). To these people God will be like a bridegroom who delights in His beloved: “In his love he will no longer rebuke you, but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V. 17).

Creator, Father, Warrior, Judge. Scripture uses many titles for God. But how many of us see God as a Singer with a love song for us on His lips?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ZEPHANIAH 3:9–17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in his love he will no longer rebuke you, but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 ZEPHANIAH 3:17 ]

How do you normally picture God—as Creator, Father, Warrior, or something else? How might your life change if you were to think of God as Lover, and yourself as His beloved?

Great Singer, I delight in Your singing over me.

오늘의 말씀

03/11/2022     금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4-16; 마가복음 12:28-44
찬송가: 188(통180)

우유부단 극복하기

우리는 키친타월에서부터 생명보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선택을 해야 하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심리학자 베리 슈워츠는 2004 년에 쓴 ‘선택의 역설’이라는 책에서 선택의 자유는 우리의 행복에 중요하지만, 너무 많은 선택권은 과부하와 우유부단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키친타월은 잘못 고르더라도 큰 손해를 입지 않지만, 삶의 방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결정을 할 때 우유부단하게 되면 피를 말리게 됩니다. 그러면 어떻게 우유부단함에서 벗어나 예수님을 위한 삶으로 담대히 나아갈 수 있을까요?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로서, 우리가 어려운 결정을 할 때 하나님의 지혜를 구하면 도움이 됩니다. 우리가 크든 작든 인생에서 어떤 것을 결정할 때 성경은 “[우리의]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신뢰하고 [우리의]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잠언 3:5)고 가르칩니다. 우리 자신의 판단에 의존하면 우리는 혼란스러워지고 중요한 세부사항을 놓치거나 잘못된 선택을 할까 봐 염려하게 됩니다. 그러나 답을 얻기 위해 하나님을 바라보면 하나님은 “[우리에게] 바른 길을 보여주십니다”(6절, 현대인의 성경). 우리가 매일의 삶에서 결정을 내릴 때 하나님께서 명철과 평안을 주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결정의 중압감으로 무력해지거나 힘들어하는 것을 원치 않으십니다. 우리가 기도로 하나님께 염려를 아뢸 때 하나님이 주시는 지혜와 인도하심에서 평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3:5-8
너는 범사에 그를 인정하라 그리하면 네 길을 지도하시리라 [잠언 3:6]

최근에 어떤 중요한 결정 때문에 고민하고 있습니까? 기도와 말씀에서, 그리고 성도들의 신실한 조언에서 어떻게 하나님의 지혜를 찾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가 마주하는 모든 선택에 답을 갖고 계심을 압니다. 하나님의 지혜를 구하면서 하나님과 함께 담대히 나아갈 수 있도록 명철과 힘을 더해 주소서.

Daily Article

03/11/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4–16; MARK 12:28–44
Hymn: 188(OLD 180)

TACKLING INDECISION

We live in a world that offers a wide range of choices—from paper towels to life insurance. In 2004, psychologist Barry Schwartz wrote a book titled The Paradox of Choice in which he argued that while freedom of choice is important to our well-being, too many choices can lead to overload and indecision. While the stakes are certainly lower when deciding on which paper towel to buy, indecision can become debilitating when making major decisions that impact the course of our lives. So how can we overcome indecision and move forward confidently in living for Jesus?

As believers in Christ, seeking God’s wisdom helps us as we face difficult decisions. When we’re deciding on anything in life, large or small, the Scriptures instruct us to “trust in the Lord with all [our] heart and lean not on [our] own understanding” (PROVERBS 3:5). When we rely on our own judgment, we can become confused and worry about missing an important detail or making the wrong choice. When we look to God for the answers, however, He’ll “make [our] paths straight” (V. 6). He’ll give us clarity and peace as we make decisions in our day-to-day lives.

God doesn’t want us to be paralyzed or overwhelmed by the weight of our decisions. We can find peace in the wisdom and direction He provides when we bring our concerns to Him in prayer. - KIMYA LODER

Today's Reading

PROVERBS 3:5–8
In all your ways submit to him, and he will make your paths straight. [ PROVERBS 3:6 ]

What major decisions have you been considering lately? How will you seek God’s wisdom in prayer, the Scriptures, and the godly counsel of other believers?

Heavenly Father, I know You hold the answers to all the choices I face. As I seek Your wisdom, please give me clarity and the strength to boldly move forward with You.

오늘의 말씀

03/10/2022     목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1-13; 마가복음 12:1-27
찬송가: 337(통363)

계시와 확증

2019년에는 아기 성별을 공개하는 이벤트 중에 인상적인 것들이 있었습니다. 7월의 어떤 영상에는 “아들”임을 알리는 파란 연기를 내뿜는 차가 등장했고, 9월에는 텍사스에서 “딸”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농약 살포용 비행기가 수백 갤런의 분홍색 물을 쏟아부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이 아이들이 자라날 세상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밝혀낸 또 다른 “공개” 도 있었습니다. 2019년 말에 온라인 성경 플랫폼인 ‘유버전’은 온라인 및 모바일 성경 앱에서 그해 가장 많이 공유되고 강조되고 즐겨 찾았던 성경구절이 빌립보서 4장 6절,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다만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였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구절은 대단한 계시입니다. 사람들은 자녀에게 필요한 것에서부터 가족이나 친구 간에 사이가 벌어지게 된 무수한 이유들, 자연재해, 전쟁에 이르기까지 이 시대의 많은 일들에 대해서 염려합니다. 그러나 다행인 것은 이런 모든 걱정을 하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라”는 말씀에 매달린다는 것입니다. 더욱이 바로 그 사람들이 “모든 상황에서” 하나님께 간구하도록 다른 사람들과 자신들을 권면합니다. 삶의 불안을 외면하지 않고 직면하는 마음가짐은 하나의 “감사”입니다.

“올해의 성경구절”로 선정되지는 못했지만 바로 다음 구절은 “그리하면...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7절) 입니다. 이것이야말로 확신을 주는 구절이 아닐 수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1-7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다만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빌립보서 4:6]

지금 염려하고 있는 두세 가지 상황들은 어떤 것들입니까? 과거에 하나님의 평강이 당신을 인도하셨던 방법을 생각해 봄으로써 어떤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요?

예수님, 몇 날, 몇 주, 혹은 몇 해 동안 너무 힘이 듭니다. 하지만 어제와 오늘, 그리고 영원히 저를 지켜주시는 주님의 평강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3/10/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1–13; MARK 12:1–27
Hymn: 337(OLD 363)

REVELATION AND REASSURANCE

Baby-gender reveals in 2019 were dramatic. In July, a video showed a car emitting blue smoke to indicate, “It’s a boy!” In September, a crop-duster plane in Texas dumped hundreds of gallons of pink water to announce, “It’s a girl!” There was another “reveal,” though, that uncovered significant things about the world these children will grow up in. At the conclusion of 2019, YouVersion revealed that the most shared, highlighted, and bookmarked verse of the year on its online and mobile Bible app was Philippians 4:6, “Do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but in every situation, by prayer and petition, with thanksgiving, present your requests to God.”

That’s quite the revelation. People are anxious about many things these days—from the needs of our sons and daughters, to the myriad ways family and friends are divided, to natural catastrophes and wars. But in the middle of all these worries, the good news is that many people cling to a verse that says, “Do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Furthermore, those same people encourage others as well as themselves to present every request to God “in every situation.” The mindset that doesn’t ignore but faces life’s anxieties is one of “thanksgiving.”

The verse that didn’t make “verse of the year” but follows it is—“And the peace of God . . . will guard your hearts and your minds in Christ Jesus” (V. 7). That’s quite the reassurance! - JOHN BLASE

Today's Reading

PHILIPPIANS 4:1–7
Do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but in every situation, by prayer and petition, with thanksgiving, present your requests to God. [ PHILIPPIANS 4:6 ]

What are two or three situations you’re worried about? How might reflecting on the ways God’s peace has carried you in the past be helpful?

Jesus, some days and weeks and years feel overwhelming. Thank You for Your peace, which guards me yesterday, today, and forever.

오늘의 말씀

03/09/2022     수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8-10; 마가복음 11:19-33
찬송가: 73(통73)

크고 작은 모든 창조물

미셸 그랜트는 팀버라고 하는 아기 비버를 야생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훈련시켰습니다. 수영시키려고 연못으로 데려가면 팀버는 미셸의 카약 보트로 돌아와 품에 파고들며 코를 비벼대곤 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팀버가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미셸은 여섯 시간 동안 연못을 샅샅이 뒤지고 나서 찾기를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몇 주가 지난 후 비버의 두개골을 발견했습니다. 팀버의 것이라고 생각하고 미셸은 울기 시작했습니다.

미셸과 팀버를 생각하니 내 마음도 아팠습니다. 그래서 혼잣말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정신 차려. 그 녀석은 그저 물에 사는 한 마리 커다란 설치류 동물일 뿐이야.”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내가 걱정했다는 것이며, 하나님도 그러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저 높은 하늘로부터, 우리에게 잘 다스리라고 명하신 창조물의 일부분인 가장 작은 피조물에 이르기까지 닿아 있습니다(창세기 1:28). 하나님은 “사람과 짐승”(시편 36:6)을 모두 지켜 주시며, “들짐승과 우는 까마귀 새끼에게 먹을 것을 주십니다”(시편 147:9).

어느 날 미셸은 인근에 있는 다른 연못에서 카약을 타다가 팀버가 거기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팀버는 그동안 한 비버 가족을 만나 새끼 두 마리를 키우는 것을 돕고 있었던 것입니다. 팀버가 미셸의 카약 옆으로 떠오르자 미셸이 웃으며 말했습니다. “너 참 좋아 보이는구나. 아름다운 가족이 생겼네.” 비버는 대답처럼 구구 소리를 내고는 꼬리를 찰싹대더니 새로운 엄마에게로 헤엄쳐 갔습니다.

나는 해피 엔딩을 좋아합니다. 특히 나 자신과 관련된 일일 때 더 그렇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 아버지께서 새들을 먹이시는 것처럼 우리에게도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 주실 거라고 약속하셨습니다(마태복음 6:25-26). 한 마리의 참새도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아니하시면 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두려워하지 말라 너희는 많은 참새보다 귀하니라”(마태복음 10:29-31).

오늘의 성구

시편 36:5-10
여호와여 주는 사람과 짐승을 구하여 주시나이다 [시편 36:6]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맡겨야 할 염려가 있습니까? 하나님은 당신이 다른 사람들의 어떤 필요를 채워주길 원하실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의 모든 근심 걱정을 하나님께 맡깁니다.

Daily Article

03/09/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8–10; MARK 11:19–33
Hymn: 73(OLD 73)

ALL CREATURES GREAT AND SMALL

Michelle Grant trained a baby beaver named Timber to return to the wild. When she took him for swims in a pond, he’d come back to her kayak to snuggle and rub noses. One morning Timber didn’t return. Michelle scoured the pond for six hours before giving up. Weeks later she found a beaver skull. Assuming it was Timber, she began to cry.

My soul ached for Michelle and Timber. I told myself, “Snap out of it. He’s just a large, aquatic rodent.” But the truth is, I cared—and so does God. His love reaches high to the heavens and down to
the smallest creature, part of the creation He calls us to steward well (GENESIS 1:28). He preserves “both people and animals” (PSALM 36:6), providing “food for the cattle and for the young ravens” (147:9).

One day Michelle was kayaking in a neighbor’s pond and—surprise—there was Timber! He’d found a beaver family and was helping them raise two kits. He surfaced beside Michelle’s kayak. She smiled, “You look well. You have a beautiful family.” He cooed, splashed his tail, and swam to his new mom.

I love happy endings, especially my own! Jesus promised that as His Father feeds the birds, so He will supply whatever we need (MATTHEW 6:25–26). Not one sparrow falls “to the ground outside
your Father’s care. . . . So don’t be afraid; you are worth more than many sparrows” (10:29–31).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PSALM 36:5–10
You, Lord, preserve both people and animals. [ PSALM 36:6 ]

What care do you need to give to your heavenly Father? What need of others might He want you to meet?

Father, I lift up my cares and worries to You.

오늘의 말씀

03/08/2022     화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5-7; 마가복음 11:1-18
찬송가: 497(통274)

아름다운 발

존 내쉬는 수학 분야에서의 선구적인 업적으로 1994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그의 방정식은 지금까지 전 세계 기업들이 경쟁관계의 역학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의 두뇌가 특별한 미적 매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 두뇌로 해낸 업적 때문에 “아름다운 정신”을 가진 사람으로 그의 삶이 책과 장편 영화로 기록되고 제작되었습니다.

구약에서 이사야 선지자는 발을 묘사하기 위해 ‘아름다운’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그것은 어떤 눈에 보이는 신체적 특징 때문이 아니라 그 발이 한 일에서 아름다움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좋은 소식을 가져오며... 산을 넘는 발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이사야 52:7). 하나님에 대한 불신의 결과로 바벨론에서 70년간 포로생활을 한 후에, 사자들은 “여호와께서... 예루살렘을 구속하셨기”(9절) 때문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곧 고향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힘이 되는 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좋은 소식은 이스라엘 민족의 군사력이나 어떤 다른 인간적인 노력 때문에 들을 수 있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그들을 위한 하나님의 “거룩한 팔”의 사역이었습니다(10절). 그것은 오늘날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말미암아 영적인 적에게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그에 응답하여, 우리는 아름다운 발이 되어 주변 사람들에게 평화와 좋은 소식, 구원을 선포하는 복음의 전달자가 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2:7-10
좋은 소식을 가져오며... 하나님이 통치하신다 하는 자의 산을 넘는 발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 [이사야 52:7]

누가 당신에게 예수님의 희생에 대한 복음을 전해주었습니까? 그 소식을 누구에게 전해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삶 속에 예수님의 희생에 대한 복음을 전하는 사람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다른 사람들에게 기쁨으로 복음을 전할 수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08/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5–7; MARK 11:1–18
Hymn: 497(OLD 274)

BEAUTIFUL FEET

John Nash was awarded the Nobel Prize for Economics in 1994, recognizing his pioneering work in mathematics. His equations have since been used by businesses around the world in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competition and rivalry. A book and a full-length movie have documented his life and refer to him as having “a beautiful mind”—not because his brain had any particular aesthetic appeal, but because of what it did.

The Old Testament prophet Isaiah uses the word beautiful to describe feet—not because of any visible physical attribute but because he saw beauty in what they did. “How beautiful on the mountains are the feet of those who bring good news” (ISAIAH 52:7). After seventy years of captivity in Babylon resulting from their unfaithfulness to God, messengers arrived with encouraging words that God’s people would soon be returning home because “the Lord has . . . redeemed Jerusalem” (V. 9).

The good news wasn’t attributed to the military might of the Israelites or any other human effort. Rather it was the work of God’s “holy arm” on their behalf (V. 10). The same is true today, as we have victory over our spiritual enemy through Christ’s sacrifice for us. In response, we become the messengers of good news, proclaiming peace, good tidings, and salvation to those around us. And we do so with beautiful feet.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ISAIAH 52:7–10
How beautiful on the mountains are the feet of those who bring good news. [ ISAIAH 52:7 ]

Who brought you the good news of Christ’s sacrifice? To whom can you deliver that news?

Thank You, Father, for sending people into my life to share the news of Christ’s sacrifice. Help me to share it joyously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3/07/2022     월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3-4; 마가복음 10:32-52
찬송가: 176(통163)

기꺼이 기다림

기다림은 우리 마음의 평화를 앗아가는 주범일 수도 있습니다. 컴퓨터 과학자인 라메쉬 시타라만은 웹브라우저 창이 느리게 뜨는 것을 기다리는 일 같은 사소한 것들이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보편적인 욕구불만과 분노를 유발한다”고 말합니다. 그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람들이 온라인 동영상이 열리는 것을 기다리는 평균 시간이 2초인데, 5초가 지나면 25 퍼센트 정도가 포기하고, 10초가 넘어가면 절반 정도의 사용자가 그만둔다고 합니다. 우리는 확실히 참을성이 없는 무리들입니다!

야고보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동안 포기하지 말라고 격려했습니다. 그리스도의 재림은 그들이 고난 앞에서 굳게 서고, 서로 사랑하고 존중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었습니다(야고보서 5:7-10). 야고보는 농부의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이른 비와 늦은 비”(7절), 그리고 땅에서 나는 귀중한 농작물을 바라보며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는 농부처럼, 신자들도 예수님이 다시 오실 때까지 압제 속에서 인내하라고 격려했습니다. 예수님께서 다시 오시면 모든 그릇된 것을 고치시고 샬롬, 곧 평화를 가져오실 것입니다.

예수님을 기다리다가 때로는 포기하고 싶은 유혹을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기다리는 동안 “깨어 있으면서”(마태복음 24:42), 계속 신실하며 (25:14-30) 하나님의 성품과 가르침에 따라 살아야 합니다(골로새서 3:12). 예수님이 언제 다시 오실지 모르지만, 얼마가 걸리더라도 인내하며 주님을 기다립시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5:7-12
그러므로 형제들아 주께서 강림하시기까지 길이 참으라 보라 농부가 땅에서 나는 귀한 열매를 바라고 길이 참아 이른 비와 늦은 비를 기다리나니 [야고보서 5:7]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데 가장 힘이 드는 것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의 재림은 우리가 예수님의 성품과 가르침대로 살아가는데 어떻게 격려가 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저는 주님을 기다리겠습니다. 세상이 어둡고, 고통과 고난, 불의, 불확실함으로 기득 차 있을지라도 주님을 기다리겠습니다. 그 날과 시간은 알지 못해도 주님을 기다리겠습니다.

Daily Article

03/07/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3–4; MARK 10:32–52
Hymn: 176(OLD 163)

WILLING TO WAIT

Waiting can be a culprit in stealing our peace. According to computer scientist Ramesh Sitaraman, few things “inspire universal frustration and ire” in internet users as waiting for a sluggish web browser to load. His research says that we’re willing to wait an average of two seconds for an online video to load. After five seconds, the abandonment rate is about twenty-five percent, and after ten seconds, half of the users desert their efforts. We’re certainly an impatient bunch!

James encouraged believers in Jesus to not abandon Him while they were waiting for His second coming. Christ’s return would motivate them to stand firm in the face of suffering and to love and honor one another (JAMES 5:7–10). James used the example of the farmer to make his point. Like the farmer, who waited patiently for “autumn and spring rains” (V. 7) and for the land to yield its
valuable crop, James encouraged believers to be patient under oppression until Jesus returned. And when He returned, He would right every wrong and bring shalom, peace.

Sometimes, we’re tempted to forsake Jesus while we wait for Him. But as we wait, let’s “keep watch” (MATTHEW 24:42), remain faithful (25:14–30), and live out His character and ways (COLOSSIANS 3:12). Though we don’t know when Jesus will return, let’s wait patiently for Him, as long as it take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JAMES 5:7–12
Be patient, then, brothers and sisters, until the Lord’s coming. See how the farmer waits for the land to yield its valuable crop, patiently waiting for the autumn and spring rains. [ JAMES 5:7 ]

What’s hardest about waiting for Jesus’ return? How’s His return an incentive for living out His character and ways?

Jesus, I’ll wait for You. Though the world is dark and filled with pain, suffering, injustice, and uncertainty, I’ll wait for You. Though I don’t know the day or the time, I’ll wait for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