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05/2022     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3; 누가복음 8:26-56
찬송가: 90(통98)

선한 일

십대 시절 찰스 스펄전은 하나님과 씨름했습니다. 교회를 다니며 성장했던 그였지만 설교가 지루하고 무의미하게 느껴졌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것이 고역이 된 찰스는 자신의 말처럼 “반항과 반발”을 일삼았습니다. 그러다 폭설이 내리는 어느 날 밤 16세의 스펄전은 한 작은 감리교회로 피신하게 되었는데, 그날 목사의 설교는 바로 그를 향해 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 순간 하나님은 씨름에서 이기셨고 찰스는 그의 마음을 예수님께 드렸습니다.

훗날 스펄전은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하기 훨씬 전부터 그분이 나와 함께하셨다.”라고 썼습니다. 사실 하나님과 함께하는 우리의 삶은 우리가 구원받는 그 순간에 시작되는 것이 아닙니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이 “[우리의] 내장을 지으시며” 어머니의 태에서 우리를 만드셨다고 기록했습니다(시편 139:13). 바울 사도도 하나님이 “내 어머니의 태로부터 나를 택정하시고 그의 은혜로 나를 부르셨다”(갈라디아서 1:15)고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우리가 구원받을 때 일을 멈추지 않으십니다. “여러분 가운데 선한 일을 시작하신 하나님께서... 그 일을 완성하실 것입니다”(빌립보서 1:6, 현대인의 성경).

우리는 모두 사랑하는 하나님의 손안에서 성장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하나님은 반항하는 우리와 씨름을 해서라도 그분의 따뜻한 품으로 인도하십니다. 하지만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이러한 뜻은 시작에 불과합니다.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빌립보서 2:13). 확실한 것은 나이나 삶의 어떤 단계에 있든지 관계없이 우리는 하나님의 선한 작품이라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3-24
너희 안에서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루실 줄을 우리는 확신하노라
[빌립보서 1:6]

하나님은 지금 이 순간 당신의 삶에 어떻게 역사하십니까?
그분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하나님은 당신과 함께 어떤 일을 하고 계십니까?

사랑의 하나님, 주님의 사랑을 생각할 때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삶에 언제나 역사하시는 주님께 순종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05/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3: LUKE 8:26–56
Hymn: 90(old98)

A GOOD WORK

As a teenager, Charles Spurgeon wrestled with God. He’d grown up going to church, but what was preached seemed bland and meaningless. It was a struggle for him to believe in God, and Charles, in his own words, “rebelled and revolted.” One night a fierce snowstorm forced the sixteen-year-old Spurgeon to seek shelter in a tiny Methodist church. The pastor’s sermon seemed directed at him personally. In that moment, God won the wrestling match, and Charles gave his heart to Jesus.

Spurgeon later wrote, “Long before I began with Christ, He began with me.” In fact, our life with God doesn’t begin with the moment of salvation. The psalmist notes that God “created [our] inmost being,” knitting us together in our mother’s womb (PSALM 139:13). The apostle Paul writes, “Even before I was born, God chose me and called me by his marvelous grace” (GALATIANS 1:15 NLT). And God doesn’t stop working with us when we’re saved: “He who began a good work in you will carry it on to completion” (PHILIPPIANS 1:6).

We’re all works-in-progress in the hands of a loving God. He leads us through our rebellious wrestling and into His warm embrace. But His purpose with us then is only beginning. “For God is working in you, giving you the desire and the power to do what pleases him” (PHILIPPIANS 2:13 NLT). Rest assured, we’re His good work regardless of how old we are or what stage of life we’re in.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PSALM 139:13–24
He who began a good work in you will carry it on to completion until the day of Christ Jesus.
[ PHILIPPIANS 1:6 ]

How’s God working in your life at this very moment?
What’s He doing with you for His purposes?

Loving God, I’m overwhelmed to think of Your loving care for me.
Thank You. Help me to respond to Your ongoing work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4/04/2022     월요일

성경읽기: 룻기 1-4; 누가복음 8:1-25
찬송가: 214(통349)

현명한 조언

나는 신학교를 다닐 때 풀타임으로 일하면서 순번제로 교목 일도 맡고, 또 교회에서 인턴도 했습니다. 나는 무척 바빴습니다. 나를 보러 오셨던 아버지는 “너 그러다 쓰러지겠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아버지가 세대도 다르고 목표 있는 삶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그 경고를 무시했습니다.

나는 쓰러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매우 거칠고 힘든 시기를 보내며 우울증에 빠졌습니다. 그 이후로 나는 경고, 특히 사랑하는 사람들의 경고를 더 주의 깊게 듣게 되었습니다.

그 일은 내게 모세의 이야기를 떠올려 줍니다. 그도 이스라엘의 사사로 섬기며 열심히 일했습니다(출애굽기 18:13). 그러면서도 장인의 경고의 말을 귀담아들었습니다(17-18절). 이드로는 일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았지만, 모세와 그의 가족을 사랑했고 그래서 앞으로 일어날 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모세는 이드로의 말을 듣고 그의 조언에 귀를 기울일 수 있었을 것입니다. 모세는 “온 백성 가운데서 능력 있는 사람들”이 작은 문제들을 처리하도록 제도를 마련하고 자신은 더 어려운 문제들을 다루었습니다(21-22 절). 이드로의 말을 듣고 일을 재분배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맡김으로 짐을 덜게 된 모세는 당시 상황에서 탈진하는 것을 모면할 수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과 가족,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위해 진지하게, 또 열정을 다해 일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신뢰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의 조언에 주의를 기울이며, 우리가 하는 모든 일에 하나님의 지혜와 능력을 의존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8:13-22
이 일이 네게 너무 중함이라 네가 혼자 할 수 없으리라
[출애굽기 18:18]

섬길 때 지혜롭게 하라고 말해줄 신뢰할 만한 사람이 있습니까?
탈진을 피하기 위해 어떤 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까?
그것을 마지막으로 시행해 본 적이 언제입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하나님을 섬기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남을 열심히 돌볼 때 또한 지혜를 주셔서 주께서 원하시는 일을 지치지 않고 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04/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RUTH 1–4; LUKE 8:1–25
Hymn: 214(old349)

WISE COUNSEL

While attending seminary, I was working full-time. Add to that a chaplaincy rotation and an internship at a church. I was busy. When my father visited me, he said, “You’re going to have a breakdown.” I shrugged off his warning thinking he was of another generation and didn’t understand goal-setting.

I didn’t have a breakdown. But I did experience a very rough, dry season in which I fell into depression. Since then, I’ve learned to listen to warnings—especially from loved ones—more carefully.

That reminds me of Moses’ story. He too was diligently working, serving as Israel’s judge (EXODUS 18:13). Yet he chose to listen to his father-in-law’s warning (VV. 17–18). Jethro wasn’t in the thick of things, but he loved Moses and his family and could see trouble ahead. Perhaps that’s why Moses was able to listen to Jethro and heed his advice. Moses set up a system for “capable men from all the people” to take on the smaller disputes, and he took the more difficult cases (VV. 21–22). Because he listened to Jethro, rearranged his work, and entrusted others to shoulder the load, he was able to avoid burnout during that season of life.

Many of us take our work for God, our families, and others seriously—passionately even. But we still need to heed the advice of trusted loved ones and to rely on the wisdom and power of God in all we do.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EXODUS 18:13–22
The work is too heavy for you; you cannot handle it alone.
[ EXODUS 18:18 ]

Whose voice can you trust to remind you to serve wisely?
What mechanisms do you have in place to avoid burnout?
When did you implement them last?

Almighty God, thank You for allowing me to serve You in many ways.
As I passionately care for others, teach me to also work wisely so that I’ll have energy to do what You want me to do.

오늘의 말씀

04/03/2022     주일

성경읽기: 사사기 19-21; 누가복음 7:31-50
찬송가: 295(통417)

하나님의 크신 사랑

순결의 소중함을 다루는 워크숍에서 십대 소녀들에게 이야기를 해달라는 친구의 부탁을 받고 나는 못하겠다고 했습니다. 십대에 가출했던 나 자신의 삶은 고달팠고, 함부로 살았던 삶의 상처는 참으로 오래 갔습니다. 결혼을 한 후 첫아이를 유산으로 잃고 나서는 하나님께서 내 과거의 죄 때문에 벌을 주신다고 생각했습니다. 서른 살이 되어 마침내 그리스도께 내 삶을 바친 후에 나 자신의 죄를 자백하고 회개하기를 반복했지만 여전히 죄책감과 수치심에 시달렸습니다.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큰 사랑의 선물을 온전히 받아들이지도 못하면서 어떻게 하나님의 은혜를 남들에게 전할 수 있을까?’ 그러나 감사하게도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님은 죄를 고백하기 전의 내 모습에 계속 묶어두는 나의 잘못된 생각들을 없애주셨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나는 하나님께서 언제나 주시려고 하셨던 용서를 마침내 ‘받아들였습니다.’

하나님은 과거의 죄로 인한 고통과 그 결과 때문에 우리가 탄식하는 것을 아십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이 절망을 극복하고 죄에서 돌이키며, 그분의 크신 “인자”와 “긍휼”과 “성실하심”(예레미야애가 3:19-23) 안에서 희망을 가지고 일어설 수 있도록 능력을 주십니다. 성경은 하나님 자신이 우리의 “기업”, 곧 우리의 희망과 구원이시며, 우리도 주님의 선하심을 신뢰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말합니다(24-26절).

긍휼이 많으신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가 그분의 약속을 믿도록 도와주십니다. 우리를 향한 주님의 크신 사랑으로 충만해질 때 우리는 주님의 은혜에 관한 기쁜 소식을 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3:19-26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이니이다
[예레미야애가 3:22]

과거의 죄에 묶여 있었던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어떻게 측량할 수 없는 사랑과 은혜의 확실한 소망으로 당신을 안식으로 인도하셨습니까?

긍휼이 많으신 하나님 아버지, 어디서든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전할 때 저를 향하신 주님의 확실한 크신 사랑 안에 소망을 두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03/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9–21; LUKE 7:31–50
Hymn: 295(old417)

GOD’S GREAT LOVE

When a friend asked me to speak with teenage girls at a workshop promoting purity, I declined. As a teenage runaway, I struggled and had decades of scars caused by my immorality. After getting married and losing our first child to a miscarriage, I thought God was punishing me for my past sins. When I finally surrendered my life to Christ at the age of thirty, I confessed my sins and repented . . . repeatedly. Still, guilt and shame consumed me. How could I share about God’s grace when I couldn’t even bring myself to fully receive the gift of His great love for me? Thankfully, over time, God has abolished the lies that chained me to who I was before I confessed my sins. By His grace, I’ve finally received the forgiveness God had been offering me all along.

God understands our laments over our afflictions and the consequences of our past sins. However, He empowers His people to overcome despair, turn from our sins, and arise with hope in His great “love,” “compassion,” and “faithfulness” (LAMENTATIONS 3:19–23). Scripture says that God Himself is our “portion”—our hope and salvation—and we can learn to trust His goodness (VV. 24–26).

Our compassionate Father helps us believe His promises. When we receive the fullness of His great love for us, we can spread the good news about His grac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L AMENTATIONS 3:19–26
Because of the Lord’s great love we are not consumed, for his compassions never fail.
[ LAMENTATIONS 3:22 ]

When have you felt consumed by your past sins?
How has God helped you rest in the sure hope of His immeasurable love and grace?

Compassionate Father, please help me place my hope in the surety of Your great love for me as I spread the good news about Your grace wherever I go.

오늘의 말씀

04/01/2022     금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3-15; 누가복음 6:27-49
찬송가: 425(통217)

전달 표식

“저거 보이세요?” 우리 집의 오래된 대형 괘종시계를 고치던 기사가 시계 속에 작고 가늘고 투박하게 새겨진 표식을 손전등으로 비추어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한 100년 전쯤에 수리하던 사람이 여기에 표시해 둔 것 같네요. 이것은 ‘전달 표식’이라고 부르는데, 시계가 돌아가는 장치를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기술 관련 회보나 수리 매뉴얼이 있기 전에는 “전달 표식”이라는 것이 나중에 수리하는 사람에게 움직이는 부품을 정확하게 정렬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것은 시간을 절약해 줄 뿐만 아니라 다음에 수리를 할 사람을 위해 남겨진 작은 배려였습니다.

성경은 우리가 타락한 세상에서 다른 사람들을 섬김으로 하나님의 일을 할 때 우리 자신의 “전달 표식”을 남기라고 권면합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 교회에 보내는 편지에 이렇게 썼습니다.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로마서 15:2). 이것은 “인내와 위로를 주시는”(5절) 우리 하나님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우리에게 땅과 하늘에서 좋은 시민이 되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전달 표식”은 사소한 것일 수도 있겠지만, 누군가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용기를 주는 말, 궁핍한 사람에게 주는 재정적인 도움, 그리고 경청하는 자세, 이 모두는 오랫동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려들입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오늘 누군가의 삶에 하나님을 향한 표식을 남기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5:1-6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 [로마서 15:2]

당신을 격려하기 위해 당신의 삶에 누군가가 어떤 “전달 표식”을 남긴 것이 있습니까?
당신은 오늘 다른 성도를 위해 어떤 작은 친절을 베풀 수 있습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 아들 예수를 통해 저에게 베풀어주신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오늘 제가 행하는 가장 작은 일에도 주님의 사랑이 나타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01/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3–15; LUKE 6:27–49
Hymn: 425(old 217)

WITNESS MARKS

“See that?” The clock repairman pointed his flashlight beam on a small, fine mark roughly engraved inside the old grandfather clock he was working on in our home. “Another repairman could have put that there almost a century ago,” he said. “It’s called a ‘witness mark,’ and it helps me know how to set the mechanism.”

Before the age of technical bulletins and repair manuals, “witness marks” were used to help the person making a future repair align moving parts with precision. They were more than just time-saving reminders; they were often left as a simple kindness to the next person doing the work.

The Bible encourages us to leave our own “witness marks” as we work for God by serving others in our broken world. The apostle Paul wrote to the church in Rome: “Each of us should please our neighbors for their good, to build them up” (ROMANS 15:2). This is the example of our God, “who gives endurance and encouragement” (V. 5). It’s about being a good citizen of both earth and heaven.

Our “witness marks” may seem like small things, but they can make a vital difference in someone’s life. An uplifting word, a financial gift to someone in need, and a listening ear—all are kindnesses that can have a lasting impact. May God help you make a mark for Him in someone’s life today! - JAMES BANKS

Today's Reading

ROMANS 15:1–6
Each of us should please our neighbors for their good, to build them up. [ ROMANS 15:2 ]

What “witness marks” have others left in your life to encourage you?
What simple kindness can you do for another believer today?

Almighty Father, thank You for the loving-kindness You’ve shown me through Your Son, Jesus. Please help me to reflect Your love in even the smallest things I do today.

오늘의 말씀

04/02/2022     토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6-18; 누가복음 7:1-30
찬송가: 221(통525)

함께 섬기도록 만들어짐

농촌식 아미쉬 문화에서 헛간을 짓는 일은 온 마을의 행사입니다. 농부 한 가족이 헛간을 짓는다면 몇 달이 걸리겠지만, 아미쉬 사람들은 함께 일해서 빨리 끝냅니다. 목재를 미리 준비하고 필요한 도구도 준비해 놓습니다. 정해진 날 아침 일찍 아미쉬 마을 사람들 모두가 모여 작업을 분담하고 함께 힘을 모아 헛간을 짓습니다. 어떤 때는 단 하루 만에 지을 때도 있습니다.

이것은 교회와 그 안에 있는 우리의 역할에 대한 하나님의 시각을 잘 보여줍니다. 성경은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고린도전서 12:27)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각기 다른 재능과 역할을 주셔서, 한 몸으로 “연결되고 결합되어” “각 지체의 분량대로” 각자 행하라고 하셨습니다 (에베소서 4:16). 그리고 공동체 속에서 우리가 “짐을 서로 지라”(갈라디아서 6:2)고 권면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모든 것을 혼자 해내려고 할 때가 너무 많습니다. 우리의 상황을 스스로 해결해 보려고 남에게 도움을 구하지도 않고, 또 도움이 필요한 다른 사람에게 손을 내밀어 짐을 덜어주지도 못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사는 것을 진실로 원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구하고 그들의 필요를 위해 기도할 때 아름다운 일들이 일어난다는 것을 아십니다.

서로를 의지할 때에만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준비하신 것들을 경험할 수 있으며, 헛간을 하루 만에 완성하는 것같이 우리 삶을 위한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2:18-30
그에게서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받음으로 연결되고 결합되어
[에베소서 4:16]

당신의 어려움을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오늘 누군가에게 손을 내밀어 짐을 덜어줄 수 있도록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는 때로 간섭받는 것이 너무 싫어서 제 삶에 다른 사람들이 못 들어오게 합니다. 그들에게 다가가 그들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02/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6–18; LUKE 7:1–30
Hymn: 221(old 525)

BUILT TOGETHER TO SERVE

In rural Amish culture, the building of a barn is a social event. It would take months for a single farmer and his family to construct a barn, but the Amish, doing it together, make quick work of it. Lumber is stocked ahead of time; tools are prepped. On the designated day, the entire Amish community gathers early, divvies up tasks, and together pitches in to raise a barn—sometimes in a single day.

This is a good picture of God’s vision for the church and our role in it. The Bible says, “All of you together are Christ’s body, and each of you is a part of it” (1 CORINTHIANS 12:27 nlt). God has equipped each of us differently and divvied up tasks in which we each do our “own special work” as part of a body “fit together perfectly” (EPHESIANS 4:16 nlt). In community, we’re encouraged to “carry each other’s burdens” (GALATIANS 6:2).

Yet too often we go it alone. We keep our needs to ourselves, wanting control of our circumstance. Or we fail to reach out and help shoulder the weight of someone else’s need. But God longs for us to connect with others. He knows beautiful things happen when we ask for others’ help and pray for others’ needs.

Only by depending on one another can we experience what God has for us and accomplish His amazing plan for our lives—like building a barn in a day.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2:18–30
He makes the whole body fit together perfectly.
[ EPHESIANS 4:16 nlt ]

What keeps you from sharing your needs with others?
What can you do today to reach out to someone else and help shoulder their burden?

Loving God, I know I’m sometimes so private that I shut others out of my life. Help me to reach out and invite them in.

오늘의 말씀

03/31/2022     목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1-12; 누가복음 6:1-26
찬송가: 220(통278)

하나님의 대사관

82세 과부인 루드밀라는 “내 집은 그리스도 왕국의 일부입니다.”라고 하며, 체코공화국에 있는 자신의 집을 “천국 대사관”이라고 선포했습니다. 이 부인은 상처받았거나 사랑의 손길이 필요한 낯선 사람들과 친구들을 환영하며 때로는 음식과 숙소를 제공해 주는데 이 모든 일을 항상 긍휼과 기도하는 마음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 자신을 방문한 사람들을 돌볼 수 있도록 도우시는 성령님의 영감에 의지하면서, 그들의 기도에 하나님께서 응답하시는 방식들을 보며 기뻐합니다.

루드밀라는 자신의 집과 마음을 열어 예수님을 섬기는데, 이는 어느 안식일에 예수님을 초대해 음식을 드렸던 유력한 종교지도자의 모습과 대조를 이룹니다. 예수님은 이 율법교사에게 보답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 “가난한 자들과 몸 불편한 자들과 저는 자들과 맹인들”을 청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누가복음 14:13). 예수님의 말씀은 그 바리새인이 자만심으로 예수님을 초청했다는 것을 지적하신 것인데(12절), 오랜 세월이 지난 오늘날 루드밀라는 자신의 집으로 사람들을 초청해 자신이 “하나님의 사랑과 그분의 지혜를 드러내는 도구”가 되고 있는 것입니다.

루드밀라가 말하는 것처럼, 겸손함으로 다른 이들을 섬기는 일은 우리가 “천국의 대표”가 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낯선 사람들에게 잠자리를 제공해주는 일 말고도 우리는 여러 가지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우리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먼저 둘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한 부분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4:7-14
잔치를 베풀거든 차라리 가난한 자들과 몸 불편한 자들과 저는 자들과 맹인들을 청하라 그리하면 네게 복이 되리니 [누가복음 14:13-14]

예수님께서 바리새인에게 다르게 행동하라고 말씀하셨을 때 그가 어떻게 반응했을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환영받는다는 느낌을 갖게 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이 하신 것처럼 다른 사람들을 돌보면서 주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31/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1–12; LUKE 6:1–26
Hymn: 220(OLD 278)

GOD’S EMBASSY

Ludmilla, a widow aged eighty-two, has declared her home in the Czech Republic an “Embassy of the Kingdom of Heaven,” saying, “My home is an extension of Christ’s kingdom.” She welcomes strangers and friends who are hurting and in need with loving hospitality, sometimes providing food and a place to sleep—always with a compassionate and prayerful spirit. Relying on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to help her care for her visitors, she delights in the ways God answers their prayers.

Ludmilla serves Jesus through opening her home and heart, in contrast to the prominent religious leader at whose home Jesus ate one Sabbath. Jesus told this teacher of the law that he should welcome “the poor, the crippled, the lame, the blind” to his home—and not those who could repay him (LUKE 14:13). While Jesus’ remarks imply that the Pharisee hosted Jesus out of pride (V. 12), Ludmilla, so many years later, invites people to her home so she can be “an instrument of God’s love and His wisdom.”

Serving others with humility is one way we can be “representatives of the kingdom of heaven,” as Ludmilla says. Whether or not we can provide a bed for strangers, we can put the needs of others before our own in different and creative ways. How will we extend God’s kingdom in our part of the world today?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UKE 14:7–14
When you give a banquet, invite the poor, the crippled, the lame, the blind, and you will be blessed. [ LUKE 14:13–14 ]

How do you think the Pharisee reacted when Jesus told him to act differently? How do you like to make people feel welcome?

Jesus, thank You for looking out for those in need. Help me to be like You, that I would care for others, showing them Your love.

오늘의 말씀

03/30/2022     수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9-10; 누가복음 5:17-39
찬송가: 255(통187)

얼룩을 지워 주시는 하나님

우리가 입는 옷에 케첩이나 겨자를 흘리고 음료수를 쏟아도 저절로 깨끗해지는 기능이 있다면 어떨까요? BBC에 따르면 중국의 연구진들은 “자외선을 쬐면 면직물을 더럽힌 얼룩과 냄새를 스스로 없애 주는 특별한 코팅”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자정 능력을 가진 의류가 시사하는 바를 상상하실 수 있습니까?

자정 코팅이 옷감의 얼룩을 지울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영혼의 때를 정화시키는 것은 오직 하나님뿐입니다. 고대 유다 왕국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에게 “등을 돌리고” 우상을 섬기면서 타락과 악에 빠져 하나님을 격노케 했습니다(이사야 1:2-4). 설상가상으로 그들은 자신들의 죄를 깨끗이 할 심산으로 희생 제물을 드리고 분향하며 많은 기도를 올리고 엄숙한 성회로 모였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위선적이고 죄악된 심령은 그대로였습니다(12-13
절). 그들이 치유 받는 길은 정신을 차리고 회개하는 마음으로 그들 영혼의 때를 거룩하고 사랑이 많으신 하나님께 가지고 오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그들을 정결케 하고, 그들이 영적으로 “눈과 같이 희게”(18절) 될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죄를 지으면 저절로 깨끗해지는 해결책은 없습니다. 겸손히 회개하는 마음으로 우리의 죄를 인정하고, 하나님의 거룩함이라는 정결케 하는 빛 아래로 죄를 가져와야 합니다. 우리는 죄에서 돌아서서 하나님께로 돌아와야 합니다. 그리하면 영혼의 얼룩을 지울 수 있는 유일하신 하나님께서 우리를 완전히 용서하시고 관계를 새롭게 회복시켜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1:10-18
너희 죄가 주홍 같을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 주홍같이 붉을지라도 양털같이 희게 되리라 [이사야 1:18]

성령께서 당신의 죄를 드러내실 때 어떻게 하십니까? 요한은 하나님께 죄를 가져와서 회개하는 과정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습니까(요한1서 1:9 참조)?

하나님 아버지, 저의 죄와 스스로 족하다 여겼던 것을 회개하며 하나님께로 돌아갑니다.

Daily Article

03/30/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9–10; LUKE 5:17–39
Hymn: 255(OLD 187)

GOD CLEANS THE STAINS

What if our clothes were more functional, having the ability to clean themselves after we dropped ketchup or mustard or spilled a drink on them? Well, according to the BBC, engineers in China have developed a special “coating which causes cotton to clean itself of stains and odors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s.” Can you imagine the implications of having self-cleaning clothes?

A self-cleaning coating might work for stained clothes, but only God can clean a stained soul. In ancient Judah, God was angry with His people because they had “turned their backs on” Him, given themselves to corruption and evil, and were worshiping false gods (ISAIAH 1:2–4). But to make matters worse, they tried to clean themselves by offering sacrifices, burning incense, saying many prayers, and gathering together in solemn assemblies. Yet their hypocritical and sinful hearts remained (VV. 12–13). The remedy was for them to come to their senses and with a repentant heart bring the stains on their souls to a holy and loving God. His grace would cleanse them and make them spiritually “white as snow” (V. 18).

When we sin, there’s no self-cleaning solution. With a humble and repentant heart, we must acknowledge our sins and place them under the cleansing light of God’s holiness. We must turn from them and return to Him. And He, the only One who cleans the stains of the soul, will offer us complete forgiveness and renewed fellowship.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ISAIAH 1:10–18
Though your sins are like scarlet, they shall be as white as snow; though they are red as crimson, they shall be like wool. [ ISAIAH 1:18 ]

When the Holy Spirit reveals your sins to you, what’s your response? How does John describe the process of bringing your sin to God and repenting of it (SEE 1 JOHN 1:9)?

Father, I repent of my sin and self-sufficiency and turn to You.

오늘의 말씀

03/29/2022     화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7-8; 누가복음 5:1-16
찬송가: 508(통270)

인식의 경계를 지나

힘든 하루였습니다. 남편은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자신도 코로나감염증 대유행으로 인해 임시로 해고될 거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의 기본적인 필요를 채워 주실 거라고 믿으면서도 그것이 어떻게 나타날지 몰라 걱정에 휩싸였습니다.

혼란스러운 마음을 가다듬으며 16세기 종교 개혁가 십 자가의 성 요한이 쓴 내가 좋아하는 시 한 편을 다시 읽게 되었습니다. “미지의 영역으로 들어가서”라는 제목의 그 시는 “인식의 경계를 지나” “다른 여러 가 지 모습 으 로 나타나시는 하나님을 분별하는” 법을 알게 될 때, 순복의 여정에서 깨닫게 되는 경이로움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남편과 함께 이 시기 동안 하려고 했던 것도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통제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에서 초점을 돌려 우리 주변에서 하나님을 발견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신비롭고 멋진 방법들에 주목하는 것이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것으로, 외적 현실에서 내적 현실로, 잠시 받는 환난에서 “그 무엇과도 비교될 수 없는 크고 엄청난 영원한 영광”(고린도후서 4:17, 현대인의 성경)으로의 여정으로 신자들을 초대했습니다.

바울이 이런 권고를 한 것은 신자들의 고난에 대해 그가 공감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신자들이 스스로 이해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을 내려놓아야 그들에게 절실히 필요한 위로와 기쁨, 소망을 경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10, 15-16절). 그들은 결국 모든 것을 새롭게 하시는 그리스도의 삶의 경이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4:7-18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라 [고린도후서 4:18]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삶의 어느 영역에서 “인식의 경계”를 넘어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세상에는 불확실한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주위의 모든 것에 새로운 삶의 숨결을 불어넣으시는 주의 경이로움을 볼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29/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7–8; LUKE 5:1–16
Hymn: 508(OLD 270)

PAST THE BOUNDARIES OF KNOWING

It was a hard day when my husband found out that, like so many others, he too would soon be furloughed from 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COVID-19 pandemic. We believed that God would meet our basic needs, but the uncertainty of how that would happen was still terrifying.

As I processed my jumbled emotions, I found myself revisiting a favorite poem by sixteenth-century reformer John of the Cross. Entitled “I Went In, I Knew Not Where,” the poem depicts the wonder to be found in a journey of surrender, when, going “past the boundaries of knowing,” we learn to “discern the Divine in all its guises.” And so that’s what my husband and I tried to do during this season: to turn our focus from what we could control and understand to the unexpected, mysterious, and beautiful ways God can be found all around us.

The apostle Paul invited believers to a journey from the seen to the unseen, from outward to inward realities, and from temporary struggles to the “eternal glory that far outweighs them all” (2 CORINTHIANS 4:17).

Paul didn’t urge this because he lacked compassion for their struggles. He knew it would be through letting go of what they could understand that they could experience the comfort, joy, and hope they so desperately needed (VV. 10, 15–16). They could know the wonder of Christ’s life making all things new.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4:7–18
We fix our eyes not on what is seen, but on what is unseen, since what is seen is temporary, but what is unseen is eternal. [ 2 CORINTHIANS 4:18 ]

When have you experienced God’s glory in ways you couldn’t understand? In what areas of your life might you experience God beyond the “boundaries of knowing”?

Loving God, there’s so much uncertainty in our world. Help me to see the wonder of Your life breathing new life all around me.

오늘의 말씀

03/28/2022     월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4-6; 누가복음 4:31-44
찬송가: 413(통470)

하나님의 평강

나는 몇 달째 직장 내의 격심한 정치와 음모에 맞서 싸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걱정하는 것이 제2의 천성인 내가 평온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에 나 자신도 놀랐습니다. 불안함 대신에 차분한 마음과 심정으로 대처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 평온함은 오직 하나님에게서만 올 수 있음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와는 정반대로, 내 삶에서 모든 것이 순조로웠음에도 불구하고 심한 불안감이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의지하거나 그분의 인도하심을 따르지 않고 나 자신의 능력을 믿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되돌아보면 진정한 평강, 곧 하나님의 평강은 우리가 처한 상황이 아니라 그분을 향한 우리의 믿음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평강은 우리의 마음이 견고할 때 옵니다(이사야 26:3). 히브리어로 ‘견고함’이란 “기대다”라는 뜻입니다. 주님께 기대면 우리는 그분의 평온한 임재를 경험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교만하고 악한 자를 낮추시고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의 길을 평탄케 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할 때 우리는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5-7절).

삶이 순탄하지 않고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오히려 평강을 경험하면서, 나는 하나님의 평강이라는 것이 갈등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심한 고통 중에서도 갖게 되는 심오한 안정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인간의 지각을 뛰어 넘으며, 극심한 어려움 가운데서도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는 평강입니다(빌립보서 4:6-7).

오늘의 성구

이사야 26:3-7
주께서 심지가 견고한 자를 평강하고 평강하도록 지키시리니 이는 그가 주를 신뢰함이니이다 [이사야 26:3]

당신은 평강을 경험하기 위해 무엇을 합니까? 당신이 삶의 어느 부분에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의지할 필요가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신뢰하며 견고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을 신뢰할 때 온전한 평강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28/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4–6; LUKE 4:31–44
Hymn: 413(OLD 470)

HIS PEACE

For several months, I coped with intense workplace politics and intrigues. Worrying is second nature to me, so I was surprised to find myself at peace. Instead of feeling anxious, I was able to respond with a calm mind and heart. I knew that this peace could come only from God.

In contrast, there was another period in my life when everything was going well—and yet I felt a deep unrest in my heart. I knew it was because I was trusting in my own abilities instead of trusting God and His leading. Looking back, I’ve realized that true peace—God’s peace—isn’t defined by our circumstances, but by our trust in Him.

God’s peace comes to us when our minds are steadfast (ISAIAH 26:3). In Hebrew, the word for steadfast means “to lean upon.” As we lean on Him, we’ll experience His calming presence. We can trust in God, remembering that He’ll humble the proud and wicked and smooth the paths of those who love Him (VV. 5–7).

When I experienced peace in a season of difficulty rather than ease, I discovered that God’s peace isn’t an absence of conflict, but a profound sense of security even in distress. It’s a peace that surpasses human understanding and guards our hearts and minds in the midst of the most difficult of circumstances (PHILIPPIANS 4:6−7). - KAREN HUANG

Today's Reading

ISAIAH 26:3–7
You will keep in perfect peace those whose minds are steadfast, because they trust in you. [ ISAIAH 26:3 ]

What do you do to experience peace? In what areas of your life do you need to trust God and lean on Him?

Father, help me to trust You and have a steadfast mind. Thank You for the perfect peace that comes to me when I choose to trust You.

오늘의 말씀

03/27/2022     주일

성경읽기: 사사기 1-3; 누가복음 4:1-30
찬송가: 254(통186)

기도의 본질

아브라함 링컨이 미국 대통령이 되었을 때 그에게 분열된 나라를 이끌어야 하는 책무가 주어졌습니다. 링컨은 현명한 지도자이며 높은 도덕성의 소유자라는 평판이 있었지만, 그의 성품 가운데 이 모든 것의 기초가 되었던 다른 한 가지 요인이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주어진 일을 감당하기에 부족한 사람이라는 점을 알았던 것입니다. 그 부족함을 알고 그는 어떻게 했을까요? 링컨은 말했습니다. “기댈 곳이 없다는 것이 너무나 확실했기에 나는 많은 시간 무릎을 꿇고 기도했습니다. 나 자신의 지혜나 나에 관한 어떤 것으로도 그 하루를 감당하기에 충분치 않아 보였습니다.”

삶의 거대한 도전 앞에서 우리의 지혜와 지식과 힘으로는 감당 못할 극심한 한계에 맞닥뜨릴 때, 링컨처럼 우리도 한계가 없으신 예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게 됩니다. 베드로는 주님께 의지하는 것에 대해 이렇게 일깨워주었습니다.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베드로전서 5:7).

하나님의 절대적인 권능과 더불어 자녀들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은 하나님을 완전한 존재로 만들어 우리가 연약할 때 그분께 나아갈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것이 바로 기도의 본질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부족하고 주님은 영원히 충분하신 분이라는 사실을 주님께(그리고 우리 자신에게) 인정하며 예수님께 나아갑니다. 링컨은 “어디에도 더 기댈 데가 없었다”고 자신의 심경을 토로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크신 사랑으로 우리를 돌보신다는 것을 알게 될 때 그것은 진정 놀라운 복음입니다. 우리는 그분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5:6-11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베드로전서 5:7]

어떤 식으로 당신의 부족함이 나타납니까? 그럴 때 보통 어떻게 반응합니까?

부족함이 없으신 하나님, 하나님 없이 저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을 압니다. 항상 함께하시며 저를 온전히 아시고 필요할 때 진정한 조력자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27/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3; LUKE 4:1–30
Hymn: 254(OLD 186)

THE ESSENCE OF PRAYER

When Abraham Lincoln becam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he was tasked with leading a fractured nation. Lincoln is viewed as a wise leader and a man of high moral character, but another element to his makeup, perhaps, was the foundation for everything else. He understood that he was inadequate for the task at hand. His response to that inadequacy? Lincoln said, “I have been driven many times upon my knees by the overwhelming conviction that I had nowhere else to go. My own wisdom and that of all about me seemed insufficient for that day.”

When we come to grips with the massive nature of life’s challenges and the severe limitations of our own wisdom, knowledge, or strength, we find, like Lincoln, that we are utterly dependent on Jesus—the One who has no limitations. Peter reminded us of this dependency when he wrote, “Cast all your anxiety on him because he cares for you” (1 PETER 5:7).

God’s love for His children, paired with His absolute power, make Him the perfect Person to approach with our frailties—and that’s the essence of prayer. We go to Jesus acknowledging to Him (and urselves) that we’re inadequate and He’s eternally sufficient. Lincoln said he felt he “had nowhere else to go.” But when we begin to comprehend God’s great care for us, that’s wonderfully good news. We can go to Him!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PETER 5:6–11
Cast all your anxiety on him because he cares for you. [ 1 PETER 5:7 ]

In what ways do your inadequacies reveal themselves? How do you normally respond in those moments?

All-sufficient God, I know that without You I can do nothing. Thank You for always being with me, for perfectly knowing me, and for being my true Helper in times of need.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