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15/2022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27-29; 누가복음 13:1-22
찬송가: 457(통510)

평화의 십자가

네덜란드 출신 현대미술 화가 에그버트 모더맨이 그린 ‘구레네 시몬’ 이라는 그림을 보면 그의 눈이 침울한 표정으로 불거져 나올 듯합니다. 시몬이 져야 했던 십자가 무게의 엄청난 육체적, 정신적 압박감이 그의 눈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마가복음 15장을 보면 지켜보던 무리의 하나였던 시몬이 예수님의 십자가를 지도록 억지로 끌려 나왔습니다.

마가에 의하면 시몬은 예수님 당시에 많은 유대인들이 살던 북아프리카의 구레네라는 큰 도시에서 온 사람이었습니다. 아마도 그 당시 시몬은 유월절을 지키려고 예루살렘에 와 있었을 것입니다. 거기서 그는 이 불의한 사형집행 과정에 끌려들어와 작지만 아주 뜻깊은 방법으로 예수님께 도움을 드릴 수 있었습니다(마가복음 15:21).

마가복음의 앞부분을 보면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8:34)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비유적으로 말씀하셨던 것을 시몬은 골고다로 가는 길에서 실제로 행했습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십자가를 받아 예수님 대신 지고 간 것입니다.

우리도 각자 감당해야 할 “십자가”가 있습니다. 그것은 병이거나 힘든 사역일 수도 있고,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버리거나 믿음 때문에 받는 박해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이런 고통들을 믿음으로 견뎌낼 때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겪으신 희생을 다른 사람들도 알 수 있게 됩니다. 주님의 십자가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고 삶의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5:16-24
마침 구레네 사람 시몬이... 지나가는데 그들이 그를 억지로 같이 가게 하여 예수의 십자가를 지우고
[마가복음 15:21]

당신은 어떤 “십자가”를 져야 합니까?
이 어려움을 통해 어떻게 다른 이들에게 예수님을 전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제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고통을 아시고 함께 아파하시니 감사합니다.
삶의 여정이 힘들 때 제게 힘과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04/15/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27–29; LUKE 13:1–22
Hymn: 457(old510)

HIS CROSS OF PEACE

Somber eyes peer out from the painting Simon of Cyrene by contemporary Dutch artist Egbert Modderman. Simon’s eyes reveal the immense physical and emotional burden of his responsibility. In the biblical account from Mark 15, we learn that Simon was pulled from the watching crowd and forced to carry Jesus’ cross.

Mark tells us that Simon was from Cyrene, a big city in North Africa with a large population of Jews during Jesus’ time. Most likely Simon had journeyed to Jerusalem to celebrate the Passover. There he found himself in the middle of this unjust execution but was able to perform a small but meaningful act of assistance to Jesus (MARK 15:21).

Earlier in the gospel of Mark, Jesus tells His followers, “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and follow me” (8:34). On the road to Golgotha, Simon literally did what Jesus figuratively asks His disciples to do: he took up the cross given to him and carried it for Jesus’ sake.

We too have “crosses” to bear: perhaps an illness, a challenging ministry assignment, the loss of a loved one, or persecution for our faith. As we carry these sufferings by faith, we point people to the sufferings of Jesus and His sacrifice on the cross. It was His cross that gave us peace with God and strength for our own journey.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MARK 15:16–24
A certain man from Cyrene . . . was passing by . . . and they forced him to carry the cross.
[ MARK 15:21 ]

What “cross” have you been asked to carry?
How can you use this struggle to point others to Jesus?

Jesus, thank You that You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 pain I experience as I take up my cross and follow You.
Give me courage and strength even when the journey is difficult.

오늘의 말씀

04/14/2022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25-26; 누가복음 12:32-59
찬송가: 151(통138)

“때는 밤이었다”

엘리 비젤의 책 ‘밤’은 홀로코스트의 공포를 실감나게 합니다. 나치의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비젤의 이야기는 성경의 출애굽과 반대로 전개됩니다. 모세와 이스라엘 사람들은 첫 번째 유월절에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지만’(출애굽기 12장), 비젤은 유월절 바로 후에 나치가 유대인 지도자들을 체포한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비젤과 그의 어두운 아이러니를 비판하지 않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경에도 비슷한 줄거리 반전이 들어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백성을 고난에서 구해주실 거라고 기대했던 예수님이 유월절 밤에 오히려 자신을 죽이려는 자들이 체포하도록 놔두신 것입니다.

요한은 우리를 예수님께서 체포되시기 전의 거룩한 장면으로 안내합니다. 예수님은 최후의 만찬에서 자신에게 일어날 일들에 대해 “심령에 근심하시면서” 자신이 배반당할 것을 예언하셨습니다(요한복음 13:21). 그러고는 자신을 팔 자에게 떡을 나눠 주시는, 우리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일을 하셨습니다. 그 구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유다는 빵 조각을 받자 즉시 밖으로 나갔는데 때는 밤이었다”(30절, 현대인의 성경). 역사상 가장 큰 불의가 진행되던 그 시간, 예수님은 “지금 인자가 영광을 받았고 하나님도 인자로 말미암아 영광을 받으셨도다”(31절)라고 선포하셨습니다. 몇 시간 후 제자들은 공황과 패배와 낙담을 경험할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하나님의 계획이 원래대로 전개되는 것을 보셨습니다.

어두움이 이기는 것 같을 때,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 어두운 밤과 마주해 승리하셨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십니다. 그리고 밤은 끝나게 되어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21-32
유다는 빵 조각을 받자 즉시 밖으로 나갔는데 때는 밤이었다.
[요한복음 13:30, 현대인의 성경]

언제 공황이나 실망, 절망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그 어두운 경험을 겪은 후의 감정을 어떻게 설명하겠습니까?

예수님, 십자가에 달리시기까지 매 순간 아버지의 뜻만을 생각하신 것을 감사드립니다.
우리를 위해 죽음을 정복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Daily Article

04/14/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25–26; LUKE 12:32–59
Hymn: 151(old138)

“AND IT WAS NIGHT”

Elie Wiesel’s book Night starkly confronts us with the horrors of the Holocaust. Based on his own experiences in Nazi death camps, Wiesel’s account flips the biblical story of the Exodus. While Moses and the Israelites escaped slavery at the first Passover (EXODUS 12), Wiesel tells of the Nazis arresting Jewish leaders following Passover.

Lest we criticize Wiesel and his dark irony, consider that the Bible contains a similar plot twist. On the night of Passover, Jesus, expected to free God’s people from suffering, instead permits Himself to be arrested by those who would kill Him.

John ushers us into the holy scene before Jesus’ arrest. “Troubled in spirit” over what awaited Him, at the Last Supper Jesus predicted His betrayal (JOHN 13:21). Then, in an act we can scarcely comprehend, Christ served His betrayer bread. The account reads: “As soon as Judas had taken the bread, he went out. And it was night” (V. 30). History’s greatest injustice was underway, yet Jesus declared, “Now the Son of Man is glorified and God is glorified in him” (V. 31). In a few hours, the disciples would experience panic, defeat, and dejection. But Jesus saw God’s plan unfolding as it should.

When it seems as though the darkness is winning, we can recall that God faced His dark night and defeated it. He walks with us. It won’t always be night.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OHN 13:21–32
As soon as Judas had taken the bread, he went out. And it was night.
[ JOHN 13:30 ]

When have you experienced panic, loss of hope, and despair?
How would you describe how you felt after you came through that dark experience?

Thank You, Jesus, for keeping Your Father’s plan in view when You went through the steps to the cross.
Thank You for conquering death for us.

오늘의 말씀

04/13/2022     수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22-24; 누가복음 12:1-31
찬송가: 295(통417)

사랑으로 인도하심

네 살 난 손자가 무릎에 앉아 내 벗어진 머리를 쓰다듬으며 유심히 살펴보다가, “할아버지, 머리카락이 다 어디 갔어요?”라고 물었습니다. 나는 웃으며 “아, 시간이 지나면서 다 빠졌단다.”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손자는 사뭇 심각한 표정으로 “너무 안됐어요. 내 머리카락을 할아버지한테 드려야겠어요.”라고 말했습니다.

나는 그런 손자의 마음이 기특해 미소 지으며 그를 가까이 끌어당겨 안아주었습니다.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사랑을 표현한 그 흐뭇한 순간을 돌이켜보던 나는 우리에 대한 하나님의 이타적이고 관대한 사랑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G. K. 체스터턴은 이렇게 썼습니다. “우리는 죄를 범하며 늙지만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보다 젊다.” 그는 이 말이 “옛적부터 항상 계신”(다니엘 7:9) 그분은 죄의 부패로 더럽혀지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늙지 않으시며 결코 흔들리거나 시들지 않는 사랑으로 우리를 뜨겁게 사랑하십니다. 하나님은 이사야 46장에서 그의 백성들에게 하신 약속을 성취하실 수 있으며 기꺼이 그렇게 하실 것입니다. “너희가 노년에 이르기까지 내가 그리하겠고 백발이 되기까지 내가 너희를 품을 것이라 내가 지었은즉 내가 업을 것이요 내가 품고 구하여 내리라”(4절).

다섯 구절 뒤에 하나님은 “나는 하나님이라 나 같은 이가 없느니라”(9절) 라고 말씀하십니다. “나는 스스로 있는 자”(출애굽기 3:14)라고 말씀하신 위대한 하나님은 우리를 너무나 사랑하셔서 우리의 죄를 전부 짊어지고 십자가에서 극심한 죽음의 고통을 감내하심으로써, 우리가 그분께로 돌이켜 죄의 짐을 벗어버리고 영원히 그분을 감사하며 찬양하도록 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6:1-10
내가 지었은즉 내가 업을 것이요
[이사야 46:4]

하나님은 매일 어떤 방식으로 당신을 인도하십니까?
이 순간 어떻게 그분에게서 새로운 힘을 얻을 수 있을까요?

아름다운 구세주여, 저를 향한 주님의 사랑이 결코 쇠하지 않으니
감사합니다! 주님을 향한 저의 사랑이 더욱 깊어지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3/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22–24; LUKE 12:1–31
Hymn: 295(old417)

CARRIED BY LOVE

My four-year-old grandson sat on my lap and patted my bald head, studying it intently. “Papa,” he asked, “What happened to your hair?” “Oh,” I laughed, “I lost it over the years.” His face turned thoughtful: “That’s too bad,” he responded. “I’ll have to give you some of mine.”

I smiled at his compassion and pulled him close for a hug. Reflecting later on his love for me in that cherished moment also caused me to ponder God’s selfless, generous love.

G. K. Chesterton wrote: “We have sinned and grown old, and our Father is younger than we.” By this he meant that the “Ancient of Days” (DANIEL 7:9) is untainted by sin’s decay—God is ageless and loves us exuberantly with a love that never falters or fades. He’s fully willing and able to fulfill the promise He made to His people in Isaiah 46: “Even to your old age and gray hairs I am he, I am he who will sustain you. I have made you and I will carry you” (V. 4).

Five verses later He explains, “I am God, and there is none like me” (V. 9). The great “I am” (EXODUS 3:14) loves us so deeply that He went to the extreme of dying on the cross to bear the full weight of our sin, so that we might turn to Him and be free of our burden and gratefully worship Him forever! -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46:1–10
I have made you and I will carry you.
[ ISAIAH 46:4 ]

In what ways does God carry you through each day?
How can you draw new strength from Him in this moment?

Beautiful Savior, I’m so thankful Your love for me never grows old!
Help my love for You to grow ever deeper.

오늘의 말씀

04/12/2022     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9-21; 누가복음 11:29-54
찬송가: 303(통403)

우리를 위해, 우리와 같이 되신

데릭은 아들이 수영을 할 때면 태어날 때부터 있는 가슴과 배, 왼팔에 걸쳐 있는 반점을 의식해서 셔츠를 벗기 싫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데릭은 아들을 돕기로 마음먹고 자신의 몸에 아들과 똑같은 반점을 만들기 위해 길고 고통스러운 과정을 참고 문신을 새겨 넣었습니다.

아들을 향한 데릭의 사랑은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비춰 줍니다. 그분의 자녀인 우리가 “혈과 육에 속하였으매”(히브리서 2:14) 예수님이 우리처럼 인간의 모습을 취하시고 “[우리와] 같은 모양으로” 오셔서 죽음의 권세에서 우리를 자유롭게 해주셨습니다(14절).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시기 위해 “주님은 모든 점에서 [우리와] 같이 되셔야 했습니다”(17절, 현대인의 성경).

데릭은 아들이 그의 자의식을 극복하도록 돕기를 원했기에 자신의 몸을 아들과 “똑같이” 만들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훨씬 더 큰 문제, 곧 죽음의 노예 상태에 있는 우리의 문제를 극복하도록 도와주셨습니다. 주님은 우리를 ‘위해’ 우리와 ‘같이’ 되셔서 우리를 대신해 죽으심으로 우리 죄의 결과를 감당하셨습니다.

예수님은 기꺼이 우리 인간의 모습이 되심으로 우리와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견고케 해주셨을 뿐 아니라 우리가 고통받을 때에도 그분을 신뢰할 수 있게 하십니다. 유혹이나 고난을 만날 때 우리는 우리를 “능히 도우실 수 있는”(18절) 예수님의 능력과 도우심을 의지할 수 있습니다. 사랑의 아버지처럼 주님은 우리를 이해하고 보살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2:10-18
그러므로 그가 범사에 형제들과 같이 되심이 마땅하도다
[히브리서 2:17]

당신이 지금 겪고 있는 고난이 예수님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지금 이 순간 그분을 의지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예수님, 인간으로 오셔서 저의 고난을 몸소 감당하시고 제 잘못의 대가를 치러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을 더욱 신뢰하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04/12/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9–21; LUKE 11:29–54
Hymn: 303(old403)

LIKE US, FOR US

Derek noticed his son didn’t want to take off his shirt to swim and realized it was because he was self-conscious about a birthmark that covers parts of his chest, belly, and left arm. Determined to help his son, Derek underwent a lengthy and painful tattooing process to create an identical mark on his own body.

Derek’s love for his son reflects God’s love for His sons and daughters. Because we, His children, “have flesh and blood” (HEBREWS 2:14), Jesus became like us and took on a human form and “shared in [our] humanity” to free us from the power of death (V. 14). “He had to be made like [us], fully human in every way” (V. 17) to make things right with God for us.

Derek wanted to help his son overcome his self-consciousness and so made himself “like” him. Jesus helped us overcome our far greater problem—slavery to death. He overcame it for us by making Himself like us, bearing the consequence of our sin by dying in our place.

Jesus’ willingness to share in our humanity not only secured our right relationship with God but enables us to trust Him in our moments of struggle. When we face temptation and hardship, we can lean on Him for strength and support because “he is able to help” (V. 18). Like a loving father, He understands and care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HEBREWS 2:10–18
For this reason he had to be made like them, fully human in every way.
[ HEBREWS 2:17 ]

How might Jesus relate to the struggle you’re facing right now?
What keeps you from leaning on Him in this moment?

Thank You, Jesus, for taking on a human form to relate to me in my struggles and pay for my wrongdoings.
I want to trust You more.

오늘의 말씀

04/11/2022     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7-18; 누가복음 11:1-28
찬송가: 176(통163)

모든 순간을 소중하게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의 도서관 기록 보관소에 있는 한 회중시계의 멈춰진 시계바늘에는 마음 아픈 사연이 담겨 있습니다. 시계는 1857년 6월 27 일 아침, 주인인 엘리사 미첼이 애팔래치아산맥의 폭포에서 실족하여 떨어져 죽은 바로 그 시간(8시 19분 56초)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 대학의 교수였던 미첼은 그가 오른 산 정상(현재 그의 이름을 딴 미첼 산)이 미시시피강 동쪽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라는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던 중이었습니다. 그의 무덤은 그가 추락한 곳에서 멀지 않은 산 정상에 있습니다.

나는 얼마 전 그 산봉우리에 오르면서 미첼의 이야기와 나 자신의 죽음에 대해,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 인생의 남은 시간이 얼마나 있는지를 생각하며, 예수님께서 감람산에서 “이러므로 너희도 준비하고 있으라 생각하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오리라”(마태복음 24:44)고 하신 말씀을 묵상했습니다.

예수님은 언제 다시 오셔서 영원한 그의 나라를 세우실지, 혹은 언제 우리를 이 세상에서 불러내어 그에게로 오라고 하실지 아무도 모른다고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주님은 우리에게 준비하고 “깨어있으라”(42 절)고 말씀하십니다.

우리 삶의 “시계”는 매 순간 아직 ‘재깍...재깍...’ 돌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일까요? 우리의 자비로운 구세주를 기다리고 그분을 위해 일하면서, 주님을 사랑하는 가운데 우리의 매 순간을 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4:36-44
그러므로 깨어 있으라 어느 날에 너희 주가 임할는지 너희가 알지 못함이니라
[마태복음 24:42]

예수님을 만날 준비를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그분과 함께 하게 될 때 무엇이 가장 기대되나요?

사랑의 구세주여, 언제든지 주님을 만날 준비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도 주님을 섬기며 주님이 다시 오시는 것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1/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7–18; LUKE 11:1–28
Hymn: 176(old163)

MAKING EVERY MOMENT COUNT

The halted hands of a pocket watch in a library’s archives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tell a harrowing tale. They mark the exact moment (8:19 and 56 seconds) the watch’s owner Elisha Mitchell slipped and fell to his death at a waterfall in the Appalachian Mountains on the morning of June 27, 1857.

Mitchell,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was gathering data to defend his (correct) claim that the peak he was on—which now bears his name, Mount Mitchell—was the highest one east of the Mississippi. His grave is located at the mountain’s summit, not far from where he fell.

As I ascended that mountain peak recently, I reflected on Mitchell’s story and my own mortality and how each of us has only so much time. And I pondered Jesus’ words about His return as He spoke to His disciples on the Mount of Olives: “So you also must be ready, because the Son of Man will come at an hour when you do not expect him” (MATTHEW 24:44).

Jesus clearly indicates that none of us knows either the moment He’ll return and establish His kingdom forever or when He may summon us to leave this world and come to Him. But He tells us to be prepared and “keep watch” (V. 42).

Tick . . . tick . . . The “clockwork” of each of our lives is still in motion—but for how long? May we live our moments in love with our merciful Savior, waiting and working for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MAT THEW 24:36–44
Therefore keep watch, because you do not know on what day your Lord will come.
[ MATTHEW 24:42 ]

How are you preparing to meet Jesus? What do you look forward to the most about being with Him?

Loving Savior, please help me to be ready to meet You at any time.
Help me to serve You and prepare for Your return today.

오늘의 말씀

04/10/2022     주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5-16; 누가복음 10:25-42
찬송가: 139(통128)

나귀를 탄 왕

오늘날 종려 주일이라고 부르는 바로 그 주일이었습니다. 분명히 예수님이 예루살렘을 처음 방문하신 것은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독실한 유대인으로서 매해 3대 절기에 그곳에 가셨을 것입니다 (누가복음 2:41-42; 요한복음 2:13; 5:1). 지난 3년 동안 예수님은 예루살렘에서 사역도 하며 말씀도 가르치셨습니다. 하지만 주님이 입성하신 그 주일은 전과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예배 드리러 예루살렘으로 들어오고 있던 그때에 예수님은 어린 나귀를 타고 들어오심으로써 모든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마태복음 21:9-10). 지난 3년 동안은 일부러 눈에 띄지 않게 지내셨는데 왜 수많은 사람들 앞에 눈에 띄게 나타나셨을까요? 왜 돌아가시기 닷새 전에 예수님이 왕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선언을 받아들이셨을까요?

마태는 그것을 하나님이 선택하신 왕이 “공의로우시며 구원을 베푸시며 [그러나]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시며”(스가랴 9:9; 창세기 49:10-11 참조) 예루살렘에 들어오신다는 오백 년 전 예언을 이루기 위함(마태복음 21:4-5) 이라고 말합니다.

승리를 거둔 왕이 이렇게 입성하는 것은 정말로 비정상적인 일이었습니다. 정복한 왕들은 보통 힘센 종마를 탔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군마를 타지 않으셨습니다. 이것은 예수님이 어떤 왕이신지를 보여줍니다. 주님은 온유하고 겸손한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예수님은 전쟁이 아니라 평화를 위해,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화평을 이루시기 위해 오셨습니다(사도행전 10:36; 골로새서 1:20).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1-11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겸손하여 나귀를 탔도다
[마태복음 21:5]

오늘 당신에게 예수님은 어떤 왕이십니까?
어떻게 주님을 당신의 왕으로 섬길 수 있을까요?

예수님, 예루살렘에 오셔서 주님의 능력과 겸손을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평화로 제 마음을 채워 주소서.

Daily Article

04/10/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5–16; LUKE 10:25–42
Hymn: 139(old128)

A KING ON A DONKEY

It was Sunday—the day we now call Palm Sunday. Without a doubt, this wasn’t Jesus’ first visit to Jerusalem. As a devout Jew, He would’ve gone to the city every year for the three great feasts (LUKE 2:41–42; JOHN 2:13; 5:1). In the past three years, Christ had also ministered and taught in Jerusalem. But this Sunday His coming into the city was radically different.

By riding a young donkey into Jerusalem at a time when thousands of worshipers were coming into the city, Jesus was the center of attention (MATTHEW 21:9–11). Why would He take the place of prominence before thousands of people when for the past three years He’d deliberately kept a low profile? Why would He accept the people’s proclamation that He was King just five days before His death?

Matthew says that this took place to fulfill a five-hundredyear- old prophecy (MATTHEW 21:4–5) that God’s chosen king would come into Jerusalem “righteous and victorious, [yet] lowly and riding on a donkey” (ZECHARIAH 9:9; SEE ALSO GENESIS 49:10–11).

This was a truly unusual way for a triumphant king to enter a city. Conquering kings normally rode on mighty stallions. But Jesus didn’t come riding a warhorse. This reveals what kind of King Jesus is. He came in meekness and lowliness. Jesus came not for war, but for peace, establishing peace between God and us (ACTS 10:36; COLOSSIANS 1:20). - K. T. SIM

Today's Reading

MAT THEW 21:1–11
See, your king comes to you, gentle and riding on a donkey.
[ MATTHEW 21:5 ]

What kind of king is Jesus to you today?
How can you honor Him as your King?

Jesus, thank You for coming into Jerusalem to reveal Your mighty and humble ways.
Fill my heart with Your peace.

오늘의 말씀

04/09/2022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3-14; 누가복음 10:1-24
찬송가: 212(통347)

수다 버스

2019년 옥스퍼드 버스 회사는 원하는 탑승객들에게 대화할 사람들을 제공해 주는 “수다 버스”를 시작하여 순식간에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노선은 영국 사람의 30퍼센트가 일주일에 적어도 하루는 의미 있는 대화 없이 지낸다는 사실이 정부 기관의 연구에서 밝혀진 데서 시작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할 상대가 필요할 때 아무도 없어서 외로웠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살면서 내가 나누었던 중요한 대화들이 얼마나 값진 것인지 돌이켜 보면 그중에서도 은혜가 많았던 대화들이 기억에 남습니다. 그 순간들은 나에게 기쁨과 용기를 가져다주었고 사람들과 더욱 깊은 관계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바울은 골로새 교회에 보내는 편지를 마치면서,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대화를 통해 사랑을 나타내는 방법과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의 진실한 삶의 원칙들을 말하며 그들을 격려했습니다. 바울 사도는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하라”(4:6)고 하면서, 그들로 다른 사람들에게 진정한 격려가 되게 해주는 것은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말의 ‘질’, 곧 “은혜 가운데” 하는 말이라고 독자들에게 일깨워 주었습니다.

다음에 친구나 직장동료, 또는 버스나 대기실 옆자리에 앉은 낯선 사람을 만나서 깊은 대화를 나눌 기회가 생길 때, 함께하는 그 시간이 당신과 그 사람 모두에게 복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4:2-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하라
[골로새서 4:6]

은혜가 넘치는 말로 복된 경험을 하신 적이 있습니까?
오늘 어떻게 당신이 하는 말로 누군가를 격려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가 나누는 대화에 하나님의 은혜가 넘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09/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3–14; LUKE 10:1–24
Hymn: 212(old347)

CHATTY BUS

In 2019, the Oxford Bus Company launched the instantly popular “Chatty Bus,” a bus with designated people on board willing to talk with interested passengers. The route was initiated in response to government research which found that 30 percent of Britons go at least one day each week without a meaningful conversation.

Many of us have likely experienced the loneliness that comes from not having someone to talk to in a time of need. As I reflect on the value of important conversations in my life, I’m especially reminded of discussions that were full of grace. Those times brought me joy and encouragement, and they helped to cultivate deeper relationships.

At the end of his letter to the Colossian church, Paul encouraged his readers with principles of authentic living for believers in Jesus, including ways our conversations can exhibit love to everyone we encounter. The apostle wrote, “Let your conversation be always full of grace” (4:6), reminding his readers that it is not simply the presence of words but the quality of those words— “full of grace”—that would allow them to be a true encouragement to others.

The next time you have the opportunity to connect deeply in conversation—with a friend, co-worker, or even a stranger seated next to you on a bus or in a waiting room—look for ways your time together might bring blessing into both of your lives.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COLOSSIANS 4:2–6
Let your conversation be always full of grace.
[ COLOSSIANS 4:6 ]

When have you experienced the blessing of grace-filled words?
How might you extend encouragement to someone today through what you say?

Heavenly Father, help me to fill my conversations with Your grace.

오늘의 말씀

04/08/2022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0-12; 누가복음 9:37-62
찬송가: 438(통495)

영원한 안식처

얼마 전 이전 집에서 조금 떨어진 새 집으로 이사했습니다. 비록 가까운 거리였지만 두 집의 최종 계약에 시차가 생겨 모든 살림살이를 이삿짐 트럭에 실어야 했습니다. 그 기간 중 모든 가구를 트럭에 실어놓은 채 우리 가족은 임시 숙소에 머물렀습니다. 놀랍게도 그동안 나는 집이 아닌 곳에 머물면서도 “우리 집”에 있는 것처럼 편하게 느꼈습니다. 그것은 나의 가장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다윗도 한동안 집 없이 떠돌아다녔습니다. 그는 사울 왕에게 쫓기는 삶을 살았습니다. 하나님이 다윗을 왕위 계승자로 세우자 사울은 위협을 느껴 그를 죽이려고 했습니다. 다윗은 자기 집을 떠나 피난처가 되는 곳이면 어디서든 잠을 잤습니다. 함께 따르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다윗의 가장 간절한 소망은 “여호와의 집에 거하는 것”, 곧 하나님과 영원한 교제를 누리는 것이었습니다 (시편 27:4).

예수님은 우리의 변함없는 동반자시며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안식처”가 되십니다. 주님은 현재의 환난 중에도 우리와 함께 하시지만, 우리가 주님과 영원히 함께 거할 처소도 예비하십니다(요한복음 14:3). 이 세상에서 겪을 불확실성과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매일 어디서나 주님과 교제하며 그 안에 영원히 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27:1-6
내가 여호와께 바라는 한 가지 일... 곧 내가 여호와의 집에 살면서
[시편 27:4]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가장 편안함을 느꼈던 때는 언제였습니까?
예수님이 변함없는 동반자시며 당신이 어디에서 무엇을 겪든지 항상 함께 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의 영원한 안식처가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디를 가든지 저의 가장 신실한 동반자이신 주님을 알아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08/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0–12; LUKE 9:37–62
Hymn: 438(old495)

PERMANENT ADDRESS

Not long ago we moved to a new home just a short distance from our old one. Despite the close proximity, we still needed to load all of our belongings onto a moving truck because of the timing of the financial transactions. Between the sale and purchase, our furnishings stayed on the truck and our family found temporary lodging. During that time, I was surprised to discover how “at home” I felt despite the displacement from our physical home—simply because I was with those I love most: my family.

For part of his life, David lacked a physical home. He lived life on the run from King Saul. As David was God’s appointed successor to the throne, Saul perceived him as a threat and sought to kill him. David fled his home and slept wherever he found shelter. Though he had companions with him, David’s most earnest desire was to “dwell in the house of the Lord”—to enjoy permanent fellowship with Him (PSALM 27:4).

Jesus is our constant companion, our sense of “home” no matter where we are. He’s with us in our present troubles and even prepares a place for us to live with Him forever (JOHN 14:3). Despite the uncertainty and change we might experience as citizens of this earth, we can dwell permanently in our fellowship with Him every day and everywhere.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SALM 27:1–6
One thing I ask from the Lord . . . that I may dwell in the house of the Lord.
[ PSALM 27:4 ]

When have you felt most at home in God’s presence?
How can you know that Jesus is your constant companion and that He’s always with you regardless of where you are and what you’re going through?

Loving God, I thank You for being my permanent address.
Help me to recognize You as my most faithful companion who’s with me wherever I go.

오늘의 말씀

04/07/2022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7-9; 누가복음 9:18-36
찬송가: 216(통356)

진정한 환대

“꾸마인 까 나 바?” (식사하셨습니까?)

이 말은 내가 살던 필리핀에서 다른 집을 방문하면 항상 듣는 인사말입니다. 필리핀에서는 손님을 친절하게 맞이할 때 이렇게 표현합니다. 그리고 손님이 어떻게 대답하든 상관없이 집주인은 먹을 것을 항상 내놓습니다. 필리핀 사람들은 진정한 친절이란 단지 통상적인 인사를 주고받는데 그치지 않고 그 말 이상으로 진정한 환대를 베푸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리브가도 친절에 대해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녀의 일상적인 집안일은 마을 밖 우물에서 물을 길어 그 무거운 물 항아리를 집으로 들고 가는 것이었습니다. 여행 중 목이 많이 말랐던 아브라함의 종이 항아리의 물을 조금 달라고 했을 때, 그녀는 주저 없이 그에게 마실 물을 주었습니다(창세기 24:17-18).

리브가는 한걸음 더 나아가, 나그네의 낙타도 목이 마른 것을 보고 낙타에게 줄 물을 더 길어 오겠다고 했습니다(19-20절). 우물까지 가서 한 번 (혹은 몇 번) 더 무거운 항아리에 물을 길어 오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기꺼이 도움을 베푼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단한 삶을 살아가지만 종종 친절한 하나의 작은 배려로 격려를 받고 기운이 살아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통로가 되는 것은 힘찬 설교를 하거나 교회를 세우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때로는 단순히 누군가에게 마실 물 한 잔을 주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24:12-20
서로 대접하기를 원망 없이 하고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
[베드로전서 4:9-10]

주위에 격려가 필요한 사람들이 있습니까?
그들을 격려하기 위해 어떤 실제적인 친절을 베풀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주위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향해 제 눈을 뜨게 하시고, 지혜를 주셔서 어떻게 그들에게 친절과 보살핌을 베풀 수 있는지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07/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7–9; LUKE 9:18–36
Hymn: 216(old 통356)

REAL HOSPITALITY

“Kumain ka na ba?” (Have you eaten?)

This is what you’ll always hear as a visitor in many homes in the Philippines, where I’m from. It’s the Filipino way of expressing care and kindness for our guests. And regardless of your reply, your host will always prepare something for you to eat. Filipinos believe that true kindness isn’t just saying the standard greeting but also going beyond words to show real hospitality.

Rebekah too, knew all about being kind. Her daily chores included drawing water from the well outside town and carrying the heavy jar of water home. When Abraham’s servant, who was very thirsty from his journey, asked for a little water from her jar, she didn’t hesitate to give him a drink (GENESIS 24:17–18).

But then Rebekah did even more. When she saw that the visitor’s camels were thirsty, she quickly offered to go back to draw more water for them (VV. 19–20). She didn’t hesitate to help, even if it meant making an extra trip (or more) to the well and back with a heavy jar.

Life is tough for many people, and often a small gesture of practical kindness can encourage them and lift their spirits. Being a channel of God’s love doesn’t always mean delivering a powerful sermon or planting a church. Sometimes, it can simply be giving someone a drink of water. - KAREN HUANG

Today's Reading

GENE SIS 24:12–20
Offer hospitality to one another . . .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to serve others, as faithful stewards of God’s grace in its various forms.
[ 1 PETER 4:9–10 ]

Who do you know who might need some encouragement?
What act of practical kindness can you give to encourage them?

Heavenly Father, open my eyes to the needs of people around me. Give me the wisdom to know how to show kindness and care to them.

오늘의 말씀

04/06/2022     수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4-6; 누가복음 9:1-17
찬송가: 454(통508)

주차장에서의 다툼

주차장에서 웃고 넘어갈 수도 있었던 일이 큰 싸움으로 번졌습니다. 한 운전자가 주행로를 차로 가로막고 있는 다른 운전자와 큰소리로 싸우며 심한 말을 주고받고 있었습니다.

그 광경이 더욱 씁쓸했던 이유는 다툼이 교회 주차장에서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두 남자는 방금 전에 사랑과 인내와 용서에 관한 설교를 들었을 텐데 상황이 과열되면서 들은 것을 다 잊어버린 것입니다.

그 옆을 지나가면서 나는 절레절레 머리를 흔들었지만, 나 또한 그들과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바로 깨닫게 되었습니다. 성경을 읽고서도 금방 사랑 없는 마음으로 죄를 범한 적이 얼마나 많았는지? “누구든지 말씀을 듣고 행하지 아니하면 그는 거울로 자기의 생긴 얼굴을 보는 사람과 같아서 제 자신을 보고 가서 그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곧 잊어버리는”(야고보서 1:23-24) 그런 사람의 행동을 한 적이 나도 얼마나 많았는지요?

야고보는 그의 편지를 읽는 성도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깊이 생각할 뿐 아니라 그대로 행하라고 권면하고 있습니다(22절). 완전한 믿음이란 성경을 아는 것과 함께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의미한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삶의 환경이 성경이 말하는 대로 적용하기가 힘들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 아버지께 간구하면, 하나님은 말씀에 순종하고 행동으로 그분을 기쁘시게 할 수 있도록 확실히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9-27
너희는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자가 되지 말라
[야고보서 1:22]

오늘 당신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성경에서 읽으셨습니까?
그만두어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하나님, 말씀대로 행하지 않은 순간들을 용서해 주소서.
주님께 순종할 힘과 의지를 주셔서 주님을 기쁘시게 하는 말과 행동과 생각들로 저를 채워 주소서

Daily Article

04/06/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4–6; LUKE 9:1–17
Hymn: 454(old508)

PARKING LOT QUARREL

The scene in the parking lot might have been funny if it wasn’t so tragic. Two drivers were arguing loudly over one of their cars that was blocking the passage of the other, and harsh words were being exchanged.

What made it especially painful to watch was that this quarrel was taking place in the parking lot of a church. The two men had possibly just heard a sermon about love, patience, or forgiveness, but it was all forgotten in the heat of the moment.

Passing by, I shook my head—then quickly realized I was no better. How many times had I read the Bible, only to fall into sin moments later with an uncharitable thought? How many times had I behaved like the person who “looks at his face in a mirror and, after looking at himself, goes away and immediately forgets what he looks like” (JAMES 1:23–24)?

James was calling on his readers not only to read and reflect on God’s instruction, but also to do what it says (V. 22). A complete faith, he noted, means both knowing Scripture and putting it into action.

Life’s circumstances can make it hard to apply what Scripture reveals. But if we ask the Father, He’ll surely help us obey His words and please Him with our actions. - LESLIE KOH

Today's Reading

JAME S 1:19–27
Do not merely listen to the word . . . . Do what it says.
[ JAMES 1:22 ]

What have you read in Scripture that you can do today?
What might you stop doing?

God, forgive me for the times I haven’t done what You’ve instructed.
Give me the strength and the willingness to obey You with words, actions, and thoughts that please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