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25/2022     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21-22; 누가복음 18:24-43
찬송가: 400(통463)

안전하게 구원받음

어린 딸이 얕은 시냇물을 건너는 것을 아빠가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딸이 신고 있던 고무장화는 무릎 높이였는데 아래쪽으로 철벅거리며 걸어가자 물이 깊어져서 장화 속으로 물이 들어갔습니다. 한 발짝도 더 내디딜 수 없게 된 딸은 “아빠, 못 움직이겠어요!”라고 소리쳤습니다. 아빠는 단 세 걸음 만에 달려와 딸을 잔디 쪽으로 끌어냈습니다. 장화를 벗고 안에 있는 물을 땅에 쏟아 내면서 딸은 웃음을 터뜨렸습니다.

하나님께서 시편 기자 다윗을 적으로부터 구해내시자 다윗은 잠시 자리에 앉아 “신을 벗고” 온 영혼에 안도감이 퍼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다윗은 그 느낌을 이렇게 노래로 표현했습니다. “내가 찬양을 받으실 여호와께 아뢰리니 내 원수들에게서 구원을 받으리로다”(사무엘하 22:4). 그는 하나님을 그의 반석이요, 요새, 방패, 높은 망대로 비유하며 찬양하고(2-3절), 하나님의 응답하심에 대해 이렇게 시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땅이 진동하고 떨며, 그가 강림하시니, 그 앞에서는 광채가 빛나고, 하늘에서 우렛소리를 내시며, 많은 물에서 나를 건져내셨도다”(8, 10, 13-15, 17절).

오늘 주변에 당신을 대적하는 세력을 느끼거나, 영적 성장을 방해하는 죄에 갇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과거에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도우셨는지 떠올려 보고, 그분을 찬양하며 그분의 도우심을 다시 한번 간구하십시오! 특별히 당신을 구하여 그분의 나라로 옮겨 주신 일에 감사를 드리십시오 (골로새서 1:13).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2:13-20
그가 위에서 손을 내미사 나를 붙드심이여
[사무엘하 22:17]

고난 중에 있을 때 하나님께서 이전에 베푸셨던 선한 일을 쉽게 잊어버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나님을 찬양함으로 어떻게 믿음이 성장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그처럼 많이 나를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내 옆에 계시는 하나님과 함께 어떤 싸움도 맞설 수 있음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25/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21–22; LUKE 18:24–43
Hymn: 400(old 463)

PULLED TO SAFETY

A little girl waded in a shallow creek while her father watched. Her rubber boots reached her knees. As she sloshed downstream, the water deepened until it flowed over the top of her waders. When she couldn’t take another step, she yelled, “Daddy, I’m stuck!” In three strides, her father was at her side, pulling her to the grassy bank. She yanked her boots off and laughed as water poured onto the ground.

After God rescued the psalmist David from his enemies, he took a moment to sit down, “pull off his boots,” and allow the relief to flood his soul. He wrote a song to express his feelings. “I called to the Lord, who is worthy of praise, and have been saved from my enemies,” he said (2 SAMUEL 22:4). He praised God as his rock, fortress, shield, and stronghold (VV. 2–3), and then went on to narrate a poetic response of God’s response: The earth trembled. God came down from heaven. Lightning bolts flew from His presence. His voice thundered, and He drew him out of deep water (VV. 8, 10, 13–15, 17).

Maybe today you feel opposition around you. Maybe you’re stuck in sin that makes it hard to advance spiritually. Reflect on how God has helped you in the past, and then praise Him and ask Him to do it again! Thank Him especially for rescuing you by bringing you into His kingdom (COLOSSIANS 1:13).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2 SAMUEL 22:13–20
He reached down from on high and took hold of me.
[ 2 SAMUEL 22:17 ]

Why is it easy to overlook the good things God’s done for you in the past when you’re in the midst of trouble?
How does praising God increase your faith in Him?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coming to my aid so many times.
Help me to know I can face any battle with You by my side.

오늘의 말씀

04/24/2022     주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9-20; 누가복음 18:1-23
찬송가: 292(통415)

먼지 같다고 느껴질 때

나는 사역팀의 주중 전화 심방 중에 워렌이 자기가 “먼지같이 느껴진다” 라고 말하는 것을 듣고, 그가 노화나 건강 문제와 연관된 육체적인 어려움을 말하고 있음을 알아차렸습니다. 둘 다 60대 후반인 워렌과 그의 아내는 2020년에 병원 진료와 수술을 받고, 집도 요양 치료에 적합한 형태로 개조했습니다. 인생의 전성기가 지난 그들은 자신들도 그것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육체적, 지적, 정서적, 그리고 영적으로 부족하고 불완전하며 약하다는 것은 굳이 나이가 많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님의 모습으로 타락한 이 세상에 들어오셔서 인간의 연약함을 겪는 이들을 돌보아 주십니다(시편 103:13). 또한 다윗은 “그가 우리의 체질을 아시며 우리가 단지 먼지뿐임을 기억하심이로다”(14절)라고 했습니다. ‘먼지’ 라는 단어는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먼지)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2:7)고 하였던 창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근래에 자신이 먼지처럼 느껴지고 있습니까? 그것은 이 땅에 사는 우리의 현실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주 약함을 느낄 때라도 홀로 내버려진 것이 아님을 기억하십시오. 은혜로우신 하나님께서 그것을 “아시며” “기억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 같은 이 땅의 사람들을 용서하시려고 그분의 아들 예수님을 보내주심으로 우리를 향한 그분의 사랑을 증명해 보여주셨습니다. 삶에 무슨 일이 닥쳐오더라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3:13-19
우리가 단지 먼지뿐임을 기억하심이로다
[시편 103:14]

당신의 어떤 상황이 인간으로 한계를 느끼게 합니까?
연약함 중에 어떻게 하나님의 손길을 체험해 보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여러 가지로 나의 한계를 느끼며 자신이 먼지같이 느껴지지만, 믿음 안에서 강건하여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4/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9–20; LUKE 18:1–23
Hymn: 292(old 415)

FEELING DUSTY

When Warren mentioned during our weekly ministry team call that he was “feeling dusty,” I sensed that this was his way of referencing the physical challenges associated with aging and ill-health. For Warren and his wife, both in their late sixties, 2020 included doctors’ visits, surgical procedures, and the rearranging of their home to accommodate in-home care. They were on the other side of the prime of life and they were feeling it.

One doesn’t have to live long before sensing our inadequacies, imperfections, and weaknesses—physically, intellectually, emotionally, and spiritually. God, in the person of His Son, Jesus, stepped into our fallen world and cares for those who experience the liabilities of human existence (PSALM 103:13). Furthermore, David wrote, “He knows how we are formed, he remembers that we are dust” (V. 14). The term dust takes us back to Genesis: “Then the Lord God formed a man from the dust of the ground and breathed into his nostrils the breath of life, and the man became a living being” (2:7).

Are you feeling dusty these days? Welcome to the realities of earthly living. Remember, however, that when we feel most vulnerable, we’re not left alone. Our compassionate God “knows” and “remembers.” He demonstrated His love to us by sending His Son to provide forgiveness for earthly people like you and me. Whatever life may bring, may we trust in Him.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103:13–19
He remembers that we are dust.
[ PSALM 103:14 ]

What situations make you aware of your human limitations?
How have you seen the hand of God in the midst of your weaknesses?

Father, though in various ways I feel my limitations—my dustiness—help me to be strong in faith and trust You.

오늘의 말씀

04/23/2022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6-18; 누가복음 17:20-37
찬송가: 219(통279)

정말 중요한 것

내 친구는 신앙생활을 하는 직장 동료가 자기에게 어떤 정당을 지지하는지 꼬집어 물어온 것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질문의 의도는 요즘 사회를 갈라놓고 있는 일련의 사안들에 대해 자신과 생각이 같은지 알고 싶었던 것 같았습니다. 친구는 동료와의 공통점을 찾아서, “우리 모두 신앙인이니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되는 길을 찾고 싶어요.”라고 간략하게 대답했습니다.

바울이 살았던 시대에도 여러 다른 문제들로 사람들 사이에 분열이 있었습니다. 먹어도 되는 음식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느 날을 거룩하게 지켜야 하는지 같은 것들에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각각 자기 마음에 확정”한 입장이 있을지라도 그들에게 예수님을 위해 사는 삶이라는 공통된 기반이 있음을 강조했습니다(로마서 14:5-9). 그는 서로 비판하기보다는 “화평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에 힘쓰라고 권면했습니다 (19절).

많은 국가와 교회와 공동체들이 크고 작은 문제들로 분열된 이 시대에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이루신 하나됨의 진리를 서로 강조하며 주님과 영원히 동행하는 삶을 지켜 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 개인의 입장 때문에 “하나님의 일을 망쳐 놓지 말라”(20절, 현대인의 성경)는 바울의 권면은 2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매우 적절합니다. 우리는 서로를 비판하는 대신 사랑을 실천하면서 형제자매를 존귀히 여기며 살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4:13-23
그러므로 우리가 화평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을 힘쓰나니
[로마서 14:19]

다른 성도와의 의견 차이로 갈라선 적이 있습니까?
의견 차이를 해결했다면 어떻게 할 수 있었습니까?

예수님, 저를 구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찮은 것에 마음을 뺏겨 다른 성도들과 분열을 일으켰던 것을 용서해 주소서.
주님께 초점을 맞춤으로 하나 되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3/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6–18; LUKE 17:20–37
Hymn: 219(old 279)

WHAT COUNTS

My friend recounted how she’d pointedly been asked by a fellow believer and colleague which political party she belonged to. His aim in asking the question seemed to be to predict whether he agreed with her on any number of issues currently dividing their community. In an effort to find common ground between them, she simply replied, “Since we’re both believers, I’d rather focus on our unity in Christ.”

People were also divided in Paul’s day, though over different issues. Topics such as what foods were permissible to eat and what days were considered holy brought disagreement among the Christians in Rome. Despite being “fully convinced in their own mind” on whichever position they held, Paul reminds them of their common ground: living for Jesus (ROMANS 14:5–9). Instead of passing judgment on one another, he encouraged them to “do what leads to peace and to mutual edification” (V. 19).

In an era when many countries, churches, and communities are divided over issues large and small, we can point one another to the unifying truth of Christ’s work on the cross to secure our life with Him eternally. Paul’s reminder that we ought not “destroy the work of God” (V. 20) with our individual positions is as timely today as it was 2,000 years ago. Instead of passing judgment on one another, we can act in love and live in a way that honors our brothers and sister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ROMANS 14:13–23
Let us therefore make every effort to do what leads to peace and to mutual edification.
[ ROMANS 14:19 ]

When did a difference of opinion cause division between you and another believer?
If you resolved your differences, how did you do so?

Jesus, thank You for saving me. Forgive me for the times I get distracted by lesser issues and allow division to occur between myself and other believers.
Help me to bring unity through focusing on You.

오늘의 말씀

04/22/2022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4-15; 누가복음 17:1-19
찬송가: 66(통20)

지구의 날에 드리는 감사

매년 4월 22일은 지구의 날로 지킵니다. 최근 몇 년간 약 200개 국가에서 1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지구의 날 관련 교육 및 봉사 활동에 참여했습니다. 매년 지구의 날은 우리가 사는 경이로운 이 세상을 돌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줍니다. 그러나 사실 환경 보호에 대한 책임은 매년 지구의 날 행사보다 훨씬 더 오래전인 창조 때부터 우리에게 주어졌습니다.

창세기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온 우주를 창조하시고 인류가 살게 될 지구를 창조하신 것을 봅니다. 멋진 산과 들판을 지으셨을 뿐 아니라 에덴동산을 만드시고 그곳에 사는 이들을 위해 음식과 집과 각종 아름다운 것들을 창조하셨습니다(창세기 2:8-9).

하나님은 가장 중요한 창조물인 사람에게 생기를 불어넣으신 후 동산 가운데 두시고(8, 22절), 그곳을 “경작하며 지키는”(15절) 책임을 맡기셨습니다. 아담과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후에는 하나님의 창조물을 돌보는 것이 더욱 고된 일이 되었지만(3:17-19), 하나님은 지금까지 손수 이 땅을 돌보시며 (시편 65:9-13) 우리도 그렇게 할 것을 요구하십니다(잠언 12:10).

사는 곳이 복잡한 도시이든 시골이든, 우리는 누구나 하나님이 우리에게 맡기신 터전을 잘 돌볼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지구를 보살피면서 이 아름다운 세상을 지으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기를 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2:4-10, 15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시고
[창세기 2:15]

당신에게 가장 감동을 주는 창조물은 무엇입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맡기신 창조물을 어떻게 잘 돌볼 수 있을까요?

우리가 살고 있는 놀랍고 경이로운 이 세상을 우리에게 맡겨 주신 창조주 하나님. 그것을 돌봄으로 하나님의 선물에 보답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2/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4–15; LUKE 17:1–19
Hymn: 66(old20)

GRATITUDE ON EARTH DAY

Earth Day is an annual event observed on April 22. In recent years, more than one billion people in about two hundred countries have taken part in educational and service activities. Each year, Earth Day i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caring for our amazing planet. But the mandate to care for the environment is far older than this annual event—it goes all the way back to creation.

In Genesis, we learn that God created the entire universe and formed the earth as a place for humans to dwell. Not only did He fashion the mountain peaks and lush plains, God also created the garden of Eden, a beautiful place providing food, shelter, and beauty for its inhabitants (GENESIS 2:8–9).

After breathing life into His most important creation, humans, God placed them in this garden (VV. 8, 22) and gave them the responsibility “to work it and take care of it” (V. 15). After Adam and Eve were expelled from the garden, caring for God’s creation became more difficult (3:17–19), but to this day God Himself cares for our planet and its creatures (PSALM 65:9–13) and asks us to do the same (PROVERBS 12:10).

Whether we live in crowded cities or rural areas, we all have ways we can care for the areas God has entrusted to us. And as we tend the earth, may it be an act of gratitude to Him for this beautiful planet.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GENE SIS 2:4–10, 15
The Lord God took the man and put him in the Garden of Eden to work it and take care of it.
[ GENESIS 2:15 ]

What part of creation takes your breath away?
How might you care for the part of the earth God has entrusted to you?

Creator God, You’ve entrusted to us a marvelous planet that sustains and astonishes me. Please help me to respond to Your gift by caring for it.

오늘의 말씀

04/21/2022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2-13; 누가복음 16
찬송가: 490(통542)

정말로 다시 산다

부활절 바로 다음 주였기에 다섯 살 난 아들 와이엇은 부활에 관한 이야기를 이미 많이 들었습니다. 와이엇은 늘 궁금한 게 많았는데 그의 질문은 대부분 대답하기가 무척 까다로웠습니다. 나는 운전을 하고 있었고 아들은 안전벨트를 매고 뒷좌석에 앉아 있었습니다. 와이엇이 창문을 내다보면서 깊이 생각에 잠기더니, “아빠” 하고 부르며 어려운 질문을 하려는 듯 잠시 멈추었다 이렇게 물었습니다. “예수님이 우리를 다시 살려주실 때 ‘정말로’ 다시 사는 거예요, 아니면 그냥 생각으로만 사는 거예요?”

이것은 용기를 내어 말하든 그렇지 않든 정말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질문입니다. 하나님은 정말로 우리를 고쳐주실까요? 하나님은 정말로 우리를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실까요? 하나님은 정말로 모든 약속을 지키실까요?

요한 사도는 우리의 분명한 훗날의 모습을 “새 하늘과 새 땅”(요한계시록 21:1)으로 묘사합니다. 그곳 거룩한 천성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은 친히 [우리와] 함께 계실”(3절)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승리로 우리는 더 이상 눈물이 없고, 하나님과 그의 백성을 대적하는 악의 공격도 없는 미래를 약속받았습니다.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4절).

다시 말해 우리는 하나님이 약속하신 미래에서 ‘정말로’ 다시 살게 될 것입니다. 지금의 삶은 한낱 그림자였던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그렇게 다시 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21:1-7
다시는 사망이 없고
[요한계시록 21:4]

삶의 어느 부분에서 사망의 권세를 경험하고 있습니까?
사망의 권세가 멸망하고 우리가 ‘정말’ 다시 살게 될 것이라는 하나님의 약속으로 어떤 새로운 소망이 생깁니까?

하나님, 사망의 권세를 멸하실 거라고 말씀하시고 진정한 삶을 약속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4/21/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2–13; LUKE 16
Hymn: 490(old 542)

REALLY ALIVE

Since it was the week after Easter, our five-year-old son, Wyatt, had heard plenty of resurrection talk. He always had questions—usually real stumpers. I was driving, and he was buckled into his seat behind me. Wyatt peered out the window, deep in thought. “Daddy,” he said, pausing and preparing to ask me a tough one. “When Jesus brings us back to life, are we going to be really alive—or just alive in our heads?”

This is the question so many of us carry, whether or not we have the courage to speak it aloud. Is God really going to heal us? Is He really going to raise us from the dead? Is He really going to keep all His promises?

The apostle John describes our certain future as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REVELATION 21:1). In that holy city, “God himself will be with [us] and be [our] God” (V. 3). Because of Christ’s victory, we’re promised a future where there’s no more tears, no evil arrayed against God and His people. In this good future, “There will be no more death or mourning or crying or pain, for the old order of things has passed away” (V. 4).

In other words, in the future God promises, we’ll be really alive. We’ll be so alive that our life now will seem a mere shadow.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REVEL ATION 21:1–7
There will be no more death.
[ REVELATION 21:4 ]

Where do you experience death in your life?
If God promises that death is doomed and we’re going to really live, how does this renew your hope?

God, You said death will meet its end and You promise me genuine life. Thank You.

오늘의 말씀

04/20/2022     수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9-11; 누가복음 15:11-32
찬송가: 315(통512)

위험을 감수하는 사랑

한 친구가 아무런 설명도 없이 나와 10년간 이어온 관계를 끊어버렸습니다. 나는 예전 습관대로 사람들과 거리를 두기 시작했습니다. 상한 마음을 달래려 책장에서 C.S. 루이스의 ‘네 가지 사랑’이라는 오래된 책을 집어 들었습니다. 루이스는 상처를 동반하는 사랑에 관해 예리한 관찰을 하였습니다. 그는 한 사람이 위험을 감수하고 사랑하기로 할 때 “결코 안전한 투자는 없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무엇이든 사랑하게 되면 “마음을 졸여야 하고 때로는 가슴에 상처를 남길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그 글들을 읽은 후 나는 베드로가 예수님을 한 번도 아닌 세 번씩이나 부인한 후에(18:15-27) 예수님이 부활하시고 제자들에게 세 번째로 찾아가셨을 때의 이야기를(요한복음 21:1-14)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21:15)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배신과 거절의 아픔을 겪으신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두려움이 아닌 담대함으로, 약함이 아닌 강함으로, 체념이 아닌 배려의 마음으로 말씀하셨습니다. 이렇게 변함없이 사랑하심으로써 예수님은 진노 대신 자비를 보이셨습니다.

성경은 “주께서 세 번째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므로 베드로가 근심하여”(17절)라고 기록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15-17절) 주님을 따름으로(19절) 그의 사랑을 증명하라고 말씀하신 것은, 다른 모든 제자들에게도 그렇게 조건 없는 사랑을 하라고 권면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이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라고 물으실 때 우리는 대답을 해야 합니다. 그 대답으로 우리가 다른 사람을 어떻게 사랑하는지가 정해질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1:15-19
너희가 나를 사랑하면 나의 계명을 지키리라
[요한복음 14:15]

사랑의 하나님은 왜 사랑하는 자녀인 우리에게 예수님처럼 두려워하지 말고 다른 이들을 사랑하라고 하실까요?
하나님과 친밀해지면 어떻게 사람들을 마음 놓고 사랑하게 될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를 지키려는 모든 벽을 허물어 주셔서 성령님께서 주시는 용기와 열정, 인내를 갖고 하나님과 사람들을 사랑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20/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9–11; LUKE 15:11–32
Hymn: 315(old 512)

LOVE IS WORTH THE RISK

After a friend ended our decade-long friendship without explanation, I began slipping back into my old habit of keeping people at arms’ length. While processing my grief, I pulled a tattered copy of The Four Loves by C. S. Lewis off my shelf. Lewis makes a powerful observation about love requiring vulnerability. He states there’s “no safe investment” when a person risks loving. He suggests that loving “anything [will lead to] your heart being wrung and possibly broken.” Reading those words changed how I read the account of the third time Jesus appeared to His disciples after His resurrection (JOHN 21:1–14), after Peter had betrayed Him not once but three times (18:15–27).

Jesus said, “Simon son of John, do you love me more than these?” (21:15).

After experiencing the sting of betrayal and rejection, Jesus spoke to Peter with courage not fear, strength not weakness, selflessness not desperation. He displayed mercy not wrath by confirming His willingness to love.

Scripture reveals that “Peter was hurt because Jesus asked him the third time, ‘Do you love me?’ ” (V. 17). But when Jesus asked Peter to prove his love by loving others (VV. 15–17) and following Him (V. 19), He invited all His disciples to risk loving unconditionally. Each of us will have to answer when Jesus asks, “Do you love me?” Our answer will impact how we love other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JOHN 21:15–19
If you love me, keep my commands.
[ JOHN 14:15 ]

Why would a loving God ask His beloved children to risk being hurt for the sake of loving others like Jesus did?
How can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help you feel safe enough to risk loving?

Loving God, please break down every wall that keeps me from being vulnerable so I can love You and others with Spirit-empowered courage, compassion, and consistency.

오늘의 말씀

04/19/2022     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6-8; 누가복음 15:1-10
찬송가: 12(통22)

와서 예배하라

여러 세대가 모인 예배에서 함께 찬양을 부를 때 많은 이들이 기쁨과 평안을 느끼고 있었지만 한 지친 엄마만은 그러지를 못했습니다. 그 엄마는 막 울려고 하는 아기를 달래면서 다섯 살 난 아이에게 찬송가를 보여주고, 걸음마를 뗀 다른 아이를 도망가지 못하게 붙드는 일을 동시에 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뒤에 앉아있던 한 노신사가 걸음마를 뗀 아이를 자신이 데리고 교회를 한 바퀴 돌고 오겠다고 하고, 한 젊은 여인은 자기가 찬송가를 들어 큰아이에게 보여주겠다고 했습니다. 2분이 지나지 않아 엄마의 상황은 바뀌어서 이제는 한숨을 돌리며 눈을 감고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남자와 여자, 노인과 청년, 오래된 성도와 새로운 성도 등, 언제나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이 그분을 예배하기를 원하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 전 모세는 각 지파들을 축복하면서 모두가 함께 모일 것을 권면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백성의 남녀와 어린이와 네 성읍 안에 거류하는 타국인을 모으고 그들에게 듣고 배우고 네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며”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지켜 행하게 하라(신명기 31:12). 우리 삶의 형편이 어떻든 하나님의 백성들이 함께 모여 주님을 예배할 수 있을 때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십니다.

그날 아침 교회에서 예배를 드렸던 엄마와 노신사, 그리고 젊은 여인은 서로 도움을 주고받음으로써 제각각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했습니다. 어쩌면 다음에 교회에 가면 우리도 도움을 줌으로써 하나님의 사랑을 나누어 주거나 우리 자신이 그 은혜의 손길을 받는 사람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1:9-13
곧 백성의 남녀와 어린이와 네 성읍 안에 거류하는 타국인을 모으고
[신명기 31:12]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가 다양한 세대와 사람들을 아우르는 모습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교회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주고받았습니까?

사랑의 예수님, 다른 이들을 환영하고 사랑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9/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6–8; LUKE 15:1–10
Hymn: 12(old 22)

COME AND WORSHIP

As they sang praise songs together in the multi-generational worship service, many experienced joy and peace. But not a frazzled mother. As she jiggled her baby, who was on the verge of crying, she held the songbook for her five-year-old while trying to stop her toddler from running off. Then an older gentleman sitting behind her offered to walk the toddler around the church and a young woman motioned that she could hold the songbook for the eldest child. Within two minutes, the mother’s experience was transformed and she could exhale, close her eyes, and worship God.

God has always intended that all His people worship Him—men and women, old and young, longtime believers, and newcomers. As Moses blessed the tribes of Israel before they entered the promised land, he urged them all to meet together, “men, women and children, and the foreigners residing in your towns,” so that they could “listen and learn to fear the Lord your God” and to follow His commands (DEUTERONOMY 31:12). It honors God when we make it possible for His people to worship Him together, no matter our stage of life.

That morning in church, the mother, the older gentleman, and the young woman each experienced God’s love through giving and receiving. Perhaps the next time you’re at church, you too could either extend God’s love through an offer of help or you could be the one accepting the act of grace. AMY BOUCHER PYE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body of Christ as encompassing many generations and people groups? How have you given and received God’s love while at church?

Today's Reading

DEUTERONOMY 31:9–13
Assemble the people—men, women and children, and the foreigners residing in your towns.
[ DEUTERONOMY 31:12 ]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body of Christ as encompassing many generations and people groups? How have you given and received God’s love while at church?

Loving Jesus, help me to welcome and reach out to others in love.

오늘의 말씀

04/18/2022     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3-5; 누가복음 14:25-35
찬송가: 458(통513)

일터에서 증거하는 삶

에벌린의 직장 상사가 그녀에게 물었습니다. “당신이 좋아하는 부서의 규모를 축소하려는 일로 아직도 화가 나 있어요?” “아뇨.” 그녀는 이를 악물었습니다. 상사가 그 일로 자기를 놀리는 것 같아 더 기분이 언짢았습니다. 그녀는 이제까지 회사를 도와 다양한 이익단체들을 세우기 위해 노력해 왔지만, 제한된 공간 때문에 그 일이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에벌린은 애써 눈물을 참고 상사의 요구에 따르기로 했습니다. 자신이 바라던 변화를 이루어내지는 못했지만, 주어진 일에 계속 최선을 다할 수 있었습니다.

베드로 사도는 그의 첫 번째 서신에서 예수님을 믿는 초대 교회 성도들에게 “인간의 모든 제도”에 순종할 것을 강조했습니다(베드로전서 2:13). 어려운 업무 현장에서 성실함을 유지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지속해서 선을 행해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너희가 이방인 중에 행실을 선하게 가져 너희를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자들로 하여금 너희 선한 일을 보고 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12절). 아울러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를 지켜보는 다른 성도들에게 경건한 본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일터가 정말로 혹사를 강요하는 곳이라면, 가능하면 그곳을 떠나는 것이 최선일 수도 있습니다(고린도전서 7:21). 하지만 안전한 환경이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베드로전서 2:20)라는 말씀을 기억하며 성령님의 도우심으로 우리의 일터에서 계속해서 선을 행해야 합니다. 우리가 권위에 순종할 때, 우리로 말미암아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을 따르고 영화롭게 할 기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11-21
그러나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
[베드로전서 2:20]

누군가의 권위에 눌려 어려움을 겪을 때 보통 어떻게 반응합니까?
하나님은 이런 일을 통해 당신 안에서 무엇을 하려고 하시는 걸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어려움 속에서도 권위자에게 순종함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매일의 삶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삶이 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8/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3–5; LUKE 14:25–35
Hymn: 458(old513)

WITNESS IN THE WORKPLACE

“Are you still upset that I want to reduce the size of your favorite department?” Evelyn’s manager asked. “No.” She tightened her jaw. She was more frustrated that he seemed to be teasing her about it. She’d been trying to help the company by finding ways to draw in different interest groups, but limited space made this nearly impossible. Evelyn fought back tears, but she made the decision to do whatever her manager asked. Maybe she couldn’t bring about the changes she’d hoped, but she could still do her job to the best of her ability.

In the apostle Peter’s first letter, he urged first-century believers in Jesus to submit “to every human authority” (1 PETER 2:13). Maintaining integrity in a tough work situation isn’t easy. But Peter gives us a reason to continue doing good: “Live such good lives among the pagans that, though they accuse you of doing wrong, they may see your good deeds and glorify God” (V. 12). Additionally, this helps us set a godly example for other believers who are watching.

If we’re in a truly abusive work situation, it may be best to leave if at all possible (1 CORINTHIANS 7:21). But in a safe environment, with the Spirit’s help we can continue to do good in our work remembering “this is commendable before God” (1 PETER 2:20). When we submit to authority, we have an opportunity to give others reason to follow and glorify God. - JULIE SCHWAB

Today's Reading

1 PETER 2:11–21
If you suffer for doing good and you endure it, this is commendable before God.
[ 1 PETER 2:20 ]

What do you typically do when you’re in a difficult situation under someone else’s authority?
How might God be trying to work in you through this?

Heavenly Father, help me to continue to honor You in my response to those in authority despite the difficult situations I may face.
Help me to live each day in a way that glorifies You.

오늘의 말씀

04/17/2022     주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2; 누가복음 14:1-24
찬송가: 160(통150)

이것이 모든 것을 바꿉니다

오랫동안 예일대 교수로 재직하며 “당대의 탁월한 기독교 역사 권위자” 의 한 명으로 꼽혔던 야로슬라프 펠리컨은 그의 오랜 학문적 경륜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30권 이상의 저서를 출판한 그는 방대한 저술 활동에 대한 평생의 공로로 권위 있는 클루지 상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의 한 제자는 자기 생각에 스승의 가장 중요한 어록은 임종 때 남긴 다음 말이라고 회고했습니다. “만일 예수님이 부활하셨다면, 다른 것은 하나도 문제될 것이 없다. 그리고 만일 예수님이 부활하지 않으셨다면,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없다.”

펠리컨의 이 말은 “그리스도께서 만일 다시 살아나지 못하셨으면 우리가 전파하는 것도 헛것이요 또 너희 믿음도 헛것”(고린도전서 15:14)이라 하였던 바울의 확신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부활이 단 한번 있는 기적이 아니라, 인류 역사에 있어서 하나님의 구속 사역의 절정이라는 사실을 알았기에 그같이 담대하게 말할 수 있었습니다. 부활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은 예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다는 것뿐 아니라, 우리 가운데 죽음으로 무너진 것들(삶, 이웃, 관계)이 예수님을 통해 언젠가 다시 회복된다는 것을 분명히 확증하신 것입니다. 부활이 없으면 그것은 우리에게 큰 문제라는 것을 바울은 알고 있었습니다. 부활이 없으면 죽음과 파멸이 승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물론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셨습니다”(20 절). 승리의 주님으로 말미암아 사망은 패퇴하였습니다. 예수님은 부활할 모든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습니다. 주님이 죄와 죽음을 이기심으로 우리는 담대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로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꾸어 줍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5:12-26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사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고린도전서 15:20]

예수님의 부활의 놀라운 소망을 이해하면 무엇이 달라지나요?
당신의 삶에서 부활이 필요한 곳은 어디입니까?

하나님, 예수님의 부활이 내 삶의 모든 것을 지금부터 영원까지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알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4/17/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2; LUKE 14:1–24
Hymn: 160(old150)

THIS CHANGES EVERYTHING

Jaroslav Pelikan, longtime Yale professor considered one of “his generation’s preeminent authorities on Christian history,” was renowned for his extensive academic career. He published more than thirty books and won the esteemed Kluge Prize as a lifetime award for his voluminous writing. One of his students, however, recounted what he considered his teacher’s most important words, spoken from his deathbed: “If Christ is risen, nothing else matters. And if Christ is not—nothing else matters.”

Pelikan echoed Paul’s conviction: “If Christ has not been raised, our preaching is useless and so is your faith” (1 CORINTHIANS 15:14). The apostle made such a bold statement because he knew that the resurrection was not merely a one-off miracle but rather the pinnacle of God’s redeeming work in human history. The promise of resurrection wasn’t only His assurance that Jesus would rise from the dead but His bold affirmation that other dead and ruined things (lives, neighborhoods, relationships) would also one day be brought back to life through Christ. If there’s no resurrection, however, Paul knew that we’re in deep trouble. If there’s no resurrection, then death and destruction win.

But, of course, “Christ has indeed been raised from the dead” (V. 20). Destroyed by the Victor, death loses. And Jesus is the “firstfruits” of all the life that will follow. He conquered evil and death so that we could live bold and free. This changes everything.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5:12–26
Christ has indeed been raised from the dead, the firstfruits of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 1 CORINTHIANS 15:20 ]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to understand the expansive hope of Jesus’ resurrection?
Where do you need resurrection in your life?

God, allow me to see how Jesus’ resurrection changes everything about my life now and forever.

오늘의 말씀

04/16/2022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30-31; 누가복음 13:23-35
찬송가: 147(통136)

사실이 아니기를

한 남자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친구를 추모하면서 “어떻게든 사실이 아니게 되돌리고 싶구나”라고 하며 애통해 했습니다. 그의 말은 모든 인간이 지금껏 겪어 온 가슴 아픈 절규였습니다. 죽음은 우리 모두에게 충격과 상처를 줍니다. 되돌릴 수 없는 일을 되돌리고 싶어 괴로워합니다.

“사실이 아니게 되돌리고 싶어” 하는 간절함은 예수님이 돌아가신 후 그를 따르던 사람들의 마음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복음서는 그 무서운 처형의 시간들에 관해서는 아주 짧게 언급하지만 몇몇 신실했던 사람들이 한 일은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남몰래 예수님을 믿었던 종교지도자 요셉은(요한복음 19:38 참조) 용기를 내어 예수님의 시신을 달라고 빌라도에게 요청했습니다(누가복음 23:52). 십자가에서 끔찍한 고난을 당한 예수님의 몸을 옮겨 정성껏 장례를 준비하는 것이 어떠했을지 잠시 생각해 보십시오(53절). 그리고 예수님과 무덤에까지 모든 순간을 함께했던 여인들의 헌신과 용기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십시오(55절).

예수님을 따랐던 이 사람들에게 부활의 기대는 없었고 그저 눈앞의 슬픔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 누가복음 23장은 아무런 희망도 없이 이렇게 어두운 막을 내립니다. “돌아가 [예수의 몸에 바르기 위해] 향품과 향유를 준비하더라 계명을 따라 안식일에 쉬더라”(56절).

그러나 그 안식일에 인류 역사에 가장 극적인 장면을 위한 무대가 마련되고 있다는 사실을 그들은 모르고 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상상도 못할 일을 곧 하시기 전이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마침내 죽음 자체를 “사실이 아니게 되돌리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49-56
예수를 아는 자들도 다 멀리 서서 이 일을 보니라
[누가복음 23:49]

최악의 상황이 닥칠 때 어디에서 위로를 얻습니까?
어떻게 부활을 사실로 믿고 살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오늘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 사이의 그날에 대해 잠시 생각해 봅니다.
예수님께서 나를 위해 죄의 저주를 복으로 바꿔 주시니 참으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4/16/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30–31; LUKE 13:23–35
Hymn: 147(old136)

NOT SO

“I wanted somehow to make it not so,” lamented the man, eulogizing a friend who died young. His words gave poignancy to humanity’s ageless heart-cry. Death stuns and scars us all. We ache to undo what can’t be undone.

The longing to “make it not so” might well describe how Jesus’ followers felt after His death. The Gospels say little about those awful hours, but they do record the actions of a few faithful friends.

Joseph, a religious leader who secretly believed in Jesus (SEE JOHN 19:38), suddenly found the courage to ask Pilate for Jesus’ body (LUKE 23:52). Ponder for a moment what it would take to remove a body from a grisly crucifixion and tenderly prepare it for burial (V. 53). Consider too the devotion and bravery of the women who stayed with Jesus every step of the way, even to the tomb (V. 55).

These followers weren’t anticipating a resurrection; they were coming to terms with grief. The chapter ends without hope, merely a somber, “Then they went home and prepared spices and perfumes [to embalm Jesus’ body]. But they rested on the Sabbath in obedience to the commandment” (V. 56).

Little did they know the Sabbath intermission was setting the stage for history’s most dramatic scene. Jesus was about to do the unimaginable. He would make death itself “not so.”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UKE 23:49–56
All those who knew him . . . stood at a distance, watching these things.
[ LUKE 23:49 ]

Where do you turn for comfort when the worst happens?
How do you live as though the resurrection is real?

Today, Father, I pause to remember how it must have been that day between Your Son’s crucifixion and His resurrection.
I’m so grateful that He’s reversed sin’s curse for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