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05/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19-20; 누가복음 23:1-25
찬송가: 424(통216)

우리 아버지

나는 거의 아침마다 주기도문을 암송합니다. 주기도문을 깊이 묵상한 후에야 제대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얼마 전에 처음 두 마디 “우리 아버지”를 시작했는데 전화벨이 울렸습니다. 시간이 새벽 5시 43 분이어서 많이 놀랐습니다. 누구였을까요? 전화기를 보니 “아버지”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전화를 받기도 전에 급하게 전화가 끊겼습니다. 아마 아버지가 실수로 전화하신 것 같았습니다. 내 짐작이 맞았습니다. 우연의 일치였을까요? 그랬을지도 모르지만, 나는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가 넘치는 세상에 살고 있다고 믿습니다. 그 특별한 날 나에게 우리 하나님 아버지의 임재에 대한 확신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그것에 대해 잠깐 생각해 봅시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기도를 시작하는 여러 가지 방식을 가르칠 수도 있었지만, “우리 아버지”(마태복음 6:9)라는 두 단어로 기도를 시작하셨습니다. 아무렇게나 하신 걸까요? 아닙니다. 예수님은 늘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모두 이 세상 혈육의 아버지와 각자 다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좋은 관계를, 또 어떤 사람들은 그보다 못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해야 하는 방식의 기도는 “나의” 아버지, 혹은 “너의” 아버지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지켜보시고 귀 기울여 들으시며, 우리가 구하기 전에 우리에게 있어야 할 것을 아시는 “우리” 하나님 아버지에게 하는 것입니다(8절).

특별히 우리가 잊혔다고 느끼거나, 외롭고 버려진 듯하고, 자신이 별 가치가 없다고 느껴질 때, 이 기도가 얼마나 놀라운 확신을 주는지 모릅니다.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낮과 밤의 어느 시간이든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는 언제나 우리 가까이 계신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5-13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마태복음 6:9]

어떻게 주기도문을 당신의 기도 생활 가운데 하나로 만들 수 있을까요?
“우리 아버지”라는 이 두 마디가 당신에게 어떤 느낌을 불러 일으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기도하면 들어주신다고 약속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05/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 1 KINGS 19–20; LUKE 23:1–25
Hymn: 424(old 216)

OUR FATHER

Most mornings I recite the Lord’s Prayer. I’m not worth much for the new day until I’ve grounded myself in those words. Recently I’d said only the first two word —“Our Father”— when my phone rang. It startled me as it was 5:43 a.m. Guess who? The phone display read “Dad.” Before I had a chance to answer, the call quickly ended. I guessed my dad had called by mistake. Sure enough, he had. Random coincidence? Maybe, but I believe we live in a world awash in the mercy of God. That particular day I needed that reassurance of our Father’s presence.

Think about that for a minute. Of all the ways Jesus could have taught His disciples to begin their prayers, He chose those two words—“Our Father” (MATTHEW 6:9) as the starting point. Random? No, Jesus was never less than intentional with His words. We all have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our earthly fathers—some good, some far less than that. However, praying in the way we should is not addressing “my” father or “your” father, but “our” Father, the One who sees us and hears us, and who knows what we need before we even ask Him (V. 8).

What an amazing reassurance, especially on those days when we might feel forgotten, alone, abandoned, or simply just not worth much. Remember, regardless of where we are and what time of day or night it might be, our Father in heaven is always near. - JOHN BLASE

Today's Reading

MAT THEW 6:5–13
This, then, is how you should pray: “Our Father . . .”
[ MATTHEW 6:9 ]

How can you make the Lord’s Prayer a part of your prayer life?
What feelings do those two words—“Our Father”—stir in you?

Father, thank You for Your promise to hear me when I pray, regardless of where I may be.

오늘의 말씀

05/04/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16-18; 누가복음 22:47-71
찬송가: 218(통369)

섬기는 마음

뉴멕시코주 칼스바드의 한 선교단체는 주민들에게 매달 24,000파운드 (약 11톤) 이상의 음식을 무료로 제공하며 지역사회를 돕고 있습니다. 그 단체의 리더는 말합니다. “우리는 여기 찾아오는 사람들 누구나 그들이 처한 모습 그대로 받아들이고 영접하려고 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그들의 실제적인 필요를 채워주면서 그들의 영적인 필요에 다가가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믿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축복하는데 우리가 받은 것들을 사용하여 우리 이웃을 주님께 더 가까이 이끌 수 있기를 원하십니다. 그러면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섬기는 마음을 어떻게 하면 더 키울 수 있을까요?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은사를 다른 사람들에게 유익하도록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하나님께 물어봄으로써 섬기는 마음을 키울 수 있습니다 (베드로전서 4:10). 이렇게 함으로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축복하신 풍성한 은사에 대해 “하나님께 많은 감사의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고린도후서 9:12).

남을 섬기는 일은 예수님의 사역의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주님이 병든 자들을 고치고 주린 자들을 먹이실 때,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선하심과 사랑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지역사회를 돌보는 것은 제자로서 그분의 본을 따르는 것입니다. 우리가 행동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면 사람들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13절) 것이라고 하나님의 지혜가 알려 줍니다. 섬김은 자기 만족이 아닙니다. 그것은 다른 이들에게 하나님 사랑의 넓이와,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는 이들을 통해 하나님이 역사하시는 여러가지 기적적인 방법들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9:12-13
이 직무로 증거를 삼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고린도후서 9:13]

당신이 지역사회를 섬기는 동기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당신이 받은 은사를 어떻게 좀 더 집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다른 사람의 삶에 영향을 주고 싶습니다.
섬기는 마음을 주시고, 그것이 하나님을 찬양하고 감사하는 행동으로 나타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04/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16–18; LUKE 22:47–71
Hymn: 218(old 369)

A HEART FOR SERVICE

A ministry in Carlsbad, New Mexico, supports their community by offering more than 24,000 pounds of free food each month to local residents. The leader of the ministry shared, “People can come here, and we will accept them and meet them right where they are. Our goal is . . . to meet their practical needs to get to their spiritual needs.” As believers in Christ, God desires for us to use what we’ve been given to bless others, drawing our communities closer to Him. How can we develop a heart for service that brings glory to God?

We develop a heart for service by asking God to show us how to use the gifts He’s given us to benefit others (1 PETER 4:10). In this way, we offer “many expressions of thanks to God” for the abundance He’s blessed us with (2 CORINTHIANS 9:12).

Serving others was an important part of Jesus’ ministry. When He healed the sick and fed the hungry, many were introduced to God’s goodness and love. By caring for our communities, we’re following His model of discipleship. God’s wisdom reminds us that when we demonstrate God’s love through our actions, “others will praise God” (V. 13). Service isn’t about self-gratification but about showing others the extent of God’s love and the miraculous ways He works through those who are called by His name. - KIMYA LODER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9:12–13
Because of the service by which you have proved yourselves, others will praise God.
[ 2 CORINTHIANS 9:13 ]

What’s motivated your service to the community?
How might you be more intentional about using your gifts to bring glory to God?

Heavenly Father, I desire to make a difference in the lives of others.
Please give me a heart for service. May it be an act of praise and gratitude to You.

오늘의 말씀

05/03/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14-15; 누가복음 22:21-46
찬송가: 286(통218)

간절히 집을 바람

소설 “빨간 머리 앤”의 주인공 앤은 가족을 갖기를 간절히 원했습니다. 고아인 앤은 집이라고 할 만한 그런 곳을 찾는 희망조차 버린지 오래였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매튜 노인과 그의 누이 마릴라가 자기를 데려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마차를 타고 그들의 집으로 가면서, 앤은 혼자 계속해서 떠들어대어 미안하다고 사과했습니다. 그러자 말수가 적은 매튜가 “나는 괜찮으니 네가 하고 싶은 대로 다 말해도 괜찮아.”라고 말했습니다. 그 말이 앤에게 마치 음악처럼 기분좋게 들렸습니다. 앤은 지금껏 아무도 자기와 어울리고 싶어 하지 않고 더구나 자기 얘기를 듣고 싶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집에 도착한 후, 그들이 농장 일을 도와줄 소년을 기대했다는 사실을 알고는 앤이 바랬던 희망이 사라졌습니다. 돌려보내질까 봐 두려웠지만, 그들이 자신을 식구로 받아 주면서 앤은 자신이 바라던 사랑이 가득한 집을 갖게 되었습니다.

우리 모두에게도 아무도 우리를 원치 않는다고 느끼거나 외롭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구원으로 말미암아 하나님 가족의 일원이 될 때, 하나님은 우리에게 요새와 같이 튼튼한 집이 되십니다(시편 62:2). 하나님은 우리를 기뻐하시고, 우리의 근심, 유혹, 슬픔, 소망 등, 모든 것을 우리와 이야기하십니다. 시편 기자는 우리가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고” “그의 앞에 [우리의] 마음을 토할 수 있다”고 말해줍니다(5, 8절).

망설이지 말고 하고 싶은 대로 다 하나님께 말씀드리십시오. 하나님은 귀찮아하지 않으시며 우리의 마음을 기뻐하십니다. 우리는 하나님 안에서 집을 찾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2:1-8
그의 앞에 마음을 토하라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로다
[시편 62:8]

어떤 환경 때문에 하나님을 집으로 삼게 되었습니까?
하나님과 어떤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십니까?

하나님, 마음속의 이야기를 하나님께 말하는데 망설이지 않게 하소서.
우리 이야기에 귀 기울여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03/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14–15; LUKE 22:21–46
Hymn: 286(old 218)

LONGING FOR A HOME

Anne, the lead character in the Anne of Green Gables stories, longed for a family. Orphaned, she had lost hope of ever finding a place to call home. But then she learned that an older man named Matthew and his sister Marilla would take her in. On the buggy ride to their home, Anne apologized for chattering on and on, but Matthew, a quiet man, said, “You can talk as much as you like. I don’t mind.” This was music to Anne’s ears. She felt no one had ever wanted her around, much less wanted to hear her chatter. After arriving, her hopes were dashed when she learned the siblings had thought they were getting a boy to help as a farmhand. She feared being returned, but Anne’s longing for a loving home was met when they made her a part of their family.

We’ve all had times when we felt unwanted or alone. But when we become a part of God’s family through salvation in Jesus, He becomes for us a secure home (PSALM 62:2). He delights in us and invites us to talk with Him about everything: our worries, temptations, sorrows, and hopes. The psalmist tells us we can “find rest in God” and “pour out [our] hearts to him” (VV. 5, 8).

Don’t hesitate. Talk to God as much as you like. He won’t mind. He delights in our hearts. In Him you’ll find a home. - ANNE CETAS

Today's Reading

PSALM 62:1–8
Pour out your hearts to him, for God is our refuge.
[ PSALM 62:8 ]

What circumstances have caused you to make God your home?
What do you want to talk to Him about?

Help me, God, not to hold back in talking with You when
I’ve got something on my heart. Thank You for Your listening ear.

오늘의 말씀

05/02/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12-13; 누가복음 22:1-20
찬송가: 268(통202)

거짓의 아비

빅터는 서서히 음란물에 중독되어 갔습니다. 그의 많은 친구들이 음란물을 보았는데 그도 거기에 빠져든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그것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알게되었습니다. 하나님께 죄를 범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아내에게도 큰 상처를 주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다시는 음란물을 보지 않도록 보호장치를 마련해 두겠다고 다짐했지만 너무 늦은 것이 아닌지 걱정되었습니다. ‘결혼 생활을 회복할 수 있을까? 죄에서 벗어나서 온전히 용서받을 수 있을까?’

우리의 대적 마귀는 그것이 별것 아닌 것처럼 우리를 유혹합니다. ‘모든 사람이 다 하고 있어. 뭐가 해로워?’ 그러나 우리가 마귀의 그런 계략을 깨닫는 순간 마귀는 전략을 바꿉니다. ‘너무 늦었어! 넌 너무 멀리 와 버렸어! 이제 너에겐 소망이 없어!’

영적 전쟁을 치를 때 적들은 어떻게든 우리를 파괴하려는 말을 할 것입니다. 예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그는 처음부터 살인한 자요 진리가 그 속에 없으므로 진리에 서지 못하고 거짓을 말할 때마다 제 것으로 말하나니 이는 그가 거짓말쟁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라”(요한복음 8:44).

마귀가 거짓말쟁이라면 우리는 절대 그 말을 들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의 죄가 별것 아니라고 말하거나 우리에게 소망이 없다고 말할 때 말입니다. 악한 자의 말은 무시하고 주님의 말을 들을 수 있도록 예수님께서 우리를 도와주시기를 간구합니다. 우리는 다음의 주님의 약속에 마음의 평안을 누립니다. “그러므로 예수께서 자기를 믿은 유대인들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31-32절).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8:39-47
그는 거짓을 말할 때마다 제 것으로 말하나니 이는 그가 거짓말쟁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라
[요한복음 8:44]

무슨 죄 때문에 소망이 없다고 느끼십니까?
이 절망이 사탄 혹은 예수님, 누구로부터 온다고 생각합니까?
오늘 성경 속의 어떤 약속을 붙드시겠습니까?

예수님, 주님은 죽음에서 부활하셔서 우리를 죄의 속박에서 자유롭게 하셨습니다. 오늘 우리가 그 자유를 누리며 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02/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12–13; LUKE 22:1–20
Hymn: 268(old 202)

FATHER OF LIES

Victor slowly became addicted to pornography. Many of his friends looked at porn, and he fell into it too. But now he understands how wrong it was—he sinned against God— and it crushed his wife. He’s vowed to put safeguards in his life so he’ll never look at it again. Yet he fears it’s too late. Can his marriage be saved? Will he ever be free and fully forgiven?

Our enemy, the devil, presents temptation as if it’s no big deal. Everyone’s doing it. What’s the harm? But the moment we catch on to his scheme, he switches gears. It’s too late! You’ve gone too far! You’re hopeless now!

The enemy will say whatever it takes to destroy us as we engage in spiritual warfare. Jesus said, “He was a murderer from the beginning, not holding to the truth, for there is no truth in him. When he lies, he speaks his native language, for he is a liar and the father of lies” (JOHN 8:44).

If the devil is a liar, then we should never listen to him. Not when he says our sin is no big deal, and not when he says we’re beyond hope. May Jesus help us dismiss the evil one’s words and listen to Him instead. We rest our hearts on His promise: “If you hold to my teaching, you are really my disciples. Then you will know the truth, and the truth will set you free” (VV. 31–32).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OHN 8:39–47
When he lies, he speaks his native language, for he is a liar and the father of lies.
[ JOHN 8:44 ]

What sin has you feeling hopeless?
Do you think this despair comes from Satan or from Jesus?
What promise from the Bible might you claim today?

Jesus, You died and rose again to free me from the bondage of sin. Please help me to live in that liberty today!

오늘의 말씀

05/01/2022     주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10-11; 누가복음 21:20-38
찬송가: 428(통488)

빛이 있으라

내 딸이 아주 어렸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나는 아이가 보는 물건들의 이름을 종종 말해주곤 했습니다. 딸에게 그 물건이 무엇인지 알려주거나 아이에게 낮선 것들을 만져보게 하면서 그 단어를 소리내어 말해줌으로써 딸 아이가 탐색하고 있는 넓은 세상에 대한 이해력과 어휘력을 키워준 것입니다. 남편과 나는 딸 아이의 첫 마디가 당연히 ‘엄마’나 ‘아빠’이길 바라고 기대했지만 놀랍게도 아이가 처음 한 말은 전혀 다른 단어였습니다. 작은 입으로 ‘다이트’라고 웅얼거렸는데 내가 한 말 ‘라이트(빛)’를 흉내내어 귀엽게 잘못 발음한 것입니다.

‘빛’은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 중의 하나입니다. 하나님의 영이 어둡고 혼돈하며 공허한 땅 위에 운행하실 때 하나님은 “빛이 있으라” (창세기 1:3) 말씀하시며 빛을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은 그 빛이 좋았다고 말씀하셨는데, 성경 곳곳에서 그 사실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의 깨달음을 밝혀준다고 설명하고 있고(시편 119:130), 예수님은 자신이 “이 세상의 빛”이요 생명의 빛을 주시는 분이라고 말씀합니다 (요한복음 8:12).

하나님이 창조하실 때 처음 하신 말씀은 세상에 빛을 주시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사역에 빛이 필요했기 때문이 아니라, 바로 우리에게 빛이 필요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빛이 있어서 우리가 하나님을 볼 수 있고 우리 주변의 창조물에 새겨진 하나님의 손길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이 옳고 그른지 분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광대한 세상에서 한 번에 한 걸음씩 예수님을 따라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1-5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창세기 1:3]

지금 이 순간 당신의 삶에서 하나님의 빛이 가장 필요한 부분은 어디입니까?
과거에 하나님의 빛이 당신을 어떻게 도와주었습니까?

예수님, 매일 저의 길을 밝혀주시는 생명의 빛이 되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01/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10–11; LUKE 21:20–38
Hymn: 428(old 488)

LET THERE BE LIGHT

In my daughter’s earliest days, I often named for her the things she encountered. I’d identify objects or allow her to touch something unfamiliar and say the word for her, bringing understanding— and vocabulary—to the vast world she was exploring. Though my husband and I might naturally have expected (or hoped) her first word would be Mama or Daddy, she surprised us with an entirely different first word: her small mouth murmured dight one day—a sweet, mispronounced echo of the word light I’d just shared with her.

Light is one of God’s first words recorded for us in the Bible. As the Spirit of God hovered over a dark, formless, and empty Earth, God introduced light into His creation, saying, “Let there be light” (GENESIS 1:3). He said the light was good, which the rest of Scripture bears out: the psalmist explains that God’s words illuminate our understanding (PSALM 119:130), and Jesus refers to Himself as “the light of the world,” the giver of the light of life (JOHN 8:12).

God’s first utterance in the work of creation was to give light. That wasn’t because He needed light to do His work; no, the light was for us. Light enables us to see Him and to identify His fingerprints on the creation around us, to discern what is good from what is not, and to follow Jesus one step at a time in this vast world.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GENESIS 1:1–5
God said, “Let there be light.”
[ GENESIS 1:3 ]

In what area of your life do you most need God’s light right now?
How has His light helped you in the past?

Thank You, Jesus, for being the light of life, who illuminates the path for me every day.

오늘의 말씀

04/30/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8-9; 누가복음 21:1-19
찬송가: 321(통351)

한 밤의 청지기들

새벽 3시 급성 환자 치료 병동의 모습입니다. 어떤 걱정에 싸인 환자가 한 시간 동안 호출 버튼을 네 번이나 누릅니다. 야간 근무 중인 간호사는 불평 없이 호출에 응합니다. 곧 다른 환자가 관심을 끌려고 울면서 소리를 지릅니다. 간호사는 놀라지 않습니다. 그녀는 낮 근무 시 겪는 소란을 피하려고 5년 전 야간 근무를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곧 현실을 직시하게 되었습니다. 야간 근무에는 혼자서 환자의 몸을 들거나 돌려주어야 하는 등 추가적인 일이 뒤따랐습니다. 또한 의사에게 응급 상황을 전하려면 환자를 더욱 가까이서 살펴야 했습니다.

야간 근무를 같이 하는 동료들의 도움도 있지만 여전히 수면부족에 시달립니다. 자신의 일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달으며 그녀는 종종 교회에 기도 요청을 합니다. “그들의 기도에 응답하시는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그녀가 야간 근무를 하며 찬양하는 것은 좋은 일이며 올바른 일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 모두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시편 기자는 “보라 밤에 여호와의 성전에 서 있는 여호와의 모든 종들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성소를 향하여 너희 손을 들고 여호와를 송축하라”(시편 134:1-2)고 했습니다.

성전의 청지기로 섬기던 레위인을 위해 쓴 이 시편은 밤낮으로 성전을 지키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닫게 해줍니다. 이 시편은 쉬지 않고 돌아가는 이 세상에서 특히 야간에 일하는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씀 같지만, 우리 모든 사람도 야간에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습니다. 그 시편은 이렇게 이어집니다.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께서 시온에서 네게 복을 주실지어다”(3절).

오늘의 성구

시편 134
여호와께서 시온에서 네게 복을 주실지어다
[시편 134:3]

간호사, 환경미화원, 구급대원 등, 야간 근무를 하는 사람들을 위해 어떤 기도를 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이 어째서 야간 근무자를 향한 축복으로 이어질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내가 편히 잠든 새벽 시간에 이 지역사회에 꼭 필요한 일을 하는 야간 근무자들에게 하나님의 복을 내려 주소서.
밤에도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30/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8–9; LUKE 21:1–19
Hymn: 321(old351)

SERVANTS OF THE NIGHT

It’s 3 a.m. at an acute-care hospital. A worried patient presses the call button for the fourth time in an hour. The night-shift nurse answers without complaint. Soon another patient is screaming, crying for attention. The nurse isn’t surprised. She requested the night shift five years ago to avoid her hospital’s daytime frenzy. Then the reality hit. Night work often meant taking on extra tasks, such as lifting and turning patients by herself. It also meant closely monitoring patients’ conditions so physicians could be notified in emergencies.

Buoyed by close friendships with her nighttime co-workers, this nurse still struggles to get adequate sleep. Often, she asks her church for prayer, seeing her work as vital. “Praise God, their prayers make a difference.”

Her praise is good and right for a night worker—as well as for all of us. The psalmist wrote, “Praise the Lord, all you servants of the Lord, who minister by night in the house of the Lord. Lift up your hands in the sanctuary and praise the Lord” (PSALM 134:1–2).

This psalm, written for the Levites who served as temple watchmen, acknowledged their vital work—protecting the temple by day and night. In our nonstop world, it feels proper to share this psalm especially for nighttime workers, yet every one of us can praise God in the night. As the psalm adds, “May the Lord bless you from Zion, he who is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V. 3).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134
May the Lord bless you from Zion.
[ PSALM 134:3 ]

How can you pray for nighttime workers—nurses, janitors, first responders, and others?
How can praising God lead to His blessing for them?

Dear God, while I safely sleep, send Your blessings to nighttime workers.
And help me to praise You in the night.

오늘의 말씀

04/29/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6-7; 누가복음 20:27-47
찬송가: 322(통357)

영적 진단

장인어른의 췌장암이 화학요법으로 호전되었다가 다시 악화되었습니다. 종양이 다시 커지기 시작하자 그는 생사가 달린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장인어른은 의사에게 물었습니다. “이 화학요법을 계속해야 합니까, 아니면 약물이나 방사선 같은 다른 치료를 시도해 보면 안 될까요?”

유다 백성도 이와 비슷하게 생사의 질문 가운데 놓여 있었습니다. 전쟁과 기근으로 지친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들의 문제가 우상 숭배가 과했기 때문인지 아니면 모자랐기 때문인지를 몰랐습니다. 결국 그들은 우상에게 더 많은 제물을 바치기로 하고, 그 우상이 그들을 지켜주고 복을 내려주는지를 지켜보기로 했습니다(예레미야 44:17).

예레미야는 그들이 내린 진단이 크게 잘못되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들의 문제는 우상을 더 잘 섬기지 못한 것이 아니라 우상을 세웠다는 그 사실에 있었던 것입니다. 그들은 예레미야에게 “네가 여호와의 이름으로 우리에게 하는 말을 우리가 듣지 아니하겠다”(16절)고 말했습니다. 이에 예레미야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너희가 분향하여 여호와께 범죄하였으며 여호와의 목소리를 순종하지 아니하고 여호와의 율법과 법규와 여러 증거대로 행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이 재난이 오늘과 같이 너희에게 일어났느니라”(23절).

우리도 유다 백성처럼 우리를 곤경에 빠뜨린 잘못된 방법들을 계속 더 사용하려 할 때가 있습니다. 사람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생길 때 더 차갑게 대해 주거나, 재정적으로 어려워질 때 충동구매를 더 한다거나, 밀침을 당하면 똑같이 밀어붙이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문제를 일으킨 그 우상이 우리를 구원할 수 없습니다. 예수님께로 돌이킬 때 주님만이 우리를 문제에서 구해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44:16-18, 20-23
네가 여호와의 이름으로 우리에게 하는 말을 우리가 듣지 아니하고
[예레미야 44:16]

당신이 어떤 문제에 직면하여 그것을 죄악된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하지는 않습니까?
예수님은 당신이 어떤 선택을 하기를 원하실까요?

예수님, 주님 없이 성공하기보다는 주님과 함께 하며 실패하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04/29/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6–7; LUKE 20:27–47
Hymn: 322(old 357)

SPIRITUAL DIAGNOSIS

Chemotherapy reduced the tumor in my father-in-law’s pancreas, until it didn’t. As the tumor began to grow again, he was left with a life-and-death decision. He asked his doctor, “Should I take more of this chemo or try something else, perhaps a different drug or radiation?”

The people of Judah had a similar life-and-death question. Weary from war and famine, God’s people wondered whether their problem was too much idolatry or not enough. They concluded they should offer more sacrifices to a false god and see if she would protect and prosper them (JEREMIAH 44:17).

Jeremiah said they had wildly misdiagnosed their situation. Their problem wasn’t a lack of commitment to idols; their problem was that they had them. They told the prophet, “We will not listen to the message you have spoken to us in the name of the Lord!” (V. 16). Jeremiah replied, “Because you have burned incense and have sinned against the Lord and have not obeyed him or followed his law or his decrees or his stipulations, this disaster has come upon you” (V. 23).

Like Judah, we may be tempted to double down on sinful choices that have landed us in trouble. Relationship problems? We can be more aloof. Financial issues? We’ll spend our way to happiness. Pushed aside? We’ll be equally ruthless. But the idols that contributed to our problems can’t save us. Only Jesus can carry us through our troubles as we turn to Him.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EREMIAH 44:16–18, 20–23
We will not listen to the message you have spoken to us in the name of the Lord.
[ JEREMIAH 44:16 ]

What personal problem has you stumped and how are you tempted to respond in a sinful way?
What do you think Jesus might want you to do?

Jesus, I’d rather fail with You than succeed without You.

오늘의 말씀

04/28/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3-5; 누가복음 20:1-26
찬송가: 336(통383)

믿음 안에서 성장하기

텃밭 가꾸기를 막 시작했을 때 나는 아침 일찍 채소밭으로 달려가 싹이 나왔는지 확인해보곤 했습니다. 하지만 하나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인터넷으로 “텃밭을 빨리 가꾸는 법”을 검색하다가 싹을 내는 단계가 식물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때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을 서두르면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난 후 나는 땅을 뚫고 태양을 향해 뻗어 나오는 새싹의 강인함과 변덕스러운 날씨를 견뎌내는 힘을 감사히 여기게 되었습니다. 몇 주를 참고 기다리니 마침내 흙을 뚫고 초록 새싹들이 한가득 나왔습니다.

우리는 종종 인격이 성장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고, 겉으로 보이는 성공이나 업적에만 찬사를 보내곤 합니다. 야고보는 “여러 가지 시험을 당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야고보서 1:2)고 말합니다. 하지만 시험을 기쁘게 여기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요?

하나님은 우리에게 도전과 어려움을 겪게 하셔서 우리를 하나님이 부르시기에 합당한 모습으로 빚어 가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살면서 겪는 시련을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4절) 이기고 나오기를 고대하십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예수님 안에 서 있음으로써 어떤 시련도 견딜 수 있고, 더 강건해져서 마침내 우리의 삶 가운데 성령의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갈라디아서 5:22-23). 하나님의 지혜로 우리는 날마다 제대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자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요한복음 15:5).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2-4
인내를 온전히 이루라 이는 너희로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
[야고보서 1:4]

최근에 어떤 시련을 겪었습니까?
그 상황 때문에 어떤 교훈을 얻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가끔 견디기 힘든 시련에 직면할 때가 있습니다.
견딜 힘을 주시고, 믿음 안에서 성장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8/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3–5; LUKE 20:1–26
Hymn: 336(old 383)

GROWING IN FAITH

At the beginning of my gardening journey, I’d wake up early and run to my vegetable garden to see if anything had sprouted. Nothing. After an internet search for “fast garden growth,” I learned that the seedling stage is the most important phase of a plant’s lifespan. Knowing now that this process couldn’t be rushed, I came to appreciate the strength of small sprouts fighting their way through the soil toward the sun and their resilience to temperamental weather. After waiting patiently for a few weeks, I was finally greeted by bursts of green sprouts creeping through the soil.

Sometimes it’s easy to praise the victories and triumphs in our lives without similarly acknowledging that growth in our character often comes through time and struggle. James instructs us to “consider it pure joy” when we “face trials of many kinds” (JAMES 1:2). But what could possibly be delightful about trials?

God will sometimes allow us to go through challenges and hardships so that we can be molded into who He’s called us to be. He waits in anticipation for us to come out of the trials of life “mature and complete, not lacking anything” (V. 4). By staying grounded in Jesus, we can persevere through any challenge, growing stronger and ultimately allowing the fruit of the Spirit to blossom in our lives (GALATIANS 5:22–23). His wisdom gives us the nourishment we need to truly flourish each and every day (JOHN 15:5). - KIMYA LODER

Today's Reading

JAMES 1:2–4
Let perseverance finish its work so that you may be mature and complete, not lacking anything.
[ JAMES 1:4 ]

What trials have you been working through recently?
What lessons are these circumstances revealing to you?

Loving Father, sometimes my trials seem unbearable.
Please give me the strength to persevere and help me grow in faith.

오늘의 말씀

04/27/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1-2; 누가복음 19:28-48
찬송가: 298(통35)

다시 노래하라

호주에 사는 멸종 위기종 꿀빨이새가 곤경에 처해 있습니다. 그들의 노래를 잃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한때는 개체 수가 많았던 것이 지금은 300여 마리만 남아 있는 그 새는 개체 수가 너무 적은 탓에 노래를 배울 수 없게 되고, 그러다 보니 수컷들이 자기들의 고유한 노래를 잊어버려 짝짓기에 실패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다행히도 환경 보호자들이 나서서 새를 구할 계획을 세워, 새들에게 노래를 불러주기로 했습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해서, 녹음한 다른 꿀빨이새의 노래를 틀어줘서 자기들의 노래를 다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 계획에는 수컷이 노래를 배워 암컷의 마음을 끌게 되면서 개체 수가 많아지기를 바라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스바냐 선지자는 곤경에 처한 백성에게 연설하면서, 그들 가운데 부패가 너무 심해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스바냐 3:1- 8). 훗날 하나님의 심판으로 포로가 되어 유배되었을 때 그들 또한 노래를 잃어버렸습니다(시편 137:4). 그러나 스바냐는 심판 이후에 하나님께서 고난당한 백성에게 오셔서 그들의 죄를 사하시고 그들에게 노래를 불러 주실 때를 미리 바라보았습니다.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스바냐 3:17). 그 결과 이 백성들도 마음 속에서 우러나오는 노래를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14절).

불순종이나 삶의 시련들로 우리도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기쁨의 노래를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용서와 사랑의 노래를 부르고 계십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노래를 들으며 함께 따라 부릅시다.

오늘의 성구

스바냐 3:14-20
시온의 딸아 노래할지어다 이스라엘아 기쁘게 부를지어다
[스바냐 3:14]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을 간직하기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입니까?
우리를 기뻐하시는 하나님께 우리는 어떤 노래나 시, 또는 기도를 드릴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께서 나를 향해 즐겁게 노래하신다 생각하니 참 놀랍습니다.
하나님을 찬양하며 나의 찬양의 노래로 하나님께 노래합니다.

Daily Article

04/27/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1–2; LUKE 19:28–48
Hymn: 298(old 35)

SING AGAIN

Australia’s regent honeyeater bird is in trouble—it’s losing its song. Though once an abundant species, just three hundred birds now remain; and with so few others to learn from, the males are forgetting their unique song and failing to attract mates.

Thankfully, conservationists plan to rescue the honeyeaters by singing to them. Or, more precisely, play them recordings of other honeyeaters singing so they can relearn their heart song. As the males pick up the tune and attract females again, it’s hoped the species will flourish once more.

The prophet Zephaniah addressed a people in trouble. With so much corruption among them, he announced that God’s judgment was coming (ZEPHANIAH 3:1–8). When this later came to pass through capture and exile, the people too lost their song (PSALM 137:4). But Zephaniah foresaw a time beyond judgment when God would come to this decimated people, forgive their sins, and sing to them: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in his love he will no longer rebuke you, but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ZEPHANIAH 3:17). As a result, the heart song of the people would be restored (V. 14).

Whether through our own disobedience or the trials of life, we too can lose our heart song of joy. But a Voice is singing over us songs of forgiveness and love. Let’s listen to His melody and sing along.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ZEPHANIAH 3:14–20
Sing, Daughter Zion; shout aloud, Israel!
[ ZEPHANIAH 3:14 ]

When do you find it hardest to retain your joy in God?
What song, poem, or prayer can you give to God in response to His rejoicing over You?

Loving God, it’s amazing to imagine that You would sing songs of joy over me.
I praise You and sing my own song of praise to You.

오늘의 말씀

04/26/2022     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23-24; 누가복음 19:1-27
찬송가: 377(통451)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나이가 어리다고 무언가를 이룰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열한 살 난 미카일라의 경우가 분명히 그랬습니다. 미카일라는 레모네이드 가판대를 세우는 대신 레모네이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할머니의 레시피로 시작한 ‘미 앤 비즈’ 레모네이드 사업은 텔레비전 프로그램 ‘샤크 탱크’에서 투자자들로부터 6만 달러의 투자금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한 유명 식품점과 계약을 체결하여 55개의 체인점에 자신의 레모네이드를 공급했습니다.

미카일라의 추진력과 꿈은 바울이 디모데에게 한 말을 떠올려 줍니다. “누구든지 네 연소함을 업신여기지 못하게 하고 오직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에 있어서 믿는 자에게 본이 되라”(디모데전서 4:12).

디모데는 미카일라 같은 어린아이는 아니었지만 그의 대부분의 회중보다 더 어렸던 것 같습니다. 디모데가 바울 사도 밑에서 훈련을 받은 뒤에도 몇몇 사람들은 그가 자신들을 인도할 만큼 성숙하지 못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경력을 내세워 자신을 증명하지 말고, 오직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로 본이 됨으로 영적인 성숙함을 보여주라고 권면했습니다(12 절). 디모데가 보여준 경건한 삶의 본으로 인해 아무도 그를 교사와 목사로서 부족하다고 말하지 못했습니다.

우리는 나이와 관계없이 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실 때 그리스도께 중심을 둔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줌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복음으로 우리의 삶을 빚으셔서, 나이가 열일곱이든 일흔이든 상관없이 복음을 전하기에 합당하게 될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4:6-13
누구든지 네 연소함을 업신여기지 못하게 하고 오직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에 있어서 믿는 자에게 본이 되어
[디모데전서 4:12]

하나님은 당신이 영적으로 성숙하고 영향력이 있도록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나이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닌 이유가 무엇일까요?

하나님 아버지, 나의 말과 행실, 다른 이들을 향한 사랑으로 예수님께 헌신하는 본을 보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6/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23–24; LUKE 19:1–27
Hymn: 377(old 451)

AGE IS JUST A NUMBER

Youthfulness shouldn’t stop anyone from achievement. It certainly didn’t stop eleven-year-old Mikaila. Instead of putting up a lemonade stand, Mikaila opened a lemonade business. Me & the Bees Lemonade started with her grandmother’s recipe and eventually earned a $60,000 investment from investors on the television show Shark Tank. She also signed a contract with a major grocer to sell her lemonade at fifty-five of the chain’s stores.

Mikaila’s drive and dreams point us back to Paul’s words to Timothy: “Don’t let anyone look down on you because you are young” (1 TIMOTHY 4:12).

Timothy, though not a child like Mikaila, was likely considerably younger than most in his congregation. After interning with the apostle Paul, some thought that Timothy wasn’t mature enough to lead them. Instead of telling him to prove himself by showing his credentials, Paul encouraged Timothy to demonstrate spiritual maturity by the way he used his words, lived his life, loved his parishioners, exercised his faith, and remained sexually pure (V. 12). No one could discredit him as a teacher and pastor if he backed it up with a godly example.

Regardless of our age, we can impact the world. We do it by setting a Christ-centered example for others as God provides what we need. May He shape our lives with the gospel, so whether we’re seventeen or seventy, we’ll be worthy to share it with other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1 TIMOTHY 4:6–13
Don’t let anyone look down on you because you are young, but set an example for the believers in speech, in conduct, in love, in faith and in purity.
[ 1 TIMOTHY 4:12 ]

How has God been helping you grow in spiritual maturity and effectiveness for Him?
Why is age not the most important factor?

Father, help me to model what it means to be devoted to Jesus in the way I speak, exercise my faith, and love other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