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15/2022     주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2-23; 요한복음 4:31-54
찬송가: 79(통40)

만들어진 우주

1980년대 초 하나님을 믿지 않았던 한 저명한 천문학자가 이런 글을 썼습니다. “밝혀진 사실들을 상식적으로 해석해 보면 어떤 초지능을 지닌 존재의 손길이 화학과 생물학뿐 아니라 물리학까지 미쳤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이 과학자의 눈에는 그 증거들이 ‘무언가’가 우주에서 우리가 관찰하는 모든 것을 설계한 것으로 비춰졌습니다. 그는 “이 자연에는 언급할만한 그런 보이지 않는 힘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덧붙여 말했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보는 모든 것은 ‘누군가’에 의해 계획된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 천문학자는 여전히 무신론자로 남았습니다.

3천 년 전 지성을 지닌 한 다른 사람이 하늘을 보며 다른 결론을 내렸습니다. 다윗은 이렇게 놀라움을 표했습니다. “주의 손가락으로 만드신 주의 하늘과 주께서 베풀어 두신 달과 별들을 내가 보오니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이까”(시편 8:3-4).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를 깊이 돌보십니다. 우주는 우리의 마음을 지으시고 이곳에 두셔서 그분의 작품을 깊이 생각하게 하신 우주의 ‘지적 설계자’요 ‘지적 초월자’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예수님과 그의 창조물을 보면 하나님을 알 수 있습니다. 바울은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그리스도는] 만물이 창조되기 전부터 계셨고 만물보다 뛰어나시니 하나님이 그를 통하여 하늘과 땅에 있는 만물을 창조하셨느니라”(골로새서 1:15-16).

우주는 실제로 “만들어졌습니다”. ‘지적 설계자’가 누구인지 그것을 알고자 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다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1:15-20
그가 만물보다 먼저 계시고 만물이 그 안에 함께 섰느니라
[골로새서 1:17]

삶의 구체적인 일상에서 어떻게 하나님을 볼 수 있을까요?
하나님의 존재를 의심하는 사람에게 어떻게 겸허하게 하나님에 대한 당신의 확신을 전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보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오니 그들을 아버지께로 이끌어 주소서.

Daily Article

05/15/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2–23; JOHN 4:31–54
Hymn: 79(old40)

MONKEYING WITH THE COSMOS

In the early 1980s, a prominent astronomer who didn’t believe in God wrote, “A common sense interpretation of the facts suggests that a super-intellect has monkeyed with physics, as well as with chemistry and biology.” To this scientist’s eye, the evidence showed that something had designed everything we observe in the cosmos. He added, “There are no blind forces worth speaking about in nature.” In other words, everything we see looks as if it was planned by Someone. And yet, the astronomer remained an atheist.

Three thousand years ago, another intelligent man looked at the skies and drew a different conclusion. “When I consider your heavens, the work of your fingers, the moon and the stars, which you have set in place, what is mankind that you are mindful of them, human beings that you care for them?” wondered David (PSALM 8:3–4).

Yet God cares for us deeply. The universe tells the story of its Intelligent Designer, the “Super Intellect” who made our minds and put us here to ponder His work. Through Jesus and His creation, God can be known. Paul wrote, “[Christ] existed before anything was created and is supreme over all creation, for through him God created everything in the heavenly realms and on earth” (COLOSSIANS 1:15–16 NLT).

The cosmos has indeed been “monkeyed with.” The identity of the Intelligent Designer is there to be discovered by anyone willing to seek.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COLOSSIANS 1:15–20
He existed before anything else, and he holds all creation together.
[ COLOSSIANS 1:17 NLT ]

In what ways can you see God in every detail of your life?
How might you humbly share your confidence in God with someone who doubts His existence?

Father, I pray for those who don’t see You. Please draw them to You.

오늘의 말씀

05/14/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9-21; 요한복음 4:1-30
찬송가: 525(통315)

회개의 은사

“아뇨! 제가 안 했어요!” 제인은 틴에이저 아들이 사실대로 말하지 않고 부인하자 마음이 침울해졌습니다. 그녀는 아들 시몬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다시 묻기 전에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는 기도를 했습니다. 아들이 거짓말이 아니라고 계속 고집하자 마침내 그녀는 화가 나서 두 손을 들고 말았습니다. 그녀가 잠시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뒤돌아 걷기 시작하자 곧 어깨에 손길을 느꼈고 아들이 사과하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아들이 성령께서 지적해 주는 것에 반응하여 회개한 것입니다.

구약 성경의 요엘서에서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전심으로 그분께로 돌이키라고 말씀하실 때 그들의 죄를 진실로 회개할 것을 요구하셨습니다(2:12). 하나님은 겉으로 하는 회개의 행위보다 그들의 완악한 태도를 누그러뜨리기를 바라셨습니다. “너희는 옷을 찢지 말고 마음을 찢으라.” 요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은 “은혜로우시며 자비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인애가 크시다”(13절)는 것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죄를 인정하고 싶지 않은 자존심 때문에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기 힘들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이미 사실을 얼버무리고는, 자신의 행동을 단지 “작은 선의의 거짓말”이었다고 말하며 정당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회개하라고 하는 하나님의 부드럽지만 단호한 설득에 주의를 기울이면 하나님은 우리 죄를 용서하시고 깨끗이 씻어주실 것입니다(요한1서 1:9). 우리가 용서받았다는 것을 앎으로써 비로소 죄책감과 수치심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엘 2:12-14
너희는 옷을 찢지 말고 마음을 찢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올지어다 그는 은혜로우시며 자비로우시며
[요엘 2:13]

“작은 선의의 거짓말”을 할 때 어떤 느낌이 들었습니까?
당신이 한 일을 깨닫고 어떻게 죄를 인정하고 결국 회개하게 되었습니까?

예수님, 주님이 십자가에서 돌아가심으로 주님과 하나님 아버지와 화합하며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주님의 사랑의 선물을 받아들여 정직하게 말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5/14/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9–21; JOHN 4:1–30
Hymn: 525(old 315)

THE GIFT OF REPENTANCE

“No! I didn’t do it!” Jane heard her teenage son’s denial with a sinking heart, for she knew he wasn’t telling the truth. She breathed a prayer asking God for help before asking Simon again what happened. He continued to deny he was lying, until finally she threw her hands up in exasperation. Saying she needed a time out, she began to walk away when she felt a hand on her shoulder and heard his apology. He responded to the convicting of the Holy Spirit, and repented.

In the Old Testament book of Joel, God called His people to true repentance for their sins as He welcomed them to return to Him wholeheartedly (2:12). God didn’t seek outward acts of remorse, but rather that they would soften their hard attitudes: “Rend your heart and not your garments.” Joel reminded the Israelites that God is “gracious and compassionate, slow to anger and abounding in love” (V. 13).

We might find confessing our wrongdoing difficult, for in our pride we don’t want to admit our sins. Perhaps we’ve fudged the truth, and we justify our actions by saying it was only “a little white lie.” But when we heed God’s gentle yet firm prompting to repent, He’ll forgive us and cleanse us from all our sins (1 JOHN 1:9). We can be free of guilt and shame, knowing we’re forgiven.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E L 2:12–14
Rend your heart and not your garments. Return to the Lord your God, for he is gracious and compassionate.
[ JOEL 2:13 ]

How did you feel when you told a “little white lie?”
How did the realization of what you did bring conviction and ultimately repentance?

Jesus, You died on the cross so I’d be able to live in harmony with You and the Father. May I accept Your gift of love as I speak truthfully.

오늘의 말씀

05/13/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7-18; 요한복음 3:19-36
찬송가: 430(통456)

힘찬 마무리

내가 40분 걸리는 운동의 마무리에 접어들면 트레이너는 틀림없이 “힘차게 마무리합시다!” 하고 소리칠 것입니다. 내가 만난 모든 개인 트레이너들이나 단체 피트니스 리더들은 마무리 운동 몇 분 전이면 언제나 그렇게 말합니다. 그들은 운동하러 가는 것만큼이나 운동의 마무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또한 사람의 몸은 한동안 움직이고 난 후에 느려지거나 게을러지는 성향이 있다는 것도 압니다.

예수님과 함께하는 우리의 여정도 마찬가지입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틀림없이 더 많은 박해를 마주하게 될 예루살렘으로 향하면서, 자신이 힘차게 마무리해야 한다고 에베소 교회의 장로들에게 말했습니다(사도행전 20:17-24). 그러나 바울은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그에게는 사명이 있었고, 그 사명은 하나님이 그를 불러 맡기신 일을 하며 그가 시작한 여정을 끝내는 것이었습니다. 그에게는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24절)을 전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으며, 그는 그 일을 힘차게 마무리하고 싶었습니다. 비록 고난이 그를 기다리고 있다 해도(23절) 그는 집중하여 단호한 마음으로 한결같이 그 여정을 계속하면서 결승선을 향해 달려갔습니다.

육체를 근육 운동으로 단련하든 하나님이 주신 능력을 행동과 말, 실천으로 단련하든, 우리는 이 힘찬 마무리를 되새기며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낙심하지” 마시고(갈라디아서 6:9) 포기하지 마십시오. 하나님께서 힘찬 마무리를 위해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0:17-24
내가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 곧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을 마치려 함에는 나의 생명조차 조금도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노라
[사도행전 20:24]

힘들거나 포기하고 싶을 때 어떻게 하십니까?
힘찬 마무리의 잇점이 무엇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이 여정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힘찬 마무리를 하여 하나님이 제 삶과 여정으로 영광 받으시길 원합니다.

Daily Article

05/13/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7–18; JOHN 3:19–36
Hymn: 430(old 456)

FINISH STRONG

As I enter the final few minutes of my forty-minute workout, I can almost guarantee that my instructor will yell out, “Finish strong!” Every personal trainer or group fitness leader I’ve known uses the phrase a few minutes before cool down. They know that the end of the workout is just as important as showing up for it. And they know that the human body has a tendency to want to slow down or slack off when it’s been in motion for a while.

The same is true in our journey with Jesus. Paul told the elders of the church at Ephesus that he needed to finish strong as he headed to Jerusalem, where he was certain to face more persecution as an apostle of Christ (ACTS 20:17–24). Paul, however, was undeterred. He had a mission and that was to finish the journey he’d begun and to do what God called him to do. He had one job—to tell “the good news of God’s grace” (V. 24). And he wanted to finish strong. Even if hardship awaited him (V. 23), he continued to run toward his finish line—focused and determined to remain steadfast in his journey.

Whether we’re exercising our physical muscles or working out our God-given abilities through actions, words, and deeds, we too can be encouraged by the reminder to finish strong. Don’t “become weary” (GALATIANS 6:9). Don’t give up. God will provide what you need to finish strong.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ACTS 20:17–24
I consider my life worth nothing to me; my only aim is to finish the race and complete the task the Lord Jesus has given me—the task of testifying to the good news of God’s grace.
[ ACTS 20:24 ]

What do you do when you get tired and feel like giving up?
What’s the benefit of finishing strong?

Help me keep going on this journey, Father. I want to finish strong so You get the glory for my life and journey.

오늘의 말씀

05/12/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5-16; 요한복음 3:1-18
찬송가: 292(통415)

축복을 따라 살아가기

1799년에 열 두 살인 콘라드 리드는 노스캐롤라이나에 있는 가족의 작은 농장을 가로지르는 개울에서 크고 반짝이는 암석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그것을 집에 가져와 아버지에게 보여주었습니다. 가난한 이민자 농부였던 아버지는 그 암석의 잠재적 가치를 알지 못하고 문을 괴는 데 사용했습니다. 가족들은 몇 년 동안 그 돌을 그대로 지나쳐 다녔습니다.

실제 17파운드(약 7.7킬로그램)의 금 덩어리였던 콘라드의 암석은 마침내 그 지역 보석상의 눈에 띄게 되었습니다. 곧 리드 가족은 부자가 되었고, 그들의 땅은 미국의 첫 대규모 금 채굴장소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현재 자신의 계획과 방법에 열중하다가 때때로 축복을 놓치고 지나갈 때가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께 불순종하여 바벨론으로 유배된 후, 하나님은 그들에게 다시 한번 자유를 주겠다고 선포하셨습니다. 그러나 또한 그들이 놓친 것에 대해서도 상기시켜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네게 유익하도록 가르치고 너를 마땅히 행할 길로 인도하는 네 하나님 여호와라 네가 나의 명령에 주의하였더라면 네 평강이 강과 같았겠고 네 공의가 바다 물결 같았을 것이라.” 그러고 나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전의 방식에서 벗어나 주님을 따라 새로운 삶을 살라고 권면하셨습니다. “바벨론에서 나와서... 즐거운 소리로 이를 알게 하라”(이사야 48:17-18, 20).

바벨론을 떠난다는 것은, 아마 그때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우리가 죄악된 길을 떠나 선을 행하기를 갈망하시는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오직 그분께 순종하고 그분만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8:12-20
네가 나의 명령에 주의하였더라면
[이사야 48:18]

오늘 하나님과 동행하면서 그분의 어떤 면을 기대하십니까?
다른 사람들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친절하게 인도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과 같은 분은 세상에 없습니다!
하나님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회를 붙잡고 하나님만이 주시는 축복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2/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5–16; JOHN 3:1–18
Hymn: 292(old 415)

WALKING BY A BLESSING

In 1799, twelve-year-old Conrad Reed found a large, glittering rock in the stream that ran through his family’s small farm in North Carolina. He carried it home to show his father, a poor immigrant farmer. His father didn’t understand the rock’s potential value and used it as a doorstop. The family walked by it for years.

Eventually Conrad’s rock—actually a seventeen-pound gold nugget—caught the eye of a local jeweler. Soon the Reed family became wealthy, and their property became the site of the first major gold strike in the United States.

Sometimes we walk past a blessing, intent on our own plans and ways. After Israel was exiled to Babylon for disobeying God, He proclaimed freedom for them once again. But He also reminded them of what they’d missed. “I am the Lord your God,” He told them, “who teaches you what is best for you, who directs you in
the way you should go. If only you had paid attention to my commands, your peace would have been like a river, your well-being like the waves of the sea.” God then encouraged them to follow Him away from old ways into a new life: “Leave Babylon . . . ! Announce this with shouts of joy” (ISAIAH 48:17–18, 20).

Leaving Babylon, perhaps now as much as then, means leaving sinful ways and “coming home” to a God who longs to do us good—if only we’ll obey and follow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48:12–20
If only you had paid attention to my commands.
[ ISAIAH 48:18 ]

What aspect of God do you look forward to as you walk with Him today?
What can you do to gently lead others to His love?

Loving God, there’s no one like You!
Help me embrace the opportunity to walk with You and discover the blessings You alone provide.

오늘의 말씀

05/11/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3-14; 요한복음 2
찬송가: 520(통257)

항상 전할 가치

예수님을 믿은 후 나는 어머니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어머니는 예수님을 받아들이지 않고 일 년 동안 나와 대화를 끊었습니다. 어머니는 예수님을 믿는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서 나쁜 경험을 했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을 신뢰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나는 어머니를 위해 기도하며 매주 연락을 드렸습니다. 어머니가 침묵으로 대하는 동안, 성령님은 나를 위로하시고 내 마음에 계속 역사하셨습니다. 마침내 어머니가 내 전화를 받으셨을 때, 나는 어머니를 더욱 사랑하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하나님의 진리를 어머니에게 전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어머니와 화해한 지 몇 달 후 어머니는 내가 변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거의 1년이 지나서 어머니는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하였고, 그 결과 우리의 관계는 더욱 깊어졌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인류에게 주어진 가장 큰 선물인 그리스도께 다가갈 수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우리가 “각처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냄새를 나타내”(고린도후서 2:14)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는 복음을 전하는 자들이 믿는 자들에게 풍기는 “그리스도의 향기”라고 하면서도, 예수님을 거부하는 자들에게는 사망에 이르는 악취를 풍긴다고 말합니다(15-16절).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한 우리에게는 세상에 사는 제한된 시간 동안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 것을 통해, 삶을 바꾸는 주님의 진리를 전파하는 특권이 주어졌습니다. 우리는 가장 힘들고 외로운 순간에도 주님이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신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하나님의 복음은 항상 전할 가치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2:12-17
항상 우리로 말미암아 각처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냄새를 나타내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라
[고린도후서 2:14]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에게 복음을 전했을 때 포기하지 않도록 하나님이 어떻게 격려해 주셨습니까? 둘 다 그리스도인으로 연결된 후 하나님은 어떻게 그 사람과 가까워지게 하셨습니까?

하나님, 저를 보내시는 곳마다 주님의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1/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3–14; JOHN 2
Hymn: 520(old 257)

ALWAYS WORTH SHARING

After I became a believer in Jesus, I shared the gospel with my mother. Instead of making a decision to trust Jesus, as I expected, she stopped speaking to me for a year. Her bad experiences with people who claimed to follow Jesus made her distrust believers in Christ. I prayed for her and reached out to her weekly. The Holy Spirit comforted me and continued working on my heart as my mom gave me the silent treatment. When she finally answered my phone call, I committed to loving her and sharing God’s truth with her whenever I had the opportunity. Months after our reconciliation, she said I’d changed. Almost a year later, she received Jesus as her Savior, and, as a result, our relationship deepened.

Believers in Jesus have access to the greatest gift given to humanity—Christ. The apostle Paul says we’re to “spread the aroma of the knowledge of him everywhere” (2 CORINTHIANS 2:14). He refers to those who share the gospel as “the pleasing aroma of Christ” to those who believe, but acknowledges we reek of death to those who reject Jesus (VV. 15–16).

After we receive Christ as our Savior, we have the privilege of using our limited time on earth to spread His life-changing truth while loving others. Even during our hardest and loneliest moments, we can trust He’ll provide what we need. No matter what the personal cost, God’s good news is always worth sharing.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2:12–17
Thanks be to God, who always . . . uses us to spread the aroma of the knowledge of him everywhere.
[ 2 CORINTHIANS 2:14 ]

How has God encouraged you after you shared the gospel with someone who reacted negatively? How did God bring you close to someone after you both connected as believers in Jesus?

Help me share Your good news wherever You send me, God!

오늘의 말씀

05/10/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0-12; 요한복음 1:29-51
찬송가: 91(통91)

새겨진 고통스러운 슬픔

희귀하고 치료가 불가능한 악성 뇌종양 진단을 받은 캐롤라인은 중환자 아이들과 그 가족의 사진을 찍는 특별 자원봉사를 하면서 새로운 희망과 목적을 찾게 되었습니다. 그 사진봉사 덕분에 가족들은 고통스러운 슬픔 중에도 “그런 절박한 상황에서 있을 법하지 않은 은혜와 아름다움의 순간들”을 아이들과 함께한 소중한 시간을 간직할 수 있었습니다. 캐롤라인은 “가장 힘든 순간에 가족들이...그럼에도 아니 그렇기 때문에 서로 더욱 사랑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고통스러운 슬픔의 진실을 사진으로 담아낸 것에는 말로 형언할 수 없이 강력한 무언가가 있습니다. 그것은 그 슬픔의 처참한 현실적인 면과, 동시에 그 슬픔 가운데서 아름다움과 희망을 경험하게 하는 방법들을 함께 보여주고 있습니다.

욥기의 많은 부분은 욥의 처참한 상실의 아픔을 가감없이 보여주는 고통스러운 사진과 같습니다(1:18-19). 욥과 며칠을 함께 앉아 있던 그의 친구들은 욥의 고통스러운 슬픔에 지쳐, 그의 슬픔을 최소화하거나 그것을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욥은 그 어느 것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중요한 것은 그가 겪고 있는 현실이라면서 그의 경험을 담은 증언이 “영원히 돌에 새겨지기를”(19:24) 바랐습니다.

그 증언은 욥기 속에 “새겨졌습니다.” 우리가 고통스러운 슬픔 가운데 있을 때, 고통 중에 우리를 만나 죽음에서 부활의 삶으로 옮겨 주시는 살아 계신 하나님께로 향하게 해주는 방식으로 말입니다(26-27절).

오늘의 성구

욥기 19:19-27
나의 말이 곧 기록되었으면, ...영원히 돌에 새겨졌으면 좋겠노라
[욥기 19:23-24]

고통을 그대로 직면하는 것이 어떻게 치유를 가져올 수 있을까요?
당신은 언제 큰 슬픔 가운데서 예상치 못한 은혜와 아름다움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긍휼이 많으신 하나님,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솔직하게 증언하고 하나님이 주시는 희망을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0/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0–12; JOHN 1:29–51
Hymn: 91(old 91)

ENGRAVED GRIEF

After receiving the devastating diagnosis of a rare and incurable brain cancer, Caroline found renewed hope and purpose through providing a unique service: volunteering photography services for critically ill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rough this service, families could capture the precious moments shared with their children, both in grief and “the moments of grace and beauty we assume don’t exist in those desperate places.” She observed that “in the hardest moments imaginable, those families . . . choose to love, despite and because of it all.”

There’s something unspeakably powerful about capturing the truth of grief—both the devastating reality of it and the ways in which we experience beauty and hope in the midst of it.

Much of the book of Job is like a photograph of grief—capturing honestly Job’s journey through devastating loss (1:18–19). After sitting with Job for several days, his friends wearied of his grief, resorting to minimizing it or explaining it away as God’s judgment. But Job would have none of it, insisting that what he was going through mattered, and wishing that the testimony of his experience would be “engraved in rock forever!” (19:24).

Through the book of Job, it was “engraved”—in a way that points us in our grief to the living God (VV. 26–27), who meets us in our pain, carrying us through death into resurrection life.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JOB 19:19–27
Oh, that my words were recorded, that they were . . . engraved in rock forever!
[ JOB 19:23–24 ]

How can facing pain honestly bring healing?
When have you experienced unexpected grace and beauty within great grief?

Compassionate God, help me to witness honestly to those who are experiencing pain and offer the hope You provide.

오늘의 말씀

05/09/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7-9; 요한복음 1:1-28
찬송가: 342(통395)

해바라기를 두고 벌이는 싸움

우리 집 주변에 사는 사슴들과 나는 해바라기를 두고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봄마다 해바라기를 심을 때면 나는 꽃이 활짝 피었을 때의 아름다움을 기대합니다. 하지만 나의 사슴 친구들은 활짝 핀 꽃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사슴들은 단지 잎사귀와 줄기를 모조리 씹어 먹는 것만 원할 뿐입니다. 매년 여름이면 해바라기를 다 먹어 치우려는 네 발 달린 내 이웃과 해바라기의 핀 모습을 보려고 하는 나의 전투가 벌어집니다. 어느 해엔 내가 이기고, 또 다른 어느 해엔 사슴들이 이깁니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인 우리의 삶을 생각해 보면 우리와 우리의 적 사탄과의 사이에도 그와 비슷한 싸움이 벌어지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우리의 삶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돋보이도록 하는 영적 성숙을 향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마귀는 우리의 믿음을 삼키고 우리의 영적 성장을 방해하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 세상의 “모든 통치자” 를 다스리시고 우리를 주 안에서 “충만하게” 하셔서(골로새서 2:10), 우리를 “온전하게” 만들어주십니다.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승리는 마치 아름다운 해바라기꽃처럼 우리가 이 세상에 우뚝 서게 해줍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거스르고 불리하게 하는 법조문”(죄에 대한 형벌)을 십자가에 못 박으시고(14절) 우리를 조종했던 세력들을 멸하셨습니다. 우리는 그 안에 “뿌리를 박으며 세움을 받아”(7절) “그리스도와 함께 살아나게” 되었습니다(13절). 예수님 안에서 우리는 대적의 영적 공격에 대항하고 참된 아름다움을 지닌 생명을 드러내며 꽃 피울 수 있는 권세(10절)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2:6-14
너희도 그 안에서 충만하여졌으니
[골로새서 2:10]

대적 사탄이 어떤 영역에서 당신의 영적 성숙을 방해하며 갉아먹고 있습니까?
영적인 공격을 당할 때 왜 하나님을 부르는 것이 필수적일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을 위해 아름다운 삶을 살게 해주소서. 혼자서는 할 수 없으니 하나님의 권능으로 대적에 대항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희망과 능력과 용기의 근원이신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5/09/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7–9; JOHN 1:1–28
Hymn: 342(old 395)

THE SUNFLOWER BATTLE

The deer in our neighborhood and I have two different opinions about sunflowers. When I plant sunflowers each spring, I’m looking forward to the beauty of their blooms. My deer friends, however, don’t care about the finished product. They simply want to chew the stems and leaves until there’s nothing left. It’s an annual summertime battle as I try to see the sunflowers to maturity before my four-hoofed neighbors devour them. Sometimes I win; sometimes they win.

When we think about our lives as believers in Jesus, it’s easy to see a similar battle being waged between us and our enemy— Satan. Our goal is continual growth leading to spiritual maturity that helps our lives stand out for God’s honor. The devil wants to devour our faith and keep us from growing. But Jesus has dominion over “every power” and can bring us “to fullness” (COLOSSIANS 2:10), which means He makes us “complete.” Christ’s victory on the cross allows us to stand out in the world like those beautiful sunflowers.

When Jesus nailed the “record of the charges against us” (the penalty for our sins) to the cross (V. 14 NLT), He destroyed the powers that controlled us. We became “rooted and built up” (V. 7) and made “alive with Christ” (V. 13). In Him we have the power (V. 10) to resist the enemy’s spiritual attacks and to flourish in Jesus— displaying a life of true beauty. - DAVE BRANON

Today's Reading

COLOSSIANS 2:6–14
In Christ you have been brought to fullness.
[ COLOSSIANS 2:10 ]

In what areas does the enemy try to nibble away at your growing spiritual maturity?
Why is it vital for you to call out to God when you experience spiritual attacks?

Loving God, make my life beautiful for You. Help me to resist the enemy through Your power because I can’t do it on my own.
Thank You for Jesus’ death and resurrection—my source of hope, power, and courage.

오늘의 말씀

05/08/2022     주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4-6; 누가복음 24:36-53
찬송가: 478(통78)

위대하신 우리 하나님!

사람의 신분을 확인하는 데 지문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복제가 가능해지면서 속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사람 눈의 동공 패턴도 누군가 콘택트렌즈를 통해 결과를 왜곡할 수 있어서 이제는 신뢰할 만한 신원 확인 수단이 아닙니다. 생체 인식을 통해 개인을 식별하는 것은 실패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사람을 식별하는 독특한 특성으로 무엇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그런데 사람마다 혈관 구조가 독특하여 위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각 개인의 “혈관 지도”는 지구상의 다른 어떤 사람과도 일치하지 않는 일종의 인식표와 같습니다.

인체구조의 그런 복잡함을 생각하다 보면 우리를 지으신 창조주를 향한 경배와 감탄을 자아내게 합니다. 다윗은 우리를 “지으심이 심히 기묘”하고 “기이”하여(시편 139:14), 분명 기릴 만한 일임을 상기시켜 줍니다. 사실, 시편 111편 2절은 “여호와께서 행하시는 일들이 크시오니 이를 즐거워하는 자들이 다 기리는도다”라고 일깨워 줍니다.

그러나 우리의 더 큰 관심을 받기에 합당하신 분은 바로 창조주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이 행하신 위대한 일들을 찬양하면서 우리는 하나님 그분도 찬양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들도 위대하지만, 하나님은 더욱 위대하십니다. 그래서 시편 기자는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무릇 주는 위대하사 기이한 일들을 행하시오니 주만이 하나님이시니이다”(86:10).

오늘, 하나님이 행하신 위대한 일들을 생각하면서 하나님 그분이 또한 얼마나 크신 분인가에 대해서도 경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1:1-10
여호와께서 행하시는 일들이 크시오니 이를 즐거워하는 자들이 다 기리는도다
[시편 111:2]

당신은 어떤 것을 보고 경외와 경이를 느낍니까?
오늘 어떻게 시간을 내어 하나님의 놀라운 일들을 찬양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는 만물을 지으신 주님을 진심으로 생각하지 않고 창조물에 대한 너무 많은 생각에 쉽게 빠집니다.
하나님에 대해 경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08/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4–6; LUKE 24:36–53
Hymn: 478(old 78)

HOW GREAT IS OUR GOD!

Fingerprints have long been used to identify people, but they can be faked by creating copies. Similarly, the pattern of the iris in the human eye is a reliable source for ID—until someone alters the pattern with a contact lens to skew the results. The use of biometrics to identify individuals can be defeated. So, what qualifies as a unique identifying characteristic? It turns out that everyone’s blood-vessel patterns are unique and virtually impossible to counterfeit. Your own personal “vein map” is a one-of-akind identifier, setting you apart from everyone else on the planet.

Pondering such complexities of human beings should prompt a sense of worship and wonder for the Creator who made us. David reminded us that we are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PSALM 139:14), and that is certainly worth celebrating. In fact, Psalm 111:2 reminds us, “Great are the works of the Lord; they are pondered by all who delight in them.”

Even more worthy of our attention is the divine Maker Himself. While celebrating God’s great deeds, we also must celebrate Him! His deeds are great, but He’s even greater, prompting the psalmist to pray, “For you are great and do marvelous deeds; you alone are God” (86:10).

Today, as we consider the greatness of what God does, may we also marvel at the greatness of who He i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111:1–10
Great are the works of the Lord; they are pondered by all who delight in them.
[ PSALM 111:2 ]

What things instill a sense of awe and wonder in you?
How will you make time to praise God for His marvelous works today?

Father, I can easily be sidetracked into thinking too much about creation without truly considering You—the One who made all of creation.
Help me to marvel at You.

오늘의 말씀

05/07/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3; 누가복음 24:1-35
찬송가: 293(통414)

엄마처럼 사랑하기

후아니타는 조카에게 대공황을 겪으며 자란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당시 가난했던 그녀의 가족은 먹을 거라고는 사과 몇 개와 아빠가 사냥해다 주는 동물 밖에 없었습니다. 아버지가 저녁거리로 다람쥐 한 마리를 주머니에 담아 올 때면 엄마는 이렇게 말하곤 했습니다. “다람쥐 머리는 내 차지다. 난 그게 좋아. 그 부분이 제일 맛있거든.” 여러 해가 지난 후 후아니타는 다람쥐 머리에는 먹을 고기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엄마는 그것을 먹지 않았습니다. 그저 “우리 어린아이들이 엄마 걱정하지 않고 더 많이 먹을 수 있도록” 그 부위가 맛있는 척했을 뿐입니다.

내일 어머니날을 기념할 때, 어머니의 헌신을 담은 이야기들을 되새겨 보면 어떨까요? 어머니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고 어머니처럼 우리도 더욱 사랑하도록 노력합시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를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 섬겼습니다 (데살로니가전서 2:7). “강한 반대”에 맞서 싸우면서 그들에게 예수님에 대해 전하고 자신의 목숨까지 주면서 그들을 치열하게 사랑했습니다(2, 8절). 그리고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아니하려고 밤낮으로 일하면서 [그들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였습니다”(9절). 바로 엄마처럼 말입니다.

어머니의 사랑을 부인할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자신의 수고가 “헛되지 않았다”고 완곡하게 표현했습니다(1절).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조절할 수는 없지만, 매일 매일 그들에게 다가가 헌신적으로 섬길 수는 있습니다. 엄마가 자랑스러워할 것이고,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도 그러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2:1-9
너희 가운데서 유순한 자가 되어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 하였으니
[데살로니가전서 2:7-8]

당신을 헌신적으로 사랑해 준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 당신을 사랑하시는 것처럼 당신이 사랑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어느 누구도 하나님보다 우리를 더 사랑할 수는 없습니다.

Daily Article

05/07/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3; LUKE 24:1–35
Hymn: 293(old 414)

LOVE LIKE MOM

Juanita told her nephew about growing up during the Great Depression. Her poor family only had apples to eat, plus whatever wild game her dad might provide. Whenever he bagged a squirrel for dinner, her mom would say, “Give me that squirrel head. That’s all I want to eat. It’s the best piece of meat.” Years later Juanita realized there wasn’t any meat on a squirrel’s head. Her mom didn’t eat it. She only pretended it was a delicacy “so us kids could get more to eat and we wouldn’t worry about her.”

As we celebrate Mother’s Day tomorrow, may we also recount stories of our mothers’ devotion. We thank God for them and strive to love more like them.

Paul served the Thessalonian church “as a nursing mother cares for her children” (1 THESSALONIANS 2:7). He loved fiercely, fighting through “strong opposition” to tell them about Jesus and to share his own life with them (VV. 2, 8). He “worked night and day in order not to be a burden to anyone while [he] preached the gospel of God to [them]” (V. 9). Just like Mom.

Few can resist a mother’s love, and Paul modestly said his efforts were “not without results” (V. 1). We can’t control how others respond, but we can choose to show up, day after day, to serve them in a sacrificial way. Mom would be proud, and so will our heavenly Father.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2:1–9
Just as a nursing mother cares for her children, so we cared for you.
[ 1 THESSALONIANS 2:7–8 ]

Who has loved you sacrificially?
Who are you loving as your heavenly Father loves you?

Father, no one could love me more than You.

오늘의 말씀

05/06/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열왕기상 21-22; 누가복음 23:26-56
찬송가: 299(통418)

하나님은 아신다

리아는 대만에서 간호사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취업 기회가 제한된 마닐라에서보다 대만에서 일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가족을 부양하는 데에 훨씬 도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집을 떠나기 전날 밤 다섯 살 난 자기 딸을 돌보게 될 언니에게 부탁했습니다. “아이에게 땅콩버터를 한 숟갈 주면 비타민도 잘 먹을 거야. 그리고 수줍음이 많지만, 좀 지나면 사촌들하고도 잘 지낼 거야. 그리고 아이가 어두움을 무서워해...”

다음날 비행기 창밖을 내다보며 리아는 기도했습니다. ‘주님, 저보다 제 딸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제가 아이 곁에 있을 수 없지만, 주님께서 아이와 함께해 주실줄 믿어요.’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해 잘 압니다. 그들이 우리에게 소중하기 때문에 그들에 관한 자세한 일까지 챙기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우리가 그들과 함께하지 못할 때, 우리만큼 그들을 잘 아는 사람이 없어서 혹시 다치지나 않을까 걱정합니다.

시편 139편에서 다윗은 하나님이 우리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계신다는 사실을 일깨워 줍니다. 그런 것처럼,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도 자상하게 잘 알고 계십니다(1-4절). 하나님은 그들을 창조하신 분이므로(13-15절) 그들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잘 아십니다. 하나님은 매일 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잘 아시며(16절), 그들과 함께 하시며 떠나지 않으실 것입니다(5, 7-10절).

다른 사람들에 대해 걱정이 될 때 그들을 하나님께 맡기십시오. 그분은 그들을 누구보다 잘 아시며 또 그들을 누구보다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5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시편 139:1]

당신은 누구를 하나님께 맡길 수 있습니까?
이럴 때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어떻게 보여줄 수 있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항상 함께 있지 못하지만, 하나님이 누구보다 그들을 잘 아시고 사랑하신다는 것을 알기에 하나님의 사랑의 돌봄에 그들을 맡깁니다.

Daily Article

05/06/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21–22; LUKE 23:26–56
Hymn: 299(old 418)

HE KNOWS

Lea was about to start a job as a nurse in Taiwan. She’d be able to better provide for her family, more than she could in Manila, where job opportunities were limited. On the night before her departure, she gave instructions to her sister, who’d be taking care of her five-year-old daughter. “She’ll take her vitamins if you also give her a spoonful of peanut butter,” Lea explained, “And, remember, she’s shy. She’ll play with her cousins eventually. And she’s afraid of the dark . . .”

While looking out the plane window the next day, Lea prayed: Lord, no one knows my daughter like I do. I can’t be with her, but You can.

We know the people we love, and we notice all the details about them because they’re precious to us. When we can’t be with them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we’re often anxious that since no one knows them as well as we do they’ll be more vulnerable to harm.

In Psalm 139, David reminds us that God knows us more than anyone does. In the same way, He knows our loved ones intimately (VV. 1–4). He’s their Creator (VV. 13–15), so He understands their needs. He knows what will happen each day of their lives (V. 16), and He’s with them and will never leave them (VV. 5, 7–10).

When you’re anxious for others, entrust them to God for He knows them best and loves them the most. - KAREN HUANG

Today's Reading

PSALM 139:1–5
You have searched me, Lord,
and you know me. [ PSALM 139:1 ]

Who can you entrust to God’s care?
How can you show your trust in Him in this area?

Father in heaven, though I can’t always be with those I love, I entrust them to Your loving care, remembering that You know them the best and love them the most.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