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25/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5-27; 요한복음 9:1-23
찬송가: 388(통441)

도망쳐라

일본의 전통 무술인 합기도의 첫 수업에서 나는 놀라운 사실을 배웠습니다. 합기도 사범은 우리가 공격자와 마주쳤을 때 우리의 첫 번째 대응은 “도망치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도망칠 수 없을 때에만 싸워야 합니다.”라고 진지하게 말했습니다.

도망치라고? 나는 깜짝 놀랐습니다. 아니 왜 이토록 고도로 숙련된 자기방어 기술을 가진 사범이 우리더러 싸움에서 도망치라고 했을까요? 직관에 반대되는 말 같았지만, 자기방어의 가장 좋은 방법은 애초에 싸움을 피하는 것이라는 설명을 듣고 나니 납득이 갔습니다. ‘당연하지요!’

사람들이 예수님을 잡으러 왔을 때, 베드로는 우리 중 누군가는 했을 법한 행동으로 칼을 뽑아 그들 중 한 사람을 공격했습니다(마태복음 26:51; 요한복음 18:10 참조). 그러나 예수님은 그에게 “내가 만일 그렇게 하면 이런 일이 있으리라 한 성경이 어떻게 이루어지겠느냐”(마태복음 26:54)고 하시며 칼을 집어넣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정의감도 중요하지만, 하나님의 목적과 하나님의 나라, 곧 원수를 사랑하고 은혜로 악을 갚으라고 하는(5:44) “거꾸로 된” 하나님의 나라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세상 사람들이 반응하는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그것이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 양성하시려는 반응입니다.

누가복음 22장 51절은 베드로가 공격한 사람의 귀를 예수님이 고쳐주시는 것을 보여줍니다. 우리도 하나님으로부터 필요한 공급을 받으며 언제나 평화와 회복을 추구하면서, 예수님처럼 어려운 상황에 대응하는 법을 배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6:47-56
내가 만일 그렇게 하면 이런 일이 있으리라 한 성경이 어떻게 이루어지겠느냐
[마태복음 26:54]

최근 어려운 상황에 어떻게 대응하셨습니까? 이것은 당신이 생각하는 예수님의 반응과 어떻게 비교가 됩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 나라의 더 큰 목적을 새롭게 이해하게 하시고, 예수님이 그러셨던 것처럼 경건과 사랑과 평화를 추구하는 마음으로 상황에 대응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25/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5–27; JOHN 9:1–23
Hymn: 388(old441)

RUN AWAY

The introductory lesson on aikido, a traditional Japanese form of martial arts, was an eye-opener. The sensei, or teacher, told us that when faced with an attacker, our first response should be to “run away.” “Only if you can’t run away, then you fight,” he said seriously.

Run away? I was taken aback. Why was this highly skilled self-defense instructor telling us to run away from a fight? It seemed counterintuitive—until he explained that the best form of self-defense is to avoid fighting in the first place. Of course!

When several men came to arrest Jesus, Peter responded as some of us might have by drawing his sword to attack one of them (MATTHEW 26:51; SEE JOHN 18:10). But Jesus told him to put it away, saying, “How then would the Scriptures be fulfilled that say it must happen in this way?” (MATTHEW 26:54).

While a sense of justice is important, so is understanding God’s purpose and kingdom—an “upside-down” kingdom that calls us to love our enemies and return evil with kindness (5:44). It’s a stark contrast to how the world might react, yet it’s a response that God seeks to nurture in us.

Luke 22:51 even describes Jesus healing the ear of the man Peter had struck. May we learn to respond to difficult situations as He did, always seeking peace and restoration as God provides what we need. - LESLIE KOH

Today's Reading

MAT THEW 26:47–56
How then would the Scriptures be fulfilled that say it must happen in this way?
[ MATTHEW 26:54 ]

How did you respond to a difficult situation recently? How does this compare with how you think Jesus might have responded?

Father God, give me a new understanding of Your greater purposes in Your kingdom, and a godly, loving, and peace-seeking heart to respond to situations as Your Son did.

오늘의 말씀

05/24/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2-24; 요한복음 8:28-59
찬송가: 454(통508)

후하게 베풀어 주기

찰스 고든(1833-1885) 장군은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빅토리아 여왕을 섬겼지만 영국에 돌아와 살 때에 수입의 90%를 기부했습니다. 랭커셔에 기근이 났다는 소식을 듣고 장군은 어느 세계 지도자로부터 받은 순금 메달의 새겨진 글자를 긁어내고, 그 메달을 북쪽 기근 지방에 보내면서 그것을 녹여 그 돈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빵을 사라고 했습니다. 그날 그는 일기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내가 이 세상에서 얻은 마지막 값나가는 물건을 주 예수님께 드렸다.”

물론 고든 장군의 베풂의 정도는 우리가 따라 할 수 있는 수준 그 이상이긴 하지만, 하나님은 항상 그분의 백성들에게 어려운 사람들을 돌아보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주신 율법에서 백성들에게 밭의 가장자리까지 곡식을 수확하지 말고 또 모든 곡식을 다 거두어 들이지도 말라고 하셨습니다. 포도원에서 수확할 때도 “가난한 사람과 거류민을 위하여” 떨어진 포도를 그대로 남겨 두라고 말씀하셨습니다(레위기 19:10).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들이 그들 가운데 힘없고 약한 이웃이 있는지 살피고 도와주기를 바라셨습니다.

우리가 아무리 관대한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고자 하는 마음을 더 키우고, 또 그렇게 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도록 주님의 지혜를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도록 우리를 즐거이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9:9-10
네 포도원의 열매를 다 따지 말며 네 포도원에 떨어진 열매도 줍지 말고 가난한 사람과 거류민을 위하여 버려두라
[레위기 19:10]

실제적인 도움을 주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거나, 아니면 어떤 다른 방법을 통해서든, 오늘 어떻게 관대하게 베풀 수 있을까요?
언제 누구로부터 후한 베풂을 받은 적이 있었습니까? 그때 느낌이 어땠습니까?

베푸시는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을 보내셔서 우리처럼 살고 우리를 위해 죽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이 놀라운 선물을 사랑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24/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2–24; JOHN 8:28–59
Hymn: 454(old508)

GENEROUS GIVING

General Charles Gordon (1833–1885) served Queen Victoria in China and elsewhere, but when living in England he’d give away 90 percent of his income. When he heard about a famine in Lancashire, he scratched off the inscription from a pure gold medal he’d received from a world leader and sent it up north, saying they should melt it down and use the money to buy bread for the poor. That day he wrote in his diary: “The last earthly thing I had in this world that I valued I have given to the Lord Jesus.”

General Gordon’s level of generosity might seem above and beyond what we’re able to extend, but God has always called His people to look out for those in need. In some of the laws He delivered through Moses, God instructed the people not to reap to the edges of their field nor gather the entire crop. Instead, when harvesting a vineyard, He said to leave the grapes that had fallen “for the poor and the foreigner” (LEVITICUS 19:10). God wanted His people to be aware of and provide for the vulnerable in their midst.

However generous we may feel, we can ask God to increase our desire to give to others and to seek His wisdom for creative ways to do so. He loves to help us show His love to other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EVITICUS 19:9–10
Do not go over your vineyard a second time or pick up the grapes that have fallen. Leave them for the poor and the foreigner.
[ LEVITICUS 19:10 ]

How might you extend generosity today, whether through practical help, a listening ear, or some other way?
When have you been on the receiving end of someone’s generosity? How did that feel?

Giving Father, thank You for sending Jesus to live as one of us and to die for us.
Fill my heart with love and thanks for this amazing gift.

오늘의 말씀

05/23/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9-21; 요한복음 8:1-27
찬송가: 360(통402)

인생의 마지막에서

나에게는 종종 수양회를 인도할 수 있는 특권이 주어집니다. 며칠 동안 떠나 기도하고 묵상하는 것은 우리에게 영적인 깊이를 더해줄 수 있는데, 프로그램 중에 나는 참가자들에게 가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당신의 삶이 끝나고 신문에 부고가 실린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어떤 말이 실렸으면 좋겠습니까?” 그러면 어떤 참석자들은 인생을 잘 마무리하기 위해 자신들의 삶에서 우선순위를 바꾸기도 합니다.

디모데후서 4장은 바울 사도가 마지막으로 쓴 편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때 바울은 비록 나이가 60대 정도에 불과하고 이전에도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겼지만, 이제 자신의 삶이 거의 끝나가고 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디모데후서 4:6). 이제 더 이상 선교 여행을 하거나 교회에 편지를 쓰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다”(7절)고 말합니다. 바울은 완전하지는 않았지만(디모데전서 1:15-16), 자신이 하나님과 복음에 충실했다고 자신의 삶을 평가합니다. 교회 전통에 따르면 그는 그 후 얼마 안 있어 순교했다고 합니다.

우리의 마지막 날들을 묵상해 보면 지금 무엇이 중요한지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선한 싸움을 싸우라. 달려갈 길을 마쳐라. 믿음을 지켜라’는 바울의 말은 우리가 따를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마지막 때에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 그분의 길에 계속 충실했는가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우리가 이 땅에서 살면서 삶의 영적 싸움을 싸우고 인생을 잘 마무리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 주시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4:6-8
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디모데후서 4:7]

인생이 끝나 당신의 부고가 신문에 난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어떤 말이 실렸으면 좋겠습니까? “경주를 잘 끝내기” 위해 당신은 지금 무엇을 바꾸어야 할까요?

하나님 아버지, 끝까지 하나님을 위해 충실하게 살 수 있도록 힘을 더해 주소서.

Daily Article

05/23/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9–21; JOHN 8:1–27
Hymn: 360(old402)

IN THE END

I’m often given the privilege of leading spiritual retreats. Getting away for a few days to pray and reflect can be deeply enriching, and during the program I sometimes ask participants to do an exercise: “Imagine your life is over and your obituary is published in the paper. What would you like it to say?” Some attendees change their life’s priorities as a result, aiming to finish their lives well.

Second Timothy 4 contains the last known written words of the apostle Paul. Though probably only in his sixties, and though having faced death before, he senses his life is nearly over (2 TIMOTHY 4:6). There will be no more mission trips now or writing letters to his churches. He looks back over his life and says, “I have fought the good fight, I have finished the race, I have kept the faith” (V. 7). While he hasn’t been perfect (1 TIMOTHY 1:15–16), Paul assesses his life on how true he’s stayed to God and the gospel. Tradition suggests he was martyred soon after.

Contemplating our final days has a way of clarifying what matters now. Paul’s words can be a good model to follow. Fight the good fight. Finish the race. Keep the faith. Because in the end what will matter is that we’ve stayed true to God and His ways as He provides what we need to live, fight life’s spiritual battles, and finish well.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2 TIMOTHY 4:6–8
I have fought the good fight, I have finished the race, I have kept the faith.
[ 2 TIMOTHY 4:7 ]

Imagine your life is over and your obituary is published.
What would you like it to say? What changes might you make now to “finish the race” well?

Father God, strengthen me to live faithfully for You, right to the end.

오늘의 말씀

05/22/2022     주일

성경읽기: 역대상 16-18; 요한복음 7:28-53
찬송가: 64(통13)

깊이 묶어주는 그 무엇

이라크 출신 이민자인 아미나와 미국 태생인 조셉이 각각 반대 진영의 정치 시위에 참여했습니다. 우리는 인종과 정치로 나누어진 사람들은 서로에 대해 억제할 수 없는 적대감을 갖고 있다고 배웠고 그렇게 믿고 있습니다. 그러나 폭도 몇 명이 조셉에게 다가와 셔츠에 불을 지르려고 하자 아미나가 재빨리 달려와 그를 지켜주었습니다. 조셉은 기자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람들이 이보다 더 갈라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그때는 불을 지르려는 행동을 보고 누구나 ‘그래선 안된다’고 느낀 순간이었어요.” 정치보다 더 깊은 그 무엇이 아미나와 요셉을 하나로 묶어주었습니다.

우리는 종종 무시 못할 정도의 상당한 차이로 서로 진짜 의견 불일치를 보이기도 하지만, 우리를 함께 묶어주는 훨씬 더 깊은 현실이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님의 창조물이며 사랑하는 하나의 인간 가족으로 함께 묶여 있습니다. 하나님은 성별이나 사회 계층, 민족 정체성 또는 정치적 신념에 상관없이 우리 각자를 “자기 형상대로”(창세기 1:27) 창조하셨습니다. 누가 뭐래도, 하나님의 모습은 당신과 나 모두에 다 반영되어 있습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은 우리에게 지혜와 보살핌으로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을 “채우고” “다스릴” 공동의 목표를 주셨습니다(28절).

하나님 안에서 우리가 서로 어떻게 묶여 있는지 잊을 때마다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줍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와 진리 안에서 하나가 될 때마다, 선하고 번영하는 세상을 만들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열망에 동참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26-28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창세기 1:27]

누가 당신과 완전히 달라 보입니까?
그들과 공통점을 나누며 함께 시간을 보내 보면 어떨까요?

하나님, 지금의 세상 방식으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우리 모두 내면 깊이 무언가를 공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믿기 힘이 듭니다.
이 진리를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2/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6–18; JOHN 7:28–53
Hymn: 64(old13)

SOMETHING DEEP AND BINDING

Amina, an Iraqi immigrant, and Joseph, an American from birth, attended a political protest on opposite sides. We’ve been taught to believe that those who are separated by ethnicity and politics carry unbridled animosity toward each other. However, when a small mob accosted Joseph, trying to set his shirt on fire, Amina rushed to his defense. “I don’t think we could be any further apart as people,” Joseph told a reporter, “and yet, it was just kinda like this common ‘that’s not OK’ moment.” Something deeper than politics knit Amina and Joseph together.

Though we often have genuine disagreements with one another—substantial differences we often can’t ignore—there are far deeper realities that bind us together. We’re all created by God and bound together in one beloved human family. God has created each of us—regardless of gender, social class, ethnic identity or political persuasion—“in his own image” (GENESIS 1:27). Whatever else might be true, God is reflected in both you and me. Further, He’s given us a shared purpose to “fill” and “rule” God’s world with wisdom and care (V. 28).

Whenever we forget how we’re bound together in God, we do damage to ourselves and others. But whenever we come together in His grace and truth, we participate in His desire to make a good and flourishing world.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GENESIS 1:26–28
God created mankind in his own image.
[ GENESIS 1:27 ]

Who seems to be completely different from you?
What would it be like to spend time with them, sharing what you have in common?

God, the way the world is right now, it’s hard to believe that because of You every person shares something deep inside.
Help me see this truth.

오늘의 말씀

05/21/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3-15; 요한복음 7:1-27
찬송가: 196(통174)

과일이 나무를 판다

묘목장 주인이 복숭아나무를 팔려고 여러 가지 판매 방법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부대자루에 잎이 많은 묘목을 담아 예쁘게 세워 놓아야 하나? 아니면 복숭아나무가 자라는 것을 계절마다 찍어 다채로운 카탈로그를 만들어야 하나? 그러다가 결국 복숭아나무를 진짜 팔 수 있게 하는 것은 바로 나무에서 열리는 감미로운 향기와 짙은 오렌지색에 털이 보송보송한 껍질을 가진 복숭아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복숭아 나무를 판매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잘 익은 복숭아를 따서 잘라 과즙이 팔로 흘러내리는 채로 고객에게 한 조각을 건네는 것입니다. 과일을 맛봄으로써 고객이 나무를 사고 싶게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분을 따르는 자들에게 ‘사랑, 희락, 화평, 오래 참음,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갈라디아서 5:22-23)라는 영적 열매의 모습으로 자신을 드러내 보여주십니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이 그런 열매를 보여주면 다른 사람들도 그 열매를 원하게 되고, 그 결과 그토록 매력적인 그 열매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찾게 될 것입니다.

열매는 내적 관계, 곧 우리 삶에 미치는 성령의 영향력에 따라 드러나는 외적 결과입니다. 열매는 우리가 내세우는 하나님을 사람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매혹하는 겉모습과 같습니다. 푸른 나뭇잎을 배경으로 돋보이는 빛나는 복숭아처럼, 성령의 열매는 굶주린 이 세상에 “여기 음식이 있다! 여기 삶이 있다! 와서 피로와 절망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으라. 하나님을 만나러 오라!” 고 알려줍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22-26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갈라디아서 5:22-23]

무엇이 당신을 예수님께로 처음 이끌어주었습니까? 다른 사람들이 열매의 근원이신 하나님께 이끌리도록 당신의 삶에서 성령의 열매를 어떻게 나타내고 있습니까?

성령님, 우리 삶에 성령의 열매가 계속 자라게 하셔서 다른 사람들이 성령님을 보게 하시고, 그들의 삶에도 성령님을 바라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5/21/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15; JOHN 7:1–27
Hymn: 196(old174)

THE FRUIT SELLS THE TREE

A nursery owner set out to sell peach trees. She considered various approaches. Should she line up leafy saplings in burlap sacks in a beautiful display? Should she create a colorful catalog picturing peach trees in various seasons of growth? At last she realized what really sells a peach tree. It’s the peach it produces: sweet-smelling, deep orange, and fuzzy-skinned. The best way to sell a peach tree is to pluck a ripe peach, cut it open until the juice dribbles down your arm, and hand a slice to a customer. When they taste the fruit, they want the tree.

God reveals Himself in a wrapper of spiritual fruit in His followers: love, joy, peace, forbearance (patie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GALATIANS 5:22–23). When believers in Jesus exhibit such fruit, others will want that fruit as well, and, therefore, will seek the Source of the fruit that’s so attractive.

Fruit is the external result of an internal relationship—the influence of the Holy Spirit in our lives. Fruit is the dressing that beckons others to know the God we represent. Like the bright peaches standing out against the green leaves of a tree, the fruit of the Spirit announces to a starving world, “Here is food! Here is life! Come and find a way out of exhaustion and discouragement. Come and meet God!”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GALATIANS 5:22–26
The fruit of the Spirit is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 GALATIANS 5:22–23 ]

What first drew you to Jesus? How are you exhibiting the fruit of the Spirit in your life so that others are attracted to its Source, God?

Holy Spirit, I welcome You to continue to grow Your fruit in my life that others might see You and want You in their lives.

오늘의 말씀

05/20/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0-12; 요한복음 6:45-71
찬송가: 465(통523)

시몬의 집에서의 기분 전환

나는 시몬의 집을 방문했던 일을 잊을 수 없습니다. 케냐 냐후루루의 별이 빛나는 하늘 아래 우리는 저녁 식사를 위해 그의 소박한 집으로 향했습니다. 흙바닥과 등불을 보면서 시몬의 살림살이의 한계를 알 수 있었습니다. 그날 저녁 무엇을 먹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잊을 수 없는 것은 우리를 초대했던 시몬의 즐거운 모습이었습니다. 그의 은혜로운 환대는 예수님처럼 사심 없고 감동적이며 신선했습니다.

고린도전서 16:15-18에서 바울은 돌봄으로 평판이 좋았던 한 가족, 곧 스데바나의 집(15절)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그들은 “성도를 섬기는 일에 몸 바쳐 일했습니다”(15절, 현대인의 성경). 그들이 섬기는 일에는 눈에 보이는 것들도 있었겠지만(17절), 그 영향력에 대해 바울은 “그들이 나와 너희 마음을 시원하게 하였다”(18절)고 쓰고 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나눌 기회가 있을 때 그때그때 어울리는 음식이나 환경, 혹은 다른 문제들에 대해 제대로 주의를 기울입니다. 그러나 비록 “그 무엇”과 “그 어디서”가 중요하더라도,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때때로 잊어버립니다. 기억에 남는 식사도 아주 좋고 쾌적한 환경도 기쁨을 더해주지만, 충분한 영양을 주고 격려하는 데에는 음식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진정한 기분 전환의 원천은 하나님에게서 흘러나오며, 또한 마음의 문제입니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닿아 식사가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영양을 공급해 줍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6:15-18
그들이 나와 너희 마음을 시원하게 하였으니
[고린도전서 16:18]

어떤 경우에 다른 사람의 환대나 환영으로 기억에 남을 상쾌한 일을 겪어보았습니까?
사람들을 섬기는 방식을 어떻게 바꾸면 그 경우들을 영적으로 더 의미 있게 만들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가 섬겨야 할 사람들보다 저와 관련된 사람들을 더 환영했던 순간들을 용서해 주소서.
다른 사람들을 진정으로 새롭게 회복시켜 줄 수 있는 방법들로 저를 채워주소서.

Daily Article

05/20/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0–12; JOHN 6:45–71
Hymn: 465(old523)

REFRESHED AT SIMON’S HOUSE

My trip to Simon’s house was unforgettable. Under the cover of a starlit sky in Nyahururu, Kenya, we made our way to his modest home for dinner. The dirt floor and the
lantern light reflected Simon’s limited means. What was on the menu, I don’t recall. What I can’t forget was Simon’s joy that we were his guests. His gracious hospitality was Jesus like—selfless, life-touching, and refreshing.

In 1 Corinthians 16:15–18, Paul mentioned a family—the household of Stephanas (V. 15)—who had a reputation for their caregiving. They’d “devoted themselves to the service of the Lord’s people” (V. 15). While their service likely included tangible things (V. 17), the impact was such that Paul wrote, “they refreshed my spirit and yours also” (V. 18).

When we have opportunities to share with others, we rightly give attention to matters of food, setting, and other things that are fitting for such occasions. But we sometimes forget that although “the what” and “the where” matter, they’re not the most important things. Memorable meals are great and pleasant settings have their place, but food is limited in its capacity to fully nourish and encourage. True refreshment flows from God and is a matter of the heart; it reaches the hearts of others, and it continues to nourish long after the meal is over.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6:15–18
They refreshed my spirit and yours also.
[ 1 CORINTHIANS 16:18 ]

What occasions stand out where you were memorably refreshed by the hospitality or welcome of others?
How can you change the way you serve others to make such occasions more spiritually meaningful?

Father, forgive me for the times I’ve made welcoming others more about me than those I seek to serve.
Help me to extend myself in ways that truly refresh others.

오늘의 말씀

05/19/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7-9; 요한복음 6:22-44
찬송가: 384(통434)

하늘 양식

2020년 8월, 스위스 올텐 지역의 주민들은 초콜릿이 눈처럼 내리는 것을 보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그 지역 초콜릿 공장의 환기 시스템이 잘못 작동되어 초콜릿 조각들이 공기 중으로 퍼져 나갔던 것입니다. 그 결과, 먹을 수 있는 초콜릿 가루가 자동차와 거리를 뒤덮었고 마을 전체가 사탕가게 같은 냄새가 나게 되었습니다.

하늘에서 “마술 부리듯” 떨어지는 맛있는 음식을 생각하다가, 출애굽기에서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공급해 주신 일이 바로 떠올랐습니다. 애굽에서 극적으로 탈출한 후, 사람들은 사막에서 중대한 문제, 특히 식량과 물의 부족으로 인한 큰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백성들의 곤경에 마음이 움직이신 하나님은 “하늘에서 양식을 비 같이 내려 주겠다” (출애굽기 16:4)고 약속하셨습니다. 다음날 아침, 사막의 땅 위에 얇은 조각들이 한 층 덮여 있었습니다. 만나로 알려진 이것은 다음 40년 동안 매일 계속해서 공급되었습니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셨을 때, 사람들은 그가 기적으로 많은 무리를 먹이시는 것을 보고 하나님이 그를 보내셨다고 믿기 시작했습니다(요한복음 6:5-14). 그러나 예수님은 자신이 일시적인 양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51절)을 가져오기 위해 보냄 받은 “생명의 떡”(35절)이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예수님은 영적인 양식에 굶주린 사람들에게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 하는 삶을 주겠다고 하십니다. 우리 모두 예수님이 그 가장 깊은 갈망들을 채워주시려고 오셨다는 사실을 믿고 신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6:4-5, 13-18
그 때에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보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하늘에서 양식을 비 같이 내리리니
[출애굽기 16:4]

당신은 언제 예수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까?
영적으로 만족한 상태를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예수님, 이 땅에 오셔서 주님의 생명을 주심으로 우리가 영원히 하나님과의 관계를 누릴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9/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7–9; JOHN 6:22–44
Hymn: 384(old434)

FOOD FROM HEAVEN

In August 2020, residents of Olten, Switzerland, were startled to find that it was snowing chocolate! A malfunction in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local chocolate factory had caused chocolate particles to be diffused into the air. As a result, a dusting of edible chocolate flakes covered cars and streets and made the whole town smell like a candy store.

When I think of delicious food “magically” falling from the heavens, I can’t help but think of God’s provision for the people of Israel in Exodus. Following their dramatic escape from Egypt, the people faced significant challenges in the desert, especially a scarcity of food and water. And God, moved by the plight of the people, promised to “rain down bread from heaven” (EXODUS 16:4). The next morning, a layer of thin flakes appeared on the desert ground. This daily provision, known as manna, continued for the next forty years.

When Jesus came to earth, people began to believe He was sent from God when He miraculously provided bread for a large crowd (JOHN 6:5–14). But Jesus taught that He Himself was the “bread of life” (V. 35), sent to bring not just temporary nourishment but eternal life (V. 51).

For those of us hungry for spiritual nourishment, Jesus extends the offer of unending life with God. May we believe and trust that He came to satisfy those deepest longings.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EXODUS 16:4–5, 13–18
The Lord said to Moses, “I will rain down bread from heaven for you.”
[ EXODUS 16:4 ]

When did you come to realize your need for Jesus?
How have you experienced being spiritually satisfied?

Jesus, thank You for choosing to come to earth to offer Your life so that I could enjoy a relationship with God for all eternity.

오늘의 말씀

05/18/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4-6; 요한복음 6:1-21
찬송가: 354(통394)

예수님을 갈망함

“이 감자칩을 마지막으로 먹고 다시는 안 먹을 거야.” 하고서는 우리가 5 분 후에 그것을 더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마이클 모스는 그의 ‘소금 설탕 지방’이라는 책에서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그는 미국의 거대한 과자 제조업체들이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불량 식품을 먹고 싶어 안달나게 만드는지 잘 안다고 설명합니다. 사실, 한 유명한 회사는 연간 3천만 달러를 지출하면서, “갈망 컨설턴트”를 고용하여 소비자의 행복 시점을 결정하게 함으로써 사람들의 음식에 대한 갈망을 부추겼습니다.

그 회사와는 달리, 예수님은 우리 영혼을 충족시킬 진정한 양식인 영적 양식을 우리가 갈망하도록 돕고 계십니다. 주님은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요한복음 6:35)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을 통해 주님은 두 가지 중요한 점을 알려주셨습니다. 첫째, 주님이 말씀하신 떡은 물품이 아니라 인격체라는 것이며(32 절), 둘째, 죄의 용서를 위해 예수님을 믿을 때 예수님과의 올바른 관계가 시작되고 영혼의 모든 갈망이 채워진다는 것입니다. 이 떡, 곧 예수님은 만족과 생명으로 이끌어주는 영원한 영적 양식입니다.

하늘의 진정한 양식인 예수님에게 신뢰를 두면, 우리는 주님을 갈망하게 될 것이며 주님은 우리를 강하게 하고 우리의 삶을 바꾸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6:25-35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
[요한복음 6:35]

당신은 그 어떤 것들로도 우리 영혼의 가장 깊은 갈망을 채울 수 없는 줄 알면서도 왜 여전히 그런 것들을 갈망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예수님을 더욱 갈망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실제적인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생명의 떡이신 예수님, 주님을 더욱 갈망하며, 주님의 완벽한 공급 안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찾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18/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4–6; JOHN 6:1–21
Hymn: 354(old394)

CRAVE HIM

Why is it that when we say, “This is the last potato chip I’m going to eat,” five minutes later we’re looking for more? Michael Moss answers that question in his book Salt Sugar Fat. He describes how America’s largest snack producers know how to “help” people crave junk food. In fact, one popular company spent $30 million a year and hired “crave consultants” to determine the bliss point for consumers so it could exploit our food cravings.

Unlike that company, Jesus helps us to long for real food— spiritual food—that brings satisfaction to our souls. He said, “I am the bread of life. Whoever comes to me will never go hungry, and whoever believes in me will never be thirsty” (JOHN 6:35). By making this claim, He communicated two important things: First, the bread of which He spoke is a person, not a commodity (V. 32). Second, when people put their trust in Jesus for forgiveness of sin, they enter into a right relationship with Him and find fulfillment for every craving of their soul. This Bread is everlasting, spiritual food that leads to satisfaction and life.

When we place our trust in Jesus, the true Bread from heaven, we’ll crave Him, and He’ll strengthen and transform our live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JOHN 6:25–35
Jesus declared, “I am the bread of life. Whoever comes to me will never go hungry, and whoever believes in me will never be thirsty.”
[ JOHN 6:35 ]

Why do you think we crave things we know can never satisfy the deepest cravings of our souls?
What are some practical practices that will help you crave Jesus more?

Jesus, Bread of Life, may I crave You and find all I need in Your perfect provision.

오늘의 말씀

05/17/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3; 요한복음 5:25-47
찬송가: 357(통397)

비범한 용기

1478년, 이탈리아 피렌체의 지배자 로렌조 데 메디치가 자객의 공격에서 벗어나자, 피렌체 국민들은 그들의 지도자를 향한 공격에 보복하려고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상황이 더 악화되면서 나폴리의 잔혹한 왕 페란테 1세가 로렌조의 적이 되었는데, 용감한 로렌조의 행동으로 모든 것이 바뀌었습니다. 로렌조는 무장하지 않은 채 홀로 왕을 찾아갔던 것입니다. 그의 용기에 매력과 우아함이 더해져, 그것에 페란테 왕이 감탄하게 되면서 결국 전쟁은 끝이 났습니다.

다니엘 역시 왕이 마음의 변화를 경험하도록 용기를 보여주었습니다. 바벨론의 그 누구도 느부갓네살 왕이 꾼 근심 어린 꿈을 설명하거나 해석할 수 없었습니다. 왕은 너무 화가 나 다니엘과 친구들을 포함한 왕의 모든 지혜자들을 처형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다니엘은 자기를 죽이고 싶어 하는 왕을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다니엘 2:24).

느부갓네살 앞에 선 다니엘은 오직 하나님만이 왕의 꿈의 비밀스러운 것들을 밝히 보여주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28절). 다니엘 선지자가 꿈을 설명하고 해독하자 느부갓네살은 “모든 신들의 신이시요 모든 왕의 주재”(47 절)이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에서 나온 다니엘의 비범한 용기는 그날 자신과 그의 친구들, 그리고 다른 지혜자들의 죽음까지 면하게 해주었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중요한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용감함과 대담함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말을 인도하시고, 무엇을 말해야 할지 알 수 있도록 지혜를 주시며, 그것을 잘 말할 수 있는 능력을 주시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2:24-30
나를 왕의 앞으로 인도하라 그리하면 내가 그 해석을 왕께 보여 드리리라
[다니엘 2:24]

어떤 사람의 용기로 당신의 삶에 변화가 생겼던 적이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능력에 의지하며 하나님을 위해 용감하게 행동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이 땅에서 사시면서 주님의 용기를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가 아주 어려운 상황에 처할 때 주님의 지혜와 능력으로 채워 주소서.

Daily Article

05/17/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 JOHN 5:25–47
Hymn: 357(old397)

UNCOMMON COURAGE

In 1478, Lorenzo de Medici, the ruler of Florence, Italy, escaped an attack on his life. His countrymen sparked a war when they tried to retaliate against the attack on their leader. As the situation worsened, the cruel King Ferrante I of Naples became Lorenzo’s enemy, but a courageous act by Lorenzo changed everything. He visited the king unarmed and alone. This bravery, paired with his charm and brilliance, won Ferrante’s admiration and ended the war.

Daniel also helped a king experience a change of heart. No one in Babylon could describe or interpret King Nebuchadnezzar’s troubling dream. This made him so angry that he decided to execute all his advisors—including Daniel and his friends. But Daniel asked to visit the king who wanted him dead (DANIEL 2:24).

Standing before Nebuchadnezzar, Daniel gave God all the credit for revealing the mystery of the dream (V. 28). When the prophet described and deciphered it, Nebuchadnezzar honored the “God of gods and the Lord of kings” (V. 47). Daniel’s uncommon courage, which was born of his faith in God, helped him, his friends, and the other advisors avoid death that day.

In our lives, there are times when bravery and boldness are needed to communicate important messages. May God guide our words and give us the wisdom to know what to say and the ability to say it well.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DANIEL 2:24–30
Take me to the king, and I will interpret his dream for him.
[ DANIEL 2:24 ]

How has someone’s bravery made a difference in your life?
How can you rest in God’s power to act courageously for Him?

Dear Jesus, thank You for the courage You showed during Your life on earth.
Fill me with Your wisdom and power when I face tense situations.

오늘의 말씀

05/16/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4-25; 요한복음 5:1-24
찬송가: 350(통393)

치열한 싸움

1896년 탐험가 칼 아켈리가 에디오피아의 한 외딴 지역에서 80파운드 (약 36킬로그램)짜리 표범에게 쫓기고 있었습니다. 그는 표범이 덤벼들어 “이빨로 목을 물려고” 했던 것을 기억합니다. 그것이 실패하자 표범은 그 포악한 턱으로 그의 오른팔을 잡아챘습니다. 그 둘은 모래 위를 뒹굴며 오랜 시간 치열한 싸움을 벌였습니다. 아켈리는 힘이 빠졌고, “이제 싸움은 누가 먼저 포기하는가 하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아켈리는 마지막 남은 힘을 모아 맨손으로 그 큰 고양잇과 동물을 질식시켜 죽일 수 있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예수님을 믿는 우리 각자가 어떻게 필연적으로 우리 자신의 치열한 싸움과 마주할 수밖에 없는지, 그리고 어떻게 적에게 압도되어 항복하고 싶은 유혹을 받는지를 설명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굴복하는 대신 도리어 “마귀의 계략을 대적”하고 “굳건히 서야” 합니다(에베소서 6:11, 14). 바울은 우리가 나약하고 연악하다는 사실에 두려움으로 움츠러들거나 무너지지 말고, 우리 자신의 용기나 힘을 믿지 말고 하나님을 의지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믿음을 가지고 전진하라고 권면합니다. 그래서 그는 “주 안에서와 그 힘의 능력으로 강건하여지라”고 썼습니다(10절). 우리가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할 때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18절).

그렇습니다. 우리는 많은 싸움과 맞닥뜨릴 것이고, 우리의 힘이나 재간으로는 결코 그 싸움들을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마주치게 될 그 어떤 적이나 악보다 더 강하신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6:10-20
우리의 씨름은... 이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을 상대함이라
[에베소서 6:12]

당신은 (혹은 당신이 사랑하는 누구가) 지금 어떤 싸움을 하고 있습니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이 그분의 능력 안에 굳건히 서서 싸우라고 권하고 계십니까?

하나님, 싸움은 실제이고 악도 실제입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지만, 하나님과 하나님의 권능이 저와 함께 하심을 믿습니다.

Daily Article

05/16/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4–25; JOHN 5:1–24
Hymn: 350(old 393)

THE FIERCE STRUGGLE

In 1896, an explorer named Carl Akeley found himself in a remote section of Ethiopia, chased by an eighty-pound leopard. He remembered the leopard pouncing, trying “to sink her teeth into my throat.” She missed, snagging his right arm with her vicious jaws. The two rolled in the sand—a long, fierce struggle. Akeley weakened, and “it became a question of who would give up first.” Summoning his last bit of strength, Akeley was able to suffocate the big cat with his bare hands.

The apostle Paul explained how each of us who believe in Jesus will inevitably encounter our own fierce struggles, those places where we feel overwhelmed and are tempted to surrender. Instead, we must take our “stand against the devil’s schemes” and “stand firm” (EPHESIANS 6:11, 14). Rather than cower in fear or crumble as we recognize our weakness and vulnerability, Paul challenged us to step forward in faith, remembering that we don’t rely on our own courage and strength but on God. “Be strong in the Lord and in his mighty power,” he wrote (V. 10). In the challenges we face, He’s only a prayer away (V. 18).

Yes, we have many struggles, and we’ll never escape them by our own power or ingenuity. But God is more powerful than any enemy or evil we’ll ever fac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EPHESIANS 6:10–20
Our struggle is . . . against the powers of this dark world.
[ EPHESIANS 6:12 ]

What fight are you (or someone you love) facing right now?
How is God inviting you to stand firm in His strength and fight?

God, the fight is real. The evil is real. I don’t know what to do, but I’m trusting You and Your mighty power to be with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