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24/2022 금요일
십자가의 도
장은 본인이 겪었던 모든 상황을 통해 하나님께서 그를 강하게 십자가로 이끄시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바울 사도가 고린도전서에서 이야기했던 “십자가의 도가... 하나님의 능력이라” (1:18) 는 말씀을 직접 체험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미련한 것이요 약한 것으로 생각하는 그것이 장의 능력이 되었습니다. 그리스도를 영접하기 전에는 우리들 중에도 어떤 사람은 비슷한 생각을 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성령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능력과 지혜가 우리의 삶 속에 임재하고 우리를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것을 알게 된 것입니다. 이제 장은 목사가 되어서 십자가의 진리를 모든 사람이 들을 수 있게 전파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아무리 굳은 마음이라도 변화시키실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누가 오늘 그분의 강력한 만지심을 필요로 합니까?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18-25십자가의 도가... 하나님의 능력이라
[고린도전서 1:18]
그리스도를 당신의 구주로 영접하기 전에 십자가의 도를
어떻게 바라보았습니까? 누가 당신의 이야기를 듣고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예수님, 십자가를 통해 저를 주님께 인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이 없었다면 저는 길을 잃었을 것입니다!
Daily Article
06/24/2022 FRIDAY
THE MESSAGE OF THE CROSS
Through all he endured, Zhang sees that God was powerfully leading him to the cross, where he experienced firsthand what the apostle Paul states in 1 Corinthians, “The message of the cross is . . . the power of God” (1:18) . What many considered foolishness, a weakness, became Zhang’s strength. For some of us, this too was our thinking before we came to Christ. But through the Spirit, we felt the power and wisdom of God breaking into our lives and leading us to Christ. Today Zhang serves as a pastor spreading the truth of the cross to all who will hear.
Jesus has the power to change even the hardest of hearts. Who needs His powerful touch today?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18–25The message of the cross is . . . the power of God.
[ 1 CORINTHIANS 1:18 ]
How did you view the message of the cross before you
received Christ as your Savior? Who might benefit
from hearing your story?
Jesus, thank You for leading me to You through the cross. I would be lost without You!
오늘의 말씀
06/23/2022 목요일
과감한 조치
그러던 어느 날 가나에서 온 친구가 우리 집을 방문했습니다. 그런데 그 활을 보더니 친구의 표정이 이상해졌습니다. 활에 달려있는 조그만 물건을 가리키며 “저건 주물이야, 부적이라고. 나도 물론 그것이 아무런 힘이 없다는 것을 알지만, 나라면 우리 집에 이런 물건은 들여놓지 않았을 거야”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곧바로 그 부적을 활에서 잘라내어 없애버렸습니다. 우리는 하나님 외의 무엇인가를 경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어떤 것이라도 집에 들여놓기를 원치 않았습니다.
예루살렘의 왕이었던 요시야는 하나님이 그분의 백성에게 어떤 것을 기대하시는지 알지 못하고 자랐습니다. 그러다 대제사장이 오랫동안 무심하게 버려져 있던 성전 안에서 율법책을 발견했을 때 (열왕기하 22:8) 요시야 왕은 그 율법책에 대해 듣기를 원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상에 대해서 어떻게 말씀하셨는지를 알게 된 그는 그 자리에서 대대적인 개혁을 명령하여 유다가 하나님의 율법을 따르도록 했습니다. 이 변화는 활에서 부적을 떼어내는 것과는 비교도 안 되는 훨씬 과감한 변혁이었습니다 (열왕기하 23:3-7 참조) .
오늘날 신자들은 요시야 왕보다 훨씬 더 많은 것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를 교훈하는 신구약 성경이 있습니다. 서로를 돌보는 믿음의 동료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성령 충만을 힘입어 자칫 지나칠 수 있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밝히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23:3-7왕이... 여호와 앞에서 언약을 세우되 여호와께 순종하고
그의 계명과 법도와 율례를 지켜 [열왕기하 23:3 ]
어느 믿음의 사람이 당신의 달라져야 할 부분에 대해 슬기롭게
말해준 적이 있습니까? 당신의 삶 가운데 어떤 것이 하나님께 거슬릴까요?
하나님 아버지, 성령의 역사를 통해 하나님이 싫어하는 것은 다 제거할 수 있도록 인도하소서.
Daily Article
06/23/2022 THURSDAY
DRASTIC MEASURES
Then one day a Ghanaian friend visited us. When he saw the bow, he got a strange look on his face. Pointing to a small object tied to it he said, “That is a fetish—a magic charm. I know it has no power, but I would not keep it in my house.” Quickly we cut the charm from the bow and discarded it. We didn’t want anything in our home intended for the worship of something other than God.
Josiah, king in Jerusalem, grew up with little knowledge of God’s expectations for His people. When the high priest rediscovered the Book of the Law in the long-neglected temple (2 KINGS 22:8) , Josiah wanted to hear it. As soon as he learned what God had said about idolatry, he ordered sweeping changes to bring Judah into compliance with God’s law—changes far more drastic than merely cutting a charm from a bow (SEE 2 KINGS 23:3–7) .
Believers today have more than King Josiah did—much, much more. We have the entire Bible to instruct us. We have each other. And we have the vital filling of the Holy Spirit, who brings things to light, large and small, that we might otherwise overlook.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KINGS 23:3–7The king . . . renewed the covenant in
the presence of the Lord—to follow the Lord
and keep his commands. [ 2 KINGS 23:3 ]
Can you describe a time when a believer wisely pointed out
a change you needed to make? What things in your life
might be offensive to God?
Heavenly Father,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help me steer clear of anything that’s offensive to You.
오늘의 말씀
06/22/2022 수요일
풍요가 필요를 채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식물이 남아도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해도 돈이 남아도는 것은 문제로 여기지 않습니다. 학교 식당 프로젝트의 원리는 바울이 고린도인들에게 보내는 서신에서 제안했던 원리와 같습니다. 마게도냐 교회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던 바울은 그래서 고린도 교회에게 그들의 “넉넉한 것”을 가지고 마게도냐 교회의 “부족한 것을 보충하기를” (고린도후서 8:14) 부탁했습니다. 바울의 목적은 한쪽은 너무 없어서 힘들어하는데 다른 한쪽은 너무 가진 것이 많은 그러한 상황이 없도록 교회들 간에 균형을 이루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의 신자들이 궁핍하게 되기까지 베풀라고 한 것이 아니라 마게도냐 교인들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넉넉하게 베풀기를 원했습니다. 이것은 훗날 고린도 교인들도 비슷한 도움이 필요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생각했던 것입니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볼 때 우리에게 그들과 나눌 것이 없는지 생각해 봅시다. 크든 작든 우리의 나눔은 결코 헛되지 않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8:13-15이제 너희의 넉넉한 것으로 그들의 부족한 것을 보충함은
[고린도후서 8:14]
하나님께서 다른 사람들을 통해서 당신의 필요를 어떻게 채워주셨습니까?
당신은 비슷한 도움을 어떻게 남에게 베풀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를 깨우쳐 주셔서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돌아보고, 하나님께서 저에게 주신 자원들을 가지고 베풀게 하소서. 제가 도움이 필요할 때에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다른 사람들을 통해 공급하실 것을 믿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22/2022 WEDNESDAY
ABUNDANCE MEETS NEED
While most people wouldn’t look at an abundance of money as a problem the way we do with wasted food, the principle behind the school project is the same as what Paul suggests in his letter to the Corinthians. He knew the churches in Macedonia were experiencing hardship, so he asked the church in Corinth to use their “plenty” to “supply what they need[ed]” (2 CORINTHIANS 8:14) . His objective was to bring equality among the churches so none had too much while others were suffering.
Paul didn’t want the Corinthian believers to be impoverished by their giving, but to empathize with and be generous to the Macedonians, recognizing that at some point in the future they too were likely to need similar help. When we see others in need, let’s evaluate whether we might have something to share. Our giving—however large or small—will never be a waste!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8:13–15Your plenty will supply what they need.
[ 2 CORINTHIANS 8:14 ]
How has God supplied your needs through another person
or group? How can you offer similar generosity?
Father, please awaken me to the needs of others so I might give of the resources You’ve given me. When I’m in need, help me to trust You to provide through those who also love You.
오늘의 말씀
06/21/2022 화요일
우리를 위해 싸우시는 하나님
어미 독수리가 새끼를 돌보는 것처럼 하나님은 그의 자녀들을 사랑으로 돌보시고 위로하십니다 (신명기 32:10-11; 이사야 66:13) . 또한 떼려야 뗄 수 없는 젖먹이 아이를 결코 잊지 못하는 어머니처럼 하나님께서도 그의 백성을 결코 잊지 않으시며 긍휼을 베푸십니다 (이사야 54:7-8) . 마지막으로, 어린 새를 날개 아래에 보호하는 어미 새처럼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을] 깃으로 덮으시며”, “그분의 신실하심이 [그들의] 방패와 성벽이 되실” (시편 91:4) 것입니다.
때로 우리는 혼자 남아 잊힌 것 같고 온갖 영적으로 해치는 것들에게 붙들려 있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긍휼로 돌보시고 위로하시고 싸워주신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1:1-10그가 너를 그의 깃으로 덮으시리니 네가 그의 날개 아래에 피하리로다 그의 진실함은 방패와 손 방패가 되시나니
[시편 91:4]
당신은 살면서 부모와 같은 하나님의 모습을 본 적이 있습니까?
어떤 방식으로 주님의 보살핌과 위로와 보호를
경험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어린 새들이 어미 날개 아래에서 보호받듯이 저도 주의 신실하신 방패 아래에서 안식을 찾기 원합니다.
Daily Article
06/21/2022 TUESDAY
GOD FIGHTS FOR US
God tenderly cared for and comforted His people as a mother eagle cares for her young (DEUTERONOMY 32:10–11; ISAIAH 66:13) . Also, like a mother who could never forget a nursing child with whom she had built an inseparable bond, God would never forget His people nor forever withhold compassion from them (ISAIAH 54:7–8) . Finally, like a mother bird offering protective cover under her wings for baby birds, God would “cover [His people] with his feathers” and “his faithfulness [would] be [their] shield and rampart” (PSALM 91:4) .
Sometimes we feel alone, forgotten, and trapped in the grip of all kinds of spiritual predators. May God help us remember that He compassionately cares, comforts, and fights for u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SALM 91:1–10[God] will cover you with his feathers, and under his wings you will find refuge; his faithfulness will be your shield and rampart.
[ PSALM 91:4 ]
How have you seen the image of God as a parent illustrated
in your life? In what ways have you experienced His care,
comfort, and protection?
Heavenly Father, as baby birds find protection under their mother’s wings, may I find refuge under the shield of Your faithfulness.
오늘의 말씀
06/20/2022 월요일
신뢰할 수 있는 사랑
몇 년 전 나는 가깝게 지내던 사람과의 관계를 끊기로 어려운 결정을 했습니다. 깊은 상처가 되는 행동을 해결하려다가 무시와 거부를 당한 후에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그녀가 동네를 방문했다는 소식을 듣고 내 머릿속은 과거에 대한 생각으로 너무나 복잡했습니다.
마음을 진정시키려고 애를 쓰다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를 들었습니다. 그것은 배신의 아픔뿐 아니라 상처를 준 사람의 변화와 치유를 깊이 원하는 마음을 표현한 노래였습니다. 내 마음속 깊은 갈망을 노래하고 있는 그 노래에 넋을 잃고 젖어들며 내 눈엔 눈물이 차올랐습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서 12장 9절에 “사랑에는 거짓이 없나니”라고 썼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사랑이라 부르는 것이 다 진짜는 아니라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그러나 우리 마음속 가장 깊은 바람은 진정한 사랑, 곧 이기적이거나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불쌍히 여기고 희생하는 사랑을 아는 것입니다. 두려움에서 나오는 통제의 욕구가 아니라 서로의 행복을 위해 즐거운 마음으로 헌신하는 사랑 말입니다 (10-13절) .
그리고 그것이 좋은 소식, 바로 복음입니다.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마침내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 사랑, 곧 우리에게 결코 해를 입히지 않는 사랑을 알고 나눌 수 있게 됩니다 (13:10) . 주님의 사랑 안에서 사는 것이 자유의 삶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21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아니하나니
[로마서 13:10]
진실한 사랑과 이기적인 사랑의 차이를 경험하거나 본 적이 있습니까?
믿음의 공동체는 다른 사람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진정한 사랑과 거짓된 사랑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주변 사람들과 나누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20/2022 MONDAY
TRUSTWORTHY LOVE
Years ago, I’d made the painful decision to cut ties with someone close to me, after attempts to address deeply hurtful behavior were merely met with dismissal and denial. Today, after hearing she was in town visiting, my thoughts had spiraled into hashing and rehashing the past.
As I struggled to calm my thoughts, I heard a song playing on the radio. The song expressed not just the anguish of betrayal, but also a profound longing for change and healing in the person who’d caused harm. Tears filled my eyes as I soaked in the haunting ballad giving voice to my own deepest longings.
“Love must be sincere,” the apostle Paul wrote in Romans 12:9, a reminder that not all that passes for love is genuine. Yet our heart’s deepest longing is to know real love—love that isn’t self-serving or manipulative, but compassionate and self-giving. Love that’s not a fear-driven need for control but a joyful commitment to each other’s well-being (VV. 10–13) .
And that’s the good news, the gospel. Because of Jesus, we can finally know and share a love we can trust—a love that will never cause us harm (13:10) . To live in His love is to be free.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ROMANS 12:9–21Love does no harm.
[ ROMANS 13:10 ]
How have you experienced or seen a difference between
sincere and self-serving love? How can a community of faith
help us learn to love others wholeheartedly?
Loving God, help me to learn the difference between real and counterfeit love and to share Christ’s love with those around me.
오늘의 말씀
06/19/2022 주일
이젠 고아가 아니야
성경은 하나님이 잊히거나 버림받은 모든 사람을 찾으신다고 말합니다. 어떤 믿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이 궁핍하고 연약하게 느끼겠지만 하나님은 그들과 함께 하신다고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은 “고아의 아버지”이십니다 (시편 68:5) . 방임되거나 불행한 일들로 인해 혼자가 되어도 하나님은 여전히 계시고, 다가와 우리 곁에서 소망을 주십니다. 참으로 “하나님이 고독한 자들은 가족과 함께 살게” 하십니다 (6절) . 우리는 예수님 안에서 다른 믿는 사람들과 영적인 가족이 됩니다.
가족 사이에 어떤 어려운 일이 있든지, 소외되고 버림받고 관계에 문제가 있든지, 우리는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하나님이 계시면 우리는 고아가 아닙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8:1-10하나님은 고아의 아버지시며 [시편 68:5]
당신을 사랑하시고 결코 떠나지 않으시는 하나님 아버지가 계신다는 것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입니까? 하나님은 당신의 가장 깊은 필요를
어떻게 채우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에게는 선하고 참되며 저를 떠나지 않으실 아버지가 필요합니다. 하나님께서 저에게 이런 아버지가 되어주심을 믿습니다.
Daily Article
06/19/2022 SUNDAY
FATHERLESS NO MORE
fostered more than fifty children, once caring for nine at the same time. “Every time I turned around there was a kid who needed a place to stay,” Bryant explained. “If you have the space in your home and heart, you just do it. You don’t really think about it.” The foster children who’ve grown and established their own lives still have keys to Bryant’s apartment and often return on Sundays for lunch with “Pops.” Bryant has shown the love of a father to many.
The Scriptures tell us that God pursues all who are forgotten or cast aside. Although some believers will find themselves destitute and vulnerable in this life, He promises to be with them. God is “a father to the fatherless” (PSALM 68:5) . If, through neglect or tragedy, we’re alone, God is still there—reaching out to us, drawing us near, and giving us hope. Indeed, “God sets the lonely in families” (V. 6) . In Jesus, other believers comprise our spiritual family.
Whatever our challenging family stories, our isolation, our abandonment, or our relational dysfunction may be, we can know that we’re loved. With God, we’re fatherless no mor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PSALM 68:1–10[ God is ] a father to the fatherless.
[ PSALM 68:5 ]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have a heavenly Father
who loves you and will never leave you? How does He
meet your deepest needs?
Father God, I need a good father, a true father, one who will not leave me. I’m trusting You to be this Father for me.
오늘의 말씀
06/18/2022 토요일
선생님은 어떠신가요?
약 2천 년 전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예수님은 매 맞고 벌거벗은 몸으로 십자가에 달리는 수치를 당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를 박해하는 사람들을 꾸짖으셨을까요? 아닙니다. “이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하시더라” (누가복음 23:34) . 억울한 유죄 판결로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은 자신을 대적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셨습니다. 그리고 십자가에서 수치를 당하던 다른 죄수에게 그의 믿음으로 인해 예수님과 함께 곧 “낙원에” 있으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43절) . 고난과 수치를 당하는 가운데서도 예수님은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소망과 생명의 말씀을 나누셨습니다.
찰라는 듣고 있던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전하고 나서 의사가 그녀에게 물었던 질문을 다시 그에게 하였습니다. 눈물이 가득한 의사의 눈을 바라보며 이렇게 되물은 것입니다. “그런데 선생님은 좀 어떠신가요?” 그리스도의 은혜와 능력으로 그녀는 병실에 있던 의사와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보이며 생명의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오늘이나 앞으로 우리가 만나게 될 어떠한 괴로운 상황에서도 생명의 말씀을 사랑으로 말할 수 있는 용기를 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합시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32-43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누가복음 23:34]
요즘 어떤 어렵고 힘에 부치는 상황을 겪고 있습니까? 이 어려운 시기에
어떻게 예수님을 의지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은혜와 겸손의 본이 되어주신 주님을 찬양합니다. 저의 말 속에 은혜와 겸손이 나타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18/2022 SATURDAY
HOW ARE YOU?
Some two thousand years ago, Jesus’ battered, naked body hung in humiliation on a cross before a crowd of onlookers. Would He lash out at His tormentors? No. “Jesus said,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 (LUKE 23:34) . Though falsely convicted and crucified, He prayed for His enemies. Later, He told another humiliated man, a criminal, that—because of the man’s faith—he would soon be with Him “in paradise” (V. 43) . In His pain and shame, Jesus chose to share words of hope and life out of love for others.
As Charla concluded sharing Christ to her listeners, she posed the question back to the doctor. She tenderly looked into his tear-filled eyes and asked, “And how are you?” By Christ’s grace and power, she’d shared words of life—showing love and concern for him and others in the room. In whatever trying situation we face today or in the days ahead, let’s trust God to provide courage to lovingly speak words of life. - TOM FELTEN
Today's Reading
LUKE 23:32–43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 LUKE 23:34 ]
What difficult and humbling circumstances are you facing these
days? How can you rest on Jesus during this challenging season?
Jesus, I praise You for Your example of grace and humility. Please help me reflect these qualities in my words.
오늘의 말씀
06/17/2022 금요일
하나님 안에 심겨지다
우리 집 뒤뜰의 라일락에게도 시련이 왔습니다. 너무나 건강하고 아름다웠던 라일락을 이제 잔디 관리인이 도끼로 열심히 “가지치기”해 그루터기만 남게 되었습니다. 나는 눈물이 났습니다. 그 후 3년이란 오랜 시간 동안 여러 가지 시련들, 즉 메마른 가지만 남긴 채, 흰가루병도 한 차례 치르고, 이것들을 다 파내 버릴까 하는 부질없는 나의 생각들을 견뎌온 라일락이 되살아났습니다. 그것에겐 시간이 필요했던 것이고, 나에게는 보이지 않아도 기다리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성경은 역경이 와도 믿음으로 기다렸던 많은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노아는 내리지 않는 비를 기다렸습니다. 갈렙은 약속의 땅에서 살기 위해 40년을 기다렸고, 리브가는 아이를 갖기 위해 20년을 기다렸고, 야곱은 라헬과 결혼하기 위해 7년을 기다렸으며, 시므온은 아기 예수를 오래도록 기다렸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인내는 보상을 받았습니다.
그와 반대로 인간을 의지하는 사람들은 “사막의 떨기나무 같을 것” (예레미야 17:6) 입니다. 시인 티즈데일은 너무나 우울하게 시를 마무리하면서 “나는 겨울 길을 간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예레미야는 “주님을 의지하는 사람은 복을 받을 것”이라며 기뻐했습니다. “그들은 물가에 심은 나무와 같을 것입니다” (7-8절) .
믿는 자들은 하나님 안에 심겨져 있습니다. 그분은 삶의 기쁨과 역경 속에서 우리와 동행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7:5-8그는 물가에 심은 나무와 같아서
[예레미야 17:8, 새번역]
당신의 믿음을 불러일으키는 하나님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습니까?
어떻게 주님의 흔들리지 않는 땅에 더 깊은 신뢰를 심겠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삶이 메마르거나 거센 바람에 흔들릴 때에도 주님의 변함없는 사랑 속에 저를 더욱 깊이 심어 주소서.
Daily Article
06/17/2022 FRIDAY
PLANTED IN GOD
sorrowful.
Our backyard lilacs also encountered a challenge. After having their most lush and beautiful season, they faced the axe of a hardworking lawn man who “trimmed” every bush, chopping them to stubs. I cried. Then, three years later—after barren branches, a bout of powdery mildew, and my faithless plan to dig them up— our long-suffering lilacs rebounded. They just needed time, and I simply needed to wait for what I couldn’t see.
The Bible tells of many people who waited by faith despite adversity. Noah waited for delayed rain. Caleb waited forty years to live in the promised land. Rebekah waited twenty years to conceive a child. Jacob waited seven years to marry Rachel. Simeon waited and waited to see the baby Jesus. Their patience was rewarded.
In contrast, those who look to humans “will be like a bush in the wastelands” (JEREMIAH 17:6) . Poet Teasdale ended her verse in such gloom. “I go a wintry way,” she concluded. But “blessed is the one who trusts in the Lord,” rejoiced Jeremiah. “They will be like a tree planted by the water” (VV. 7–8) .
The trusting stay planted in God—the One who walks with us through the joys and adversities of life.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J E R E M I A H 17:5–8They will be like a tree planted by the water.
[ JEREMIAH 17:8 ]
What do you know about God that stirs your trust in Him?
How will you plant your trust deeper in His steadying soil
Heavenly Father, when my life feels barren or buffeted by stiff winds, please plant me deeper in Your steadying love.
오늘의 말씀
06/16/2022 목요일
예수 안에서 얻은 새 DNA
크리스의 이야기는 예수님 안에서 구원받은 사람의 삶에 일어나는 일과 매우 비슷합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믿고 영적으로 변화될 때 새로운 피조물이 됩니다 (고린도후서 5:17) . 바울은 에베소 교회에 보내는 편지에서 그러한 내적인 변화를 드러내고, 예전의 생활 방식을 따르는 “옛 사람을 벗어 버리고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에베소서 4:22,24) 고 권면했습니다. 그리스도를 위해 구별되라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변화시키시는 능력이 우리 안에 살아있음을 보여주려고 DNA 샘플 채취나 혈액 검사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한 내면세계는 우리가 세상 속에 살면서 나타나야 하며, 얼마나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는지를 보여야 하는 것입니다 (32절) .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7-24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에베소서 4:24]
예수님은 당신을 어떻게 내적으로 변화시켰습니까?
그 내면의 세계는 주변 사람들을 대할 때 어떻게 드러납니까?
예수님, 저를 새롭게 하시고 주님 안에서 새 생명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6/2022 THURSDAY
NEW DNA IN JESUS
Chris’ experience bears a striking resemblance to what happens in the life of a person who receives salvation in Jesus. At the point of our spiritual transformation—when we trust in Jesus—we become a new creation (2 CORINTHIANS 5:17) . Paul’s letter to the church in Ephesus encouraged them to reveal that inward transformation, to “put off [their] old self” with its way of living and to “put on the new self, created to be like God in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EPHESIANS 4:22, 24) . To be set apart for Christ.
We don’t need DNA swabs or blood tests to show that the transforming power of Jesus is alive within us. That inward reality should be evident in the way we engage with the world around us, revealing how we’re “kind and compassionate to one another, forgiving each other, just as in Christ God forgave [us]” (V. 32) .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E P H E S I A N S 4:17–24Put on the new self, created to be like God in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 EPHESIANS 4:24 ]
How has Jesus changed you inwardly? How does that inward
reality show in the way you engage with those around you?
Jesus, thank You for making me new and giving me a new life in You.
오늘의 말씀
06/15/2022 수요일
사람에게 투자하기
예수님께서는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 한 비유를 말씀하셨는데, 그것은 해고당하면서 주인에게 빚진 사람들의 빚을 탕감해 준 교활한 청지기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그 청지기는 자신이 지금 호의를 베풀면 나중에 그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예수님은 청지기의 비윤리적인 일 처리를 칭찬하신 게 아니라 그의 기발한 생각에서 우리가 배울 점이 있다는 것을 아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슬기롭게 자신을 위해 세상 재물로 친구를 사귀면 그 재물이 없어질 때에 그들이 우리를 영원한 집으로 맞아들일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누가복음 16:9) . “푸딩맨”이 25센트 짜리 디저트를 평생 항공권이 되게 한 것처럼 우리도 “참된 재물”을 얻기 위해 “세상의 재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절) .
이 재물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은“구제하여 낡아지지 아니하는 배낭을 만들라 곧 하늘에 둔 바 다함이 없는 보물이니 거기는 도둑도 가까이 하는 일이 없고 좀도 먹는 일이 없느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12:33) . 우리가 투자로 구원을 얻는 것은 아니지만 “너희 보물이 있는 곳에는 너희 마음도 있다” (34 절) 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6:1-12불의의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 [누가복음 16:9]
근래에 물질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습니까?
당신의 기부가 투자가 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랑의 하나님, 예수님과 하나님을 위해 가난한 이들에게 투자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5/2022 WEDNESDAY
INVESTING IN OTHERS
For $3,000, he received gold status and a lifetime supply of air miles for himself and his family. He also donated the pudding to charity, which netted him an $800 tax write-off. Genius!
Jesus told a controversial parable about a cunning manager who, as he was being fired, reduced what debtors owed his master. The man knew he could rely on their help later for the favor he was doing them now. Jesus wasn’t praising the manager’s unethical business practice, but He knew we could learn from his ingenuity. Jesus said we should shrewdly “use worldly wealth to gain friends for yourselves, so that when it is gone, you will be welcomed into eternal dwellings” (LUKE 16:9) . As “the pudding guy” turned twenty-five cent desserts into flights, so we may use our “worldly wealth” to gain “true riches” (V. 11) .
What are these riches? Jesus said, “Give to the poor” and you will “provide purses for yourselves that will not wear out, a trea- sure in heaven that will never fail, where no thief comes near and no moth destroys” (12:33) . Our nvestment doesn’t earn our salvation, but it does affirm it, “for where your treasure is, there your heart will be also” (V. 34) .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LUKE 16:1–12Use worldly wealth to gain friends for yourselves. [ LUKE 16:9 ]
How have you recently helped meet someone’s physical needs?
Why is your charity an investment?
Loving God, help me to invest in the poor, for Jesus’ sake and You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