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13/2022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87-88; 로마서 13
찬송가: 218(통369)

몬스트로라는 이름의 금붕어

동네 반려동물 가게의 수조 바닥에 있던 한 가엾은 물고기가 레이시 스콧의 눈에 들어왔습니다. 물고기의 비늘은 검게 변해 있었고 몸에는 상처들이 있었습니다. 레이시는 그 열 살 된 물고기를 구해 동화 ‘피노키오’ 속의 고래의 이름을 따 “몬스트로”라고 부르고, “병원” 수조 안에 넣고는 매일 물을 갈아주었습니다. 몬스트로는 천천히 조금씩 나아져 헤엄치기 시작했고 몸도 커지고, 검은 비늘도 황금색으로 변했습니다. 레이시가 열심히 돌본 결과 몬스트로가 새롭게 된 것입니다!

누가복음 10장에서 예수님은 매맞고, 강도 당해 죽게 내버려진 여행자의 비유를 말씀하십니다. 제사장과 레위인 모두 그 사람의 고통을 못 본 체하고 지나갔지만, 당시 천대받던 사마리아인 중 한 사람이 자기 돈까지 들여 그의 필요를 돌보았습니다(누가복음 10:33-35). 예수님은 이야기 속의 사마리아 사람을 진정한 “이웃”이라고 하시며 듣고 있던 자들도 그와 같이 하라고 권면하셨습니다.

레이시가 죽어가던 금붕어에게 한 것처럼 우리도 주위의 어려운 사람들에게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노숙자나 실직자, 장애인, 외로운 “이웃들” 이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그들의 슬픔을 외면하지 말고 관심을 가지고 내 이웃처럼 보살핍시다. 따뜻한 말 한마디, 한끼 식사, 손에 슬쩍 쥐여주는 얼마의 돈이면 됩니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새롭게 만들 수 있는 그분의 사랑을 사람들에게 베풀기 위해 우리를 어떻게 사용하실까요?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0:27-37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누가복음 10:27]

어떻게 이웃을 돌보듯이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까요?
주위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새롭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하나님의 보살핌이 절실히 필요한 이들의 이웃이 되어 그들이 변화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8/13/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7–88; ROMANS 13
Hymn: 218(old 369)

MONSTRO THE GOLDFISH

Lacey Scott was at her local pet store when a sad fish at the bottom of the tank caught her eye. His scales had turned black and lesions had formed on his body. Lacey rescued the ten-year-old fish, named him “Monstro” after the whale in the fairytale Pinocchio, and placed him in a “hospital” tank, changing his water daily. Slowly, Monstro improved, began to swim, and grew in size. His black scales transformed to gold. Through Lacey’s committed care, Monstro was made new!

In Luke 10, Jesus tells the story of a traveler who was beaten, robbed, and left for dead. Both a priest and a Levite passed by, ignoring the man’s suffering. But a Samaritan—a member of a despised people group—took care of him, even paying for his needs (LUKE 10:33–35). Pronouncing the Samaritan as the true “neighbor” in the story, Jesus encouraged His listeners to do the same.

What Lacey did for a dying goldfish, we can do for people in need around us. Homeless, unemployed, disabled, and lonely “neighbors” lie in our path. Let us allow their sadness to catch our
eyes and draw us to respond with neighborly care. A kind greeting. A shared meal. A few dollars slipped from palm to palm. How might God use us to offer His love to others, a love which can make all things new?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LUKE 10:27–37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LUKE 10:27 ]

How can you reach out to others in a neighborly way?
What can you do for people in need around you?

Dear God, thank You for making me new!
May I be a neighbor to those who desperately need Your care in order to be transformed by You.

오늘의 말씀

08/12/2022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84-86; 로마서 12
찬송가: 543(통342)

재난 때문에

1717년 엄청난 파괴력을 지닌 폭풍우가 며칠 동안 맹렬히 몰아치면서 북유럽 전역에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네덜란드와 독일, 덴마크에서는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때 한 지방 정부에서 내놓은, 당시에는 관례라 할 수 있는 한 재미있는 대처방안이 기록되어 남아 있습니다. 네덜란드 흐로닝언 시 당국은 재난 대책으로 “기도의 날”을 선포했는데, 한 역사가는 시민들이 교회에 모여 “설교를 듣고 찬송하며 몇 시간 동안 기도했다” 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엘 선지자는 유다 백성들이 당한 불가항력적인 재난 때문에 그들도 기도하게 되었다고 기록합니다. 엄청난 메뚜기 떼가 땅을 뒤덮어 “[그 땅의] 포도나무를 멸하며 [그 땅의] 무화과나무를 황폐시켰습니다”(요엘 1:7). 그와 백성들이 재난에 휘청거릴 때 요엘은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 ”(1:19)라며 기도했습니다. 직간접적으로 북유럽과 유다의 사람들은 죄와 타락한 세상에서 비롯된 재앙을 경험했습니다(창세기 3:17-19; 로마서 8:20- 22). 그러나 그들은 그 어려운 시기 때문에 하나님께 부르짖고 기도로 하나님을 찾게 되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요엘1:19). 그리고 하나님도 “너희는 이제라도... 마음을 다하여 내게로 돌아오라”(요엘 2:12)고 말씀하셨습니다.

고난이나 재난을 당할 때 하나님께로 돌이킬 수 있기를 바랍니다. 어쩌면 고뇌나 회개하는 마음으로 그렇게 할 지도 모릅니다. 그럴 때 “자비로우시며” “인애가 크신”(13절)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께로 이끌어 우리에게 필요한 위로와 도움을 베풀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엘 1:1-7, 19-20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
[요엘 1:19]

왜 사람들은 종종 재난을 당할 때 하나님께로 향할까요?
하나님은 어떻게 고난의 시기를 사용해 우리를 그분께로 이끄시나요?

하나님 아버지, 고난을 당할 때 하나님께 부르짖어 오직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소망을 찾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2/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4–86; ROMANS 12
Hymn: 543(old 342)

DRAWN BY DISASTER

In 1717, a devastating storm raged for days, leading to widespread flooding in northern Europe. Thousands of people lost their lives in the Netherlands, Germany, and Denmark. History reveals an interesting and customary—for that time—response by at least one local government. The provincial authorities of the Dutch city of Groningen called for a “prayer day” in response to the disaster. A historian reports that the citizens gathered in churches and “listened to sermons, sang psalms, and prayed for hours.”

The prophet Joel describes an overwhelming disaster faced by the people of Judah that also led to prayer. A massive swarm of locusts had covered the land and “laid waste [its] vines and ruined [its] fig trees” (JOEL 1:7). As he and his people reeled from the devastation, Joel prayed, “Lord, help us!” (1:19 NLT). Directly and indirectly, both the people of northern Europe and Judah experienced disasters that originated with the effects of sin and this fallen world (GENESIS 3:17–19; ROMANS 8:20–22). But they also found that these times led them to call out to God and seek Him in prayer (JOEL 1:19). And God said, “Even now . . . return to me with all your heart” (2:12).

When we face difficulties and disaster, may we turn to God— perhaps in anguish, perhaps in repentance. “Compassionate” and “abounding in love” (V. 13), He draws us to Himself—providing the comfort and help we need.
- TOM FELTEN

Today's Reading

JOEL 1:1–7, 19–20
Lord, help us!
[ JOEL 1:19 nlt ]

Why do people often turn to God when they face disaster?
How can He use difficult times to draw us to Himself?

Heavenly Father, in the face of difficulty, help me to call out to You and find the hope You alone can provide.

오늘의 말씀

08/11/2022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81-83; 로마서 11:19-36
찬송가: 302(통408)

헤아릴 수 없는 풍성함

수 조 달러의 수 조배 가치가 있는 소행성이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를 빠르게 돌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16 프시케’라는 이름의 그 소행성이 도저히 헤아릴 수 없는 가치의 금과 철, 니켈, 백금과 같은 광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합니다. 아직은 지구인들이 이 부유한 자원을 채굴하려고 하지 않지만 미국은 그 귀중한 암석을 연구하기 위해 탐사선을 보낼 계획입니다.

닿을 수 없는 곳에 헤아릴 수 없는 부가 있다는 사실은 애를 태우고 또한 좌절감이 들게 합니다. 언젠가는 분명히 그 보물을 얻기 위해 16 프시케를 향해 나서는 사람들이 나타날 것입니다.

반면에 손이 닿는 곳에 부가 있다면 어떻겠습니까? 모두가 그쪽으로 가지 않을까요? 바울 사도는 초대 로마 교회에 쓴 편지에서 얻을 수 있는 부, 곧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는 부에 대해 말하면서,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로마서 11:33)라고 썼습니다. 성경학자 제임스 데니는 이 풍성함을 “세상의 [모든 필요를] 충족시키고도 남는 하나님의 측량할 수 없이 풍성한 사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바로 그것이 아닐까요? 저 멀리 떨어져 있는 소행성에 있는 금덩이보다 더 말입니다. 성령님의 도우심으로 우리는 성경에 있는 하나님의 풍성한 지혜와 지식을 캐낼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끄셔서 그 풍성함을 파내고 하나님을 더 많이 알고 더 소중히 여길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1:33-36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
[로마서 11:33]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풍성해진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요?
어떻게 영원한 부를 더 캐낼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따르면서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 하나님의 판단과 길을 구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1/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1–83; ROMANS 11:19–36
Hymn: 302(old408)

UNTOLD RICHES

In an orbit between Mars and Jupiter zooms an asteroid worth trillions and trillions of dollars. Scientists say 16 Psyche consists of metals such as gold, iron, nickel, and platinum worth unfathomable amounts of money. For now, earthlings are not attempting to mine this rich resource, but the United States is planning to send a probe to study the valuable rock.

The promise of untold riches just out of reach can be both tantalizing and frustrating. Surely in time there will be people who will champion the cause of reaching 16 Psyche for its treasure.

But what about the prospect of riches that are within our reach? Wouldn’t everyone go for that? Writing to the first-century church at Rome, the apostle Paul spoke of attainable riches—those we find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He wrote, “Oh, the depth of the riches of the wisdom and knowledge of God!” (ROMANS 11:33). Bible scholar James Denney described these riches as “the unsearchable wealth of love that enables God to . . . far more than meet the [great needs] of the world.”

Isn’t that what we need—even more than gold nuggets from some far-off asteroid? We can mine the riches of God’s wisdom and knowledge found in the Scriptures as the Holy Spirit helps us. May God lead us to dig into those riches and to know and treasure Him more.
- DAVE BRANON

Today's Reading

ROMANS 11:33–36
Oh, the depth of the riches of the wisdom and knowledge of God!
[ ROMANS 11:33 ]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be rich in God’s love?
How can you dig more for riches that last?

Father God, help me to seek out Your wisdom and knowledge, Your judgments, and Your paths as I seek to follow You.

오늘의 말씀

08/10/2022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79-80; 로마서 11:1-18
찬송가: 400(통463)

담대히 서라

일리노이주의 어느 작은 마을에는 가정 폭력이 그 지역 범죄의 40 퍼센트를 차지합니다. 그곳의 한 목회자에 따르면, 신앙 공동체 안에서는 그것에 대해 말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그 문제가 숨겨진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곳 목회자들은 문제를 피하기보다는 믿음을 가지고 나서서 폭력의 징후를 인식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 문제를 다루는 비영리단체를 지원하면서 이 문제를 용기 있게 다루기로 했습니다. 한 목회자는 믿음과 실천의 힘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가시적인 지원과 함께 기도하며 긍휼을 베풀면 중요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바사의 왕후 에스더가 자기 민족의 학살을 정당화한 법에 대항하기를 주저하자, 에스더의 삼촌은 그녀가 계속 침묵한다면 그녀와 그녀의 가족도 살아남지 못하고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에스더 4:13-14). 담대하게 일어서야 할 때임을 안 모르드개는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14절)고 물었습니다. 우리가 불의에 대항해 목소리를 내라는 부름을 받았든지, 고통을 준 사람을 용서하라는 부름을 받았든지, 성경은 우리가 어려운 상황에 있을 때 하나님이 결코 우리를 떠나거나 버리지 않으신다고 확실히 말씀합니다(히브리서 13:5-6). 위협을 느끼는 순간에도 하나님을 바라보고 도움을 구하면 하나님은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 을 주셔서 끝까지 임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 주실 것입니다(디모데후서 1:7).

오늘의 성구

에스더 4:7-14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
[에스더 4:14]

하나님은 당신이 무엇을 하기를 원하십니까?
그 부름에 응답하도록 당신에게 이미 주신 것들은 무엇입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삶에 특별한 소명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두려움을 극복하고 믿음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10/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9–80; ROMANS 11:1–18
Hymn: 400(old463)

STANDING BOLDLY

In a small Illinois town, domestic violence comprises 40 percent of all crimes in the community. According to a local pastor, this issue is often hidden in our faith communities because it’s uncomfortable to talk about. So instead of shying away from the problem, local ministers chose to exercise faith and courageously address the issue by taking classes to recognize the signs of violence and supporting nonprofit organizations working on the issue. Acknowledging the power of faith and action, a local minister said, “Our prayers and compassion, coupled with some tangible support, can make an important difference.”

When Esther, Queen of Persia, was hesitant to speak out against a law that authorized the genocide of her people, she was warned by her uncle that if she remained silent, she and her family wouldn’t escape but would perish (ESTHER 4:13–14). Knowing it was time to be bold and take a stand, Mordecai queried, “Who knows but that you have come to your royal position for such a time as this?” (V. 14). Whether we are called to speak out against injustice or to forgive someone who’s caused us distress, the Bible assures us that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God will never leave or forsake us (HEBREWS 13:5–6). When we look to God for help in moments where we feel intimidated, he’ll give us “power, love, and self-discipline” to see our assignment through to the end (2 TIMOTHY 1:7).
- KIMYA LODER

Today's Reading

ESTHER 4:7–14
Who knows but that you have come to your royal position for such a time as this?
[ ESTHER 4:14 ]

What might God be asking you to do?
What tools have you already been given to answer the call?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placing a unique calling over my life.
Help me to overcome my fears and step out in faith.

오늘의 말씀

08/09/2022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77-78; 로마서 10
찬송가: 212(통347)

겸손함이 진리

16세기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는 하나님이 왜 겸손을 그토록 중요하게 생각하시는지 묵상하다가 문득 해답을 찾았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은 최상의 진리이시고 겸손도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게서는 어떤 선한 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그것은 강가에 심은 나무처럼 영혼이 가까이 머무는 은혜의 샘물에서 나오고 우리의 일에 생명을 불어넣는 해 같은 그분에게서 나옵니다.” “기도의 모든 기초는 겸손이어서, 우리가 기도를 통해 더 겸손해질수록 하나님께서 우리를 더 높여 주실 것”이기 때문에, 테레사는 우리가 기도함으로써 그 사실에 우리를 메어둘 수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테레사의 겸손에 대한 말은 야고보서 4장에 기록된 구절들을 떠올려줍니다. 거기에서 야고보는 하나님의 은혜에 의지해서 사는 삶과 정반대인, 교만과 이기적인 욕망 같은 자기 파괴적인 본성에 대해 경고했습니다(1-6절). 야고보는 탐욕과 절망, 지속적인 충돌이 있는 삶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우리의 교만을 회개하고 그 대신 하나님의 은혜로 채우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다시 말해 그것은 ”주께서 우리를 높이시리라”는 확신 아래 “주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것입니다(10절).

은혜의 샘물에 뿌리를 내릴 때 우리는 비로소 “위로부터 난 지혜”(3:17) 로 영양분을 공급받게 되며, 우리가 오직 주님 안에 있을 때 진리로 인해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4:1-11
주 앞에서 낮추라 그리하면 주께서 너희를 높이시리라
[야고보서 4:10]

교만이 어떻게 진실한 기도를 드리지 못하게 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지 못하게 할까요? 기도를 통해 겸손해짐으로 얻게 되는 자유를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과 함께 하는 삶을 선물로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제의 제 모습 그 이상 될 필요없이 하나님 안에서 제게 필요한 모든 것, 그리고 그 이상을 찾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9/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7–78; ROMANS 10
Hymn: 212(old 347)

HUMILITY IS THE TRUTH

Reflecting one day on why God values humility so highly, sixteenth- century believer Teresa of Avila suddenly realized the answer: “It is because God is the supreme Truth, and humility is the truth. . . . Nothing good in us springs from ourselves. Rather, it comes from the waters of grace, near which the soul remains, like a tree planted by a river, and from that Sun which gives life to our works.” Teresa concluded that it’s by prayer that we anchor ourselves in that reality, for “the whole foundation of prayer is humility. The more we humble ourselves in prayer, the more will God lift us up.”

Teresa’s words about humility echo the language of Scripture in James 4, where James warned of the self-destructive nature of pride and selfish ambition, the opposite of a life lived in dependence on God’s grace (VV. 1–6). The only solution to a life of greed, despair, and constant conflict, he emphasized, is to repent of our pride in exchange for God’s grace. Or, in other words, to “humble yourselves before the Lord,” with the assurance that “he will lift you up” (V. 10).

Only when we’re rooted in the waters of grace can we find ourselves nourished by the “wisdom that comes from heaven” (3:17). Only in Him can we find ourselves lifted up by the truth.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JAMES 4:1–11
Humble yourselves before the Lord, and he will lift you up.
[ JAMES 4:10 ]

How does pride hinder true prayer and experience of God’s grace?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freedom of humility through prayer?

Loving God, thank You for the gift of life with You. Thank You that I don’t need to be more than I am.
Thank You that in You I find all that I need and more.

오늘의 말씀

08/08/2022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74-76; 로마서 9:16-33
찬송가: 570(통453)

옳은 길을 구별하는 법

열 여섯 살의 브라질 스케이트보더 펠리페 구스타보가 “세계 최고의 전설적인 스케이트보더”가 될 거라고 믿었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구스타보의 아버지는 아들이 프로 스케이트보더의 꿈을 이루길 원했지만 돈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의 아버지는 차를 팔아 아들을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유명한 탬파 앰 스케이트 경기에 참가시켰습니다. 무명의 구스타보는 거기서 우승했고, 그 승리 이후 놀라운 경력을 쌓아가게 되었습니다.

구스타보의 아버지는 아들의 마음과 열정을 볼 줄 아는 능력이 있었습니다. 구스타보는 “내가 아버지가 되면, 아빠가 나를 위해 했던 것의 5퍼센트만이라도 닮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잠언에는 부모가 하나님이 자녀들에게 심어 놓으신 마음과 열정과 성품의 고유한 장점들을 스스로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하나님께서 만드신 그들의 모습에 맞는 길로 가도록 인도하고 용기를 북돋워줘야 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잠언 저자는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22:6)고 말합니다.

우리에게 큰 재력이나 깊은 지식은 없을지라도 하나님의 지혜(17-21절) 와 우리의 관심 어린 사랑으로 우리 자녀나 우리의 영향권 안에 있는 다른 아이들에게 커다란 선물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하나님을 신뢰하고 평생 추구해 나갈 길을 구별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3:5-6).

오늘의 성구

잠언 22:6, 17-21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잠언 22:6]

자녀의 마음과 열정에 관심을 두는 부모를 어디에서 만나보았습니까?
하나님은 당신에게 어떻게 그분의 관심을 보여주셨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좋은 부모들이 어떻게 자녀들에게 관심을 쏟는지 생각해 보면 하나님이 가장 참된 부모임을 알게 됩니다.
나를 지켜보시고 인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8/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4–76; ROMANS 9:16–33
Hymn: 570(old 453)

DISCERNING RIGHT PATHS

No one would have believed sixteen-year-old Brazilian skateboarder Felipe Gustavo would become “one of the most legendary skateboarders on the planet.” Gustavo’s dad believed his son needed to pursue his dream of skating professionally, but they didn’t have the money. So his dad sold their car and took his son to the renowned Tampa Am skating competition in Florida. No one had heard of Gustavo . . . until he won. And the victory catapulted him into an amazing career.

Gustavo’s dad had the capacity to see his son’s heart and passion. “When I become a father,” Gustavo said, “I just want to be like 5 percent of what my dad was for me.”

Proverbs describes the opportunity parents have to help their children discern the unique way God has crafted their heart, energy, and personality—and then to direct and encourage them toward the path that reflects who God made them to be. “Start children off on the way they should go,” the writer said, “and even when they are old they will not turn from it” (22:6).

We may not possess vast resources or profound knowledge. With God’s wisdom (VV. 17–21) and our attentive love, however, we can offer our kids and other children within our sphere of influence an immense gift. We can help them trust in God and discern the paths they can follow for a lifetime (3:5–6).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PROVERBS 22:6, 17–21
Start children off on the way they should go, and even when they are old they will not turn from it.
[ PROVERBS 22:6 ]

Where have you encountered a parent attentive to their child’s heart or energy?
How has God revealed His attentive ways to you?

Heavenly Father, as I consider how good parents pay attention to their children, I know You’re the truest parent.
Thank You for seeing and guiding me.

오늘의 말씀

08/07/2022     주일

성경읽기: 시편 72-73; 로마서 9:1-15
찬송가: 446(통500)

힘 내려놓기

한때 세계에서 가장 힘센 사나이로 알려졌던 미국 역도선수 폴 앤더슨은 아주 심한 중이염과 체온 39.5도의 고열에도 불구하고 1956년 호주 멜버른 올림픽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웠습니다. 다른 선수들보다 뒤처진 상황에서 그가 금메달을 획득할 유일한 길은 마지막 시도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는 것뿐이었습니다. 그의 1, 2차 시도는 아주 안 좋았습니다.

그래서 이 건장한 운동선수는 우리 같이 아주 약한 사람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을 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힘을 내려놓고 하나님께 더 큰 힘을 구했습니다. 나중에 그는 “나는 협상을 한 게 아니라 정말 도움이 필요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마지막 시도에서 그는 413.5파운드(187.5킬로그램)의 역기를 머리 위로 번쩍 들어올렸습니다.

그리스도의 사도인 바울은 “내가 약한 그 때에 강함이라”(고린도후서 12:10)고 했습니다. 영적인 힘을 말한 것이었는데, 바울은 하나님의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9절)을 알았습니다.

이사야 선지자의 선포처럼 “[하나님은] 피곤한 자에게는 능력을 주시며 무능한 자에게는 힘을 더하십니다”(이사야 40:29).

그런 힘을 얻는 길은 무엇이었습니까? 예수님 안에 머무르는 것입니다.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이라”고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5:5). 역도선수 앤더슨이 자주 말했듯이, “세상에서 가장 힘센 사나이가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 없이는 하루도 살 수 없다면, 당신은 어떻게 살아야 하겠습니까?” 그것을 알아보려면 우리도 자신의 헛된 힘에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께 그분의 강하고 탁월한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0:28-31
영원하신 하나님 여호와...는 피곤하지 않으시며 곤비하지 않으시며
[이사야 40:28]

당신의 힘이 아닌 하나님의 힘에 의지할 때 결과가 어떻습니까?
예수님 안에 거할 때 어떻게 힘을 얻습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내 인생의 짐들이 무겁고 벅차게 느껴져도 주님 안에 거할 때 감당하고 이겨낼 주님의 힘을 얻습니다.

Daily Article

08/07/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2–73; ROMANS 9:1–15
Hymn: 446(old 500)

STRENGTH TO LET GO

Once known as the World’s Strongest Man, American weightlifter Paul Anderson set a world record at the 1956 Olympics in Melbourne, Australia, despite a severe inner-ear infection and a 103-degree fever. Falling behind frontrunners, his only chance for a gold medal was to set a new Olympic record in his last event. His first two attempts failed badly.

So, the burly athlete did what even the weakest among us can do. He called on God for extra strength, letting go of his own. As he later said, “It wasn’t making a bargain. I needed help.” With his final lift, he hoisted 413.5 pounds (187.5 kg) over his head.

Paul, the apostle of Christ, wrote, “When I am weak, then I am strong” (2 CORINTHIANS 12:10). Paul was speaking of spiritual strength, but he knew that God’s power was “made perfect in weakness” (V. 9).

As the prophet Isaiah declared, “[The Lord] gives strength to the weary and increases the power of the weak” (ISAIAH 40:29).

What was the path to such strength? Abiding in Jesus. “Apart from me you can do nothing,” He said (JOHN 15:5). As weightlifter Anderson often said, “If the strongest man in the world can’t get through one day without the power of Jesus Christ—where does that leave you?” To find out, we can release our dependence on our own illusive strength, asking God for His strong and prevailing help.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ISAIAH 40:28–31
He will not grow tired or weary.
[ ISAIAH 40:28 ]

When you depend on God’s strength, and not your own, what’s the outcome?
How does abiding in Jesus give you strength?

All-powerful God, my life’s burdens feel heavy and overwhelming, but abiding in You gives me Your strength to carry on and overcome.

오늘의 말씀

08/06/2022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70-71; 로마서 8:22-39
찬송가: 393(통447)

하나님께 통제권을 내어 드리기

식탁 위에 올려놓을 만큼 작고 단단한 참나무를 한번 상상해 보십시오. 분재가 바로 그런 모습입니다. 분재는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야생의 것을 축소판으로 만든 예쁜 장식용 나무입니다. 분재와 제대로 다 자란 나무는 유전적으로 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좁은 화분 안에서 가지치기와 뿌리 다듬기로 성장이 억제되어 작은 나무로 남아 있는 것입니다.

분재 나무는 멋진 장식용 식물이지만 동시에 통제의 힘을 보여줍니다. 나무가 주위 환경에 적응해 사는 것을 이용해 우리가 나무의 성장을 조작할 수는 있지만, 사실 궁극적으로 이들을 성장시키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에스겔 선지자에게 “나 여호와는 높은 나무를 낮추고 낮은 나무를 높인다”(에스겔 17:24)고 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이 바벨론의 침략을 허락하여 이스라엘을 “뿌리째 뽑을” 미래의 일을 예고한 것입니다. 그러나 미래에 하나님은 열매를 맺고 “모든 종류의 새”가 가지의 그늘에서 은신처를 찾을 수 있는 한 새로운 나무를 이스라엘에 심으실 거라고 하셨습니다 (23절). 하나님은 앞에 있을 일들이 아무리 절망스러워도 다스리는 이는 여전히 하나님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세상은 조작이나 자신의 수고를 통해 우리의 상황을 주도하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평화와 번영은 나무를 자라게 할 수 있는 유일하신 그분께 온전히 통제권을 내어드릴 때 찾아옵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겔 17:19-24
나 여호와는 높은 나무를 낮추고 낮은 나무를 높이며
[에스겔 17:24]

어떻게 자신이 주인이 되는 삶을 살고 싶은 유혹을 받습니까?
하나님의 통제를 신뢰하면 어떻게 평화가 찾아올까요?

전능한 왕이신 사랑의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하나님이 제 인생의 주권자이심을 인정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06/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0–71; ROMANS 8:22–39
Hymn: 393(old 447)

RELINQUISHING CONTROL TO GOD

Picture a mighty oak tree that’s small enough to fit on a kitchen table. That’s what a bonsai looks like—a beautiful ornamental tree that’s a miniature version of what you find wild in nature. There’s no genetic difference between a bonsai and its full-size counterpart. It’s simply that a shallow pot, pruning, and root trimming restrict growth, so the plant remains small.

While bonsai trees make for wonderful decorative plants, they also illustrate the power of control. It’s true that we can manipulate their growth as the trees respond to their environment, but God is ultimately the One who makes things grow.

God spoke to the prophet Ezekiel this way: “I the Lord bring down the tall tree and make the low tree grow tall” (EZEKIEL 17:24). God was foreshadowing future events when he would “uproot” the nation of Israel by allowing the Babylonians to invade. In the future, however, God would plant a new tree in Israel that would bear fruit, with “birds of every kind” finding shelter in the shade of its branches (V. 23). God said that no matter how much upcoming events seemed out of control, He was still in charge.

The world tells us to try to control our circumstances by manipulation and through our own hard work. But true peace and thriving are found by relinquishing control to the only One who can make the trees grow.
- KAREN PIMPO

Today's Reading

EZEKIEL 17:19–24
I the Lord bring down the tall tree and make the low tree grow tall.
[ EZEKIEL 17:24 ]

How are you tempted to try to control your life?
How does trusting in God’s control bring peace?

We praise You, loving God, as the all-powerful King.
Help me acknowledge Your lordship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8/05/2022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68-69; 로마서 8:1-21
찬송가: 292(통415)

우리에게 필요한 예수님의 도움

마침내 나의 아버지도 약한 존재라는 사실을 알게 된 날이 왔습니다. 어린 나에게 아버지는 힘이 세고 투지 넘치는 분이셨습니다. 그런데 내가 청년이 되어갈 무렵 아버지가 허리를 다치셨는데, 그 일로 아버지도 결국 보통 사람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나는 부모님과 함께 지내면서 아버지가 욕실에 가고 옷을 입고 심지어 물컵을 입에 대는 것까지 도와드렸는데, 그것이 아버지를 초라하게 만들었습니다. 아버지는 작은 일은 직접 해보려고 몇 번 시도해 보셨지만 “네 도움이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구나.”하며 현실을 받아들이셨습니다. 아버지는 마침내 강한 모습을 다시 회복하셨지만, 그 경험은 아버지와 나에게 중요한 교훈을 가르쳐주었습니다. 그것은 우리는 서로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서로가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예수님이 더 필요합니다. 요한복음 15장에 나오는 포도나무와 가지의 비유는 우리가 계속 꼭 붙잡아야 할 모습입니다. 그러나 그 중의 한 구절은 우리에게 위로가 되면서도 자신을 의존하는 것에 대해 경고해 줍니다. 우리는 ‘나에겐 아무 도움도 필요 없어.’ 라는 생각을 쉽게 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이라”(5절)고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주님은 제자의 주된 특징인 “사랑, 기쁨, 화평”(갈라디아서 5:22)과 같은 열매를 맺는 것에 대해 말씀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열매 맺는 삶을 요구하십니다. 우리는 주님께 전적으로 의지할 때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이 되는 열매 맺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요한복음 15:8).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1-8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이라
[요한복음 15:5]

“주님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라는 기도는 간단하지만 능력이 있습니다. 당신은 오늘 어떤 상황에 그 기도가 필요합니까? 하나님이 함께하시고 당신을 사랑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나는 하나님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Daily Article

08/05/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68–69; ROMANS 8:1–21
Hymn: 292(old 415)

WE NEED JESUS’ HELP

The day finally came—the day I realized my father wasn’t indestructible. As a boy, I knew his strength and determination. But in my early adult years, he injured his back, and I realized that my father was mortal after all. I stayed with my parents to help my dad to the bathroom, assisting him in dressing, even guiding a glass of water to his mouth—it was humbling to him. He made some initial attempts to accomplish small tasks, but admitted, “I can’t do anything without your help.” He eventually recovered to his strong self, but that experience taught both of us an important lesson. We need each other.

And while we need each other, we need Jesus even more. In John 15, the imagery of the vine and the branches continues to be one we cling to. Yet one of the other phrases, while comforting, can also strike at our self-reliance. The thought that can easily creep into our minds is, I don’t need help. Jesus is clear—“apart from me you can do nothing” (V. 5). Christ is talking about bearing fruit, like “love, joy, peace” (GALATIANS 5:22), those core features of a disciple. To bear fruit is the life Jesus calls us to, and our total reliance on Him yields a fruitful life, a life lived to the Father’s glory (JOHN 15:8).
- JOHN BLASE

Today's Reading

JOHN 15:1–8
Apart from me you can do nothing.
[ JOHN 15:5 ]

The prayer “I can do nothing apart from You” is simple and powerful. What situations are you facing today that need prayer? How can you rest assured that God is with you and loves you?

Father, I can do nothing apart from You.

오늘의 말씀

08/04/2022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66-67; 로마서 7
찬송가: 69(통33)

청지기의 특권

휴가 중 남편과 해변을 걷다가 큰 사각형의 모래밭이 임시로 세운 울타리로 막혀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한 청년이 바다거북 둥지의 알을 보호하기 위해 자원봉사자들과 밤새워 일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둥지에서 나온 새끼 거북은 동물과 사람의 위협 때문에 생존율이 낮습니다. 그는 “우리가 이런 노력을 해도 5천 마리 중 겨우 한 마리만 어른이 된다고 과학자들은 추정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 젊은이는 이런 암울한 숫자에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새끼 거북의 부화를 위해 사심 없이 봉사하는 그의 열정이 바다거북을 귀하게 여기고 보호하고자 하는 나의 열망을 한층 더 깊게 해주었습니다. 이제 나는 하나님의 창조물을 돌볼 책임이 나에게도 있음을 잊지 않으려고 바다거북 목걸이를 하고 다닙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셨을 때 모든 창조물이 살고 번성할 수 있는 서식처를 주셨습니다(창세기 1:20-25). 하나님은 그의 형상대로 우리를 만드시고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라” 고 하셨습니다(26절).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님이 주신 권위로 그분의 방대한 창조물을 돌보는 책임 있는 청지기로서 그분을 섬기게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20-21, 24-28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창세기 1:28]

하나님의 창조물들을 어떻게 돌보아 왔습니까?
이번 주에 어떻게 창조물을 돌보는 더 좋은 청지기가 될 수 있을까요?

만물의 창조주시며 주관자이신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의 창조물을 돌보는 청지기의 책임을 다하고 우리에게 맡겨 주신 이 세계를 돌볼 수 있도록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보여 주소서.

Daily Article

08/04/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66–67; ROMANS 7
Hymn: 69(old 33)

THE PRIVILEGE OF STEWARDSHIP

While on vacation, my husband and I walked along the beach and noticed a large, square patch of sand blocked off by a makeshift fence. A young man explained that he worked around the clock with a team of volunteers committed to guarding the eggs in each sea turtle’s nest. Once the hatchlings emerged from their nest, the presence of both animals and humans threaten and decrease their chance of survival. “Even with all our efforts,” he said, “scientists estimate that only one out of every five thousand hatchlings reach adulthood.” These bleak numbers didn’t discourage this young man, however. His passion for selflessly serving the hatchlings deepened my desire for respecting and protecting sea turtles. Now I wear a sea turtle pendant that reminds me of my God-given responsibility to care for the creatures He’s made.

When God created the world, He provided a habitat in which each creature could live and thrive (GENESIS 1:20–25). When He created His image-bearers, God intended for us to “rule over the fish in the sea and the birds in the sky, over the livestock and all the wild animals, and over all the creatures that move along the ground” (V. 26). He helps us serve Him as responsible stewards who use our God-given authority to care for His vast creation.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GENESIS 1:20–21, 24–28
Rule over the fish in the sea and the birds in the sky and over every living creature that moves on the ground.
[ GENESIS 1:28 ]

In what ways have you cared for God’s creation?
How can you become a better steward of it this week?

Loving Creator and Sustainer of all, please show me tangible ways I can fulfill my responsibility as a steward of Your creation and inspire others to care for the world You’ve entrusted to u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