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22/2022 토요일
분노의 마음
우리가 절대 고의적으로 피를 부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자신하는 사람들은 예수님의 다음 말씀을 명심해야 합니다. “옛 사람에게 말한 바 살인하지 말라 누구든지 살인하면 심판을 받게 되리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 되고”(마태복음 5:21-22). 실제 살인을 저지르지 않고도 마음으로 살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향한 참을 수 없는 분노가 우리를 삼키려 할 때, 우리는 간절하게 성령께서 우리의 마음을 채우고 다스리게 하심으로 인간의 본능이 성령의 열매로 대체될 수 있게 해야 합니다(갈라디아서 5:19-23). 그럴 때 사랑과 기쁨, 그리고 평안이 우리의 관계 속에 자리 잡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21-26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 되고
[마태복음 5:22]
당신의 인간관계는 얼마나 건강합니까?
어떻게 성령의 열매를 맺음으로 더욱 건강한 관계를 이룰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상처 준 이들에게 보복하고 싶을 때 사랑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22/2022 SATURDAY
HEART OF ANGER
For those of us who feel confident that we would never intentionally shed blood, we should remember Jesus’ words, “You have heard that it was said to the people long ago, ‘You shall not murder, and anyone who murders will be subject to judgment.’ But I tell you that anyone who is angry with a brother or sister will be subject to judgment” (MATTHEW 5:21–22). The heart can be murderous without ever actually committing murder.
When unchecked anger toward others threatens to consume us, we desperately need the Holy Spirit to fill and control our hearts so that our human tendencies can be replaced by the fruit of the Spirit (GALATIANS 5:19–23). Then, love, joy, and peace can mark our relationship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MAT THEW 5:21–26Anyone who is angry with a brother or sister will be subject to judgment.
[ MATTHEW 5:22 ]
How healthy are your relationships?
How can you allow the Spirit to produce fruit that enables healthier relationships?
Father, help me when I want to strike back at those who hurt me. Please help me to respond with love.
오늘의 말씀
10/21/2022 금요일
긍휼의 마음 갖기
재미있는 영상을 보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한 가지 우리를 일깨워주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다른 이들의 어려움을 이용하거나 웃음거리로 삼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서로 경쟁 국가인 이스라엘과 에돔에 관해 그런 이야기가 오바댜서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죄로 그들을 벌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기자 에돔이 기뻐했습니다. 에돔은 그 상황을 악용하여 이스라엘 도시들을 약탈하고, 그들의 탈출을 방해하며, 그들의 적들을 지원했습니다(오바댜 1:13-14). 그러자 오바댜 선지자에게 에돔을 향한 경고의 말씀이 임했습니다. “여호와께서 만국을 벌할 날이 가까웠나니” “네가 형제의 날 곧 그 재앙의 날에 방관할 것이 아니며”(12, 15절).
누군가가 어려움과 고통을 겪는 것을 볼 때, 심지어 스스로의 잘못 때문인 것처럼 보일 때라도 우리는 교만하지 말고 긍휼의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판단할 위치에 있지 않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이 세상 나라는 하나님께 속해 있으며(21절), 그분에게만 공의와 자비의 권세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오바댜 1:8-15네가 형제의 날 곧 그 재앙의 날에 방관할 것이 아니며
[오바댜 1:12]
다른 사람들의 어려움을 보며 어떻게 반응합니까?
사랑과 긍휼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요?
자비로우신 하나님, 스스로를 의롭게 여겼던 저를 용서하소서.
주님의 공의와 자비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0/21/2022 FRIDAY
CHOOSING COMPASSION
Funny home videos aren’t a bad thing, but they can reveal something about ourselves: we can be prone to laugh at or take advantage of the hardships of others. One such story is recorded in Obadiah about two rival nations, Israel and Edom. When God saw fit to punish Israel for their sin, Edom rejoiced. They took advantage of the Israelites, looted their cities, thwarted their escape, and supported their enemies (OBADIAH 1:13–14). A word of warning came through the prophet Obadiah to Edom: “You should not gloat over your brother in the day of his misfortune,” for “the day of the Lord is near for all nations” (VV. 12, 15).
When we see the challenges or suffering of others, even if it seems they’ve brought it upon themselves, we must choose compassion over pride. We’re not in a position to judge others. Only God can do that. The kingdom of this world belongs to Him (V. 21)—He alone holds the power of justice and mercy.
- KAREN PIMPO
Today's Reading
OBADIAH 1:8–15You should not gloat over your brother in the day of his misfortune.
[ OBADIAH 1:12 ]
How do you react to the hardships others face?
What does a loving, merciful response look like?
Merciful God, forgive me for my feelings of self-righteousness.
Thank You for Your justice and mercy.
오늘의 말씀
10/20/2022 목요일
섬세하신 하나님
한 시간 후 누군가가 현관문을 두드렸습니다. 친구 아만다와 앤디가 한 가족이 모두 먹을 양의 음식을 들고 문 앞에 서 있었는데, 그 안에는 ‘당근’ 도 있었습니다.
‘악마도 이렇게 섬세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유대 민족의 역사에서 섬세하신 하나님의 모습을 보여주는 한 놀라운 이야기가 있습니다. 애굽 왕 바로는 “아들이 태어나거든 너희는 그를 나일 강에 던지라”(출애굽기 1:22) 고 명령했습니다. 이 대량학살 사건은 놀랍도록 섬세하게 전개되었습니다. 모세의 어머니는 비록 계획에 의한 것이기는 했어도 실제로 아들을 나일강에 “던졌습니다.” 그리고 장차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구할 자로 택하신 그 아기는 바로의 딸에 의해 나일강에서 구출됩니다. 바로의 딸은 모세의 어머니를 데려와 삯을 주며 아기에게 젖을 먹이기까지 했습니다!(2:9).
이렇게 생겨난 유대 민족으로부터 훗날 약속된 아기가 탄생하게 됩니다. 그분의 이야기는 놀랍도록 섬세하고 인간이 알 수 없는 아이러니들로 가득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수님께서 우리를 죄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시켜 주신다는 것입니다.
고난의 때에 특히 하나님은 섬세한 모습을 보여주십니다. 킴벌리는 분명 “하나님께서 당근을 보내주셨어요!”라고 말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1-10그가 갈대 사이의 상자를 보고... 열고 그 아기를 보니
[출애굽기 2:5-6]
하나님의 섬세하심을 본 적이 있습니까?
그 일로 믿음이 어떻게 더 강해졌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큰 일뿐 아니라 사소한 일에서도 주님의 모습을 보여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20/2022 THURSDAY
GOD IN THE DETAILS
An hour later, there was a knock at the door. There stood their friends Amanda and Andy with an entire meal she’d prepared for the family. Including carrots.
They say the devil is in the details? No. An amazing story in the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shows God is in the details. Pharaoh had commanded, “Every Hebrew boy that is born you must throw into the Nile” (EXODUS 1:22). That genocidal development turned on a remarkable detail. Moses’ mother did indeed “throw” her baby into the Nile, albeit with a strategy. And from the Nile, Pharaoh’s own daughter would rescue the baby whom God used to rescue His people. She would even pay Moses’ mother to nurse him! (2:9).
One day from this fledgling Jewish nation would come a promised baby boy. His story would abound with amazing details and divine ironies. Most importantly, Jesus would provide an exodus out of our slavery to sin.
Even—especially—in the dark times, God is in the details. As Kimberley will tell you, “God brought me carrot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XODUS 2:1–10She saw the basket among the reeds and . . . she opened it and saw the baby.
[ EXODUS 2:5–6 ]
What stories can you tell where you’ve seen God in the details?
How did that help strengthen your faith?
Thank You, Father, that You show up in the little things as well as the big things.
오늘의 말씀
10/19/2022 수요일
즐거워할 이유
내가 ‘마마 글렌다’라고 불렀던 그녀는 나를 부드럽게 안아주며 “우리 이쁜이, 안녕”이라고 인사했습니다. 즐거운 대화를 짧게 나누고 같이 기도한 후 그녀는 늘 그렇듯 콧노래를 부르며 축복해줄 다음 사람을 찾아갔습니다.
시편 64편에서 다윗은 근심과 두려움을 지닌 채로 담대히 하나님께 나아갔습니다(1절). 그는 자신을 둘러싼 악행에 대해 절망감을 토로했지만 (2-6절) 하나님의 능력과 확실한 약속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았습니다(7-9절). 그는 언젠가 “의인은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그에게 피하리니 마음이 정직한 자는 다 자랑하리라”(10절)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동안 우리는 어려운 시기를 맞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창조하신 매일의 삶 속에서 즐거워할 이유가 우리에게 언제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4의인은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그에게 피하리니 마음이 정직한 자는 다 자랑하리로다
[시편 64:10 ]
하나님께서 오늘을 즐거워할 어떤 이유를 주셨습니까?
낙심한 자에게는 어떻게 용기를 줄 수 있을까요?
전능하신 하나님, 하나님과 하나님이 하신 일, 앞으로 행하실 일을 기리며 즐거워할 아주 많은 이유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19/2022 WEDNESDAY
REASONS TO REJOICE
Mama Glenda, as she lets me call her, wrapped me in a gentle hug. “Hi, Baby,” she said. We enjoyed a short conversation and prayed together. Then she left—humming and singing as always, looking for someone else to bless.
In Psalm 64, David boldly approached God with his complaints and concerns (V. 1). He voiced his frustrations about the wickedness he saw around him (VV. 2–6). He didn’t lose confidence in God’s power or the reliability of His promises (VV. 7–9). He knew that one day, “The righteous will rejoice in the Lord and take refuge in him; all the upright in heart will glory in him!” (V. 10).
As we wait for Jesus’ return, we’ll face tough times. But we’ll always have reasons to rejoice in every day God has mad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64The righteous will rejoice in the Lord and take refuge in him; all the upright in heart will glory in him!
[ PSALM 64:10 ]
What reasons has God given you to rejoice today?
How can you encourage someone who may feel discouraged?
Almighty God, thank You for giving me so many reasons to rejoice as I celebrate who You are, what You’ve done, and all You’ve promised to do.
오늘의 말씀
10/18/2022 화요일
형언할 수 없는 것
아퀴나스에 앞서 바울도 어떤 환상을 보았습니다. 그는 고린도후서에서 자신의 경험을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내가 이런 사람을 아노니 (그가 몸 안에 있었는지 몸 밖에 있었는지 나는 모르거니와 하나님은 아시느니라)그가 낙원으로 이끌려 가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말을 들었으니”(12:3-4).
바다같이 무한한 어떤 굉장한 것을 보았던 바울과 아퀴나스는 그것을 말이나 이성으로 표현할 수 없어 우리의 상상에 맡겼습니다. 환상을 본 아퀴나스는 자신의 아들을 보내어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희생시키신 하나님께 자기가 무얼 더 보탤 것이 없다는 결론에서 그의 저서를 완성하려는 마음을 접었습니다. 이에 비해 바울은 서신을 계속 써 나갔지만, 그도 자신의 능력으로는 제대로 표현하거나 마칠 수 없음을 깨닫는 가운데 썼던 것입니다.
바울은 그리스도를 섬기며 겪었던 모든 역경 가운데서도(고린도후서 11:16-33; 12:8-9) 뒤돌아볼 때 자신의 연약함 속에서도 형언할 수 없는 그분의 은혜와 선하심, 그리고 경이로움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2:1-10그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말을 들었으니 사람이 가히 이르지 못할 말이로다
[고린도후서 12:3-4]
저주같이 느껴진 어떤 어려운 일을 겪은 적이 있습니까?
그때 형언할 수 없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어떻게 볼 수 있었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오늘 나의 약함 가운데 당신의 형언할 수 없는 임재와 능력을 구할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10/18/2022 TUESDAY
BEYOND WORDS
Before Aquinas, Paul too had a vision. In 2 Corinthians, he described the experience: “[I]—whether in the body or apart from the body I do not know, but God knows—was caught up to paradise and heard inexpressible things” (12:3–4).
Paul and Aquinas left us to reflect on an ocean of goodness that neither words nor reason can express. The implications of what Aquinas saw left him without hope of finishing his work in a way that would do justice to a God who sent His Son to be crucified for us. By contrast, Paul continued to write, but he did so in the awareness of what he couldn’t express or finish in his own strength.
In all the troubles Paul encountered in service to Christ (2 CORINTHIANS 11:16–33; 12:8–9), he could look back and see, in his weakness, a grace and goodness beyond words and wonder.
- MART DEHAA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2:1–10This man . . . heard inexpressible things, things that no one is permitted to tell.
[ 2 CORINTHIANS 12:3–4 ]
What problem have you had that seemed like a curse?
How have you seen God show Himself good to you in ways you can’t describe?
Father in heaven, please give me the courage today to look for an inexpressible sense of Your presence and strength in my weakness.
오늘의 말씀
10/17/2022 월요일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니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 “빛이 있으라”(3절) 하신 말씀으로 “혼돈하고 공허”한 땅(창세기 1:2)에 첫 번째 날의 동이 텄습니다. 창조의 권능이 이 말씀 안에 차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말씀하셨고, 선포된 말씀은 모두 현실이 되었습니다(시편 33:6, 9). 하나님이 “빛이 있으라”라고 말씀하시니 빛이 있었고, 그 말씀으로 어둠과 혼돈이 밝은 빛과 질서에 굴복하는 승리가 즉시 이루어졌습니다. 어둠의 권세에 대한 하나님의 답은 빛이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빛을 창조하신 후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셨습니다(창세기 1:4).
하나님의 첫 번째 말씀은 지금까지도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의 삶에 권능으로 임합니다. 매일 아침 동이 틀 때마다 하나님이 우리 삶 속에 그 말씀을 다시 선포해 주시는 것 같습니다. 밤의 어두움이나 삶 속에 겪는 어두움들이 하나님의 광채 앞에 물러나는 것을 볼 때, 우리가 그분을 찬양하고 그분께서 우리를 부르셨고 돌보신다는 사실에 감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1-4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창세기 1:3]
어둠을 뚫고 새벽이 올 때 하나님의 사랑과 신실하심을 어떻게 찬양하시겠습니까?
하나님의 빛이 어떻게 당신의 눈을 열어 그분을 볼 수 있게 해주었습니까?
빛의 창조주이신 하나님, 이 세상 어둠을 몰아내시고 제 눈을 열어 주님을 보게 하시고 제 삶에 임재하심을 보게 하심을 찬양합니다.
Daily Article
10/17/2022 MONDAY
GOD SPOKE
Establishing the dawn of the first day into the “formless and empty” earth (GENESIS 1:2), God spoke His first words recorded in Scripture: “Let there be light” (V. 3). These words were filled with creative power. He spoke, and what He declared came into existence (PSALM 33:6, 9). 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so it was. His words produced immediate victory as darkness and chaos gave way to the brilliance of light and order. Light was God’s answer to the dominance of darkness. And when He had created the light, He saw that it “was good” (GENESIS 1:4).
God’s first words continue to be powerful in the lives of believers in Jesus. With the dawning of each new day, it’s as if God is restating His spoken words in our lives. When darkness—literally and metaphorically—gives way to the brilliance of His light, may we praise Him and acknowledge that He’s called out to us and truly sees u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GENESIS 1:1–4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there was light.
[ GENESIS 1:3 ]
When dawn breaks through the darkness, how will you celebrate God’s love and faithfulness?
How has God’s light opened your eyes to see Him?
Creator of Light, I praise You for dispelling the darkness of this world—opening my eyes to You and Your presence in my life.
오늘의 말씀
10/16/2022 주일
내주하시는 그리스도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믿는 자 가운데 거하시는 놀라운 사실을 자기의 말로는 다 표현할 수 없음을 잘 알았던 그는 예수님의 내주하심에 관한 자신의 설명은 완전한 게 아니라고 이해를 구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말로 완벽히 표현할 수 없다 해도 예수님이 하신 다음 말씀의 의미를 사람들에게 전하라고 당부했습니다. “그 날에는 내가 아버지 안에 너희가 내 안에 내가 너희 안에 있는 것을 너희가 알리라”(요한복음 14:20). 이것은 예수님이 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을 나누시던 밤에 하셨던 말씀입니다. 주님은 하나님과 함께 오셔서 그분께 순종하는 이들과 거처를 함께 하실 것임을 제자들이 알기를 원하셨습니다(23절).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예수님이 성령을 통해 그를 믿는 자들 안에 내주하시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그렇게 믿는 자들을 내부로부터 변화시켜 주십니다.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상상하든, 그리스도는 우리 안에 살아 계시고, 우리를 인도하시고, 우리가 그분을 더욱 닮아 갈 수 있도록 우리를 돕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15-24그 날에는 내가 아버지 안에 너희가 내 안에 내가 너희 안에 있는 것을 너희가 알리라
[요한복음14:20]
예수님께서 우리 안에 내주하실 때 어떤 변화가 일어납니까?
다른 사람들 속에 주님이 계시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하나님이시며 사람이신 예수님, 자신을 희생하심으로 저를 하나님의 자녀 삼아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16/2022 SUNDAY
THE INDWELLING CHRIST
He apologized for stating the truths of Jesus imperfectly, knowing that his words couldn’t fully convey the wonderful reality of Christ dwelling in believers through the Holy Spirit. But he urged his listeners to share with others, however imperfectly, what Jesus meant when He said, “On that day you will realize that I am in my Father, and you are in me, and I am in you” (JOHN 14:20). Jesus said these words on the night of His last supper with His friends. He wanted them to know that He and His Father would come and make their home with those who obey Him (V. 23). This is possible because through the Spirit Jesus dwells in those who believe in Him, changing them from the inside out.
No matter how you picture it, we have Christ living inside us, guiding us and helping us to grow to be more like Him.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HN 14:15–24On that day you will realize that I am in my Father, and you are in me, and I am in you.
[ JOHN 14:20 ]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to you that Jesus dwells within you?
How do you see His presence in others?
Jesus, You’re God and man. Thank You for giving of Yourself so sacrificially, that I might be called a child of God.
오늘의 말씀
10/15/2022 토요일
살아 있다는 신호
두 달이 지나고 한 달이 더 흐르며 게들이 죽지 않았나 걱정되기 시작했습니다. 기다리면서 초조함은 더해갔습니다. 드디어 우리는 살아 있다는 신호를 포착했고, 이어서 게들은 모래 위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벨론에 끌려가 살았을 때 하나님의 예언이 과연 이루어질지 의심이 들지 않았을까요? 낙심하여 거기서 영원히 살게 될까 걱정하지 않았을까요? 그러나 하나님은 예레미야 선지자를 통해 이미 말씀하셨습니다 “바벨론에서 칠십 년이 차면 내가 너희를 돌보고 나의 선한 말을 너희에게 성취하여 너희를 이곳[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하리라” (예레미야 29:10). 말씀하신 그대로 70년이 지나서 하나님은 바사왕 고레스를 통하여 유대인들의 예루살렘 귀환과 성전 복구를 허락하셨습니다(에스라 1:1-4).
아무런 변화의 조짐도 없이 그냥 기다려야 하는 시간에도 하나님은 우리를 잊지 않으십니다. 성령님이 우리를 도와 참을성을 키우실 때, 우리는 하나님이 소망을 주시는 분, 약속을 지키시는 분, 미래를 주관하시는 분인 것을 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29:4-14나의 선한 말을 너희에게 성취하여 너희를 이 곳으로 돌아오게 하리라
[예레미야 29:10]
우리가 기다릴 때 하나님의 성품을 이해하면 어떤 도움이 될까요?
의심과 믿음의 관계는 무엇일까요?
하나님, 기다림 속에 주님을 신뢰하게 도와주세요.
주님이 제 인생에 들어와 저의 형편을 돌보아 주심을 믿습니다.
Daily Article
10/15/2022 SATURDAY
SIGNS OF LIFE
Two months passed, and then another month elapsed, and I had begun to worry that they’d died. The longer we waited, the more impatient I became. Then, finally, we saw signs of life, and the crabs emerged from the sand.
I wonder if Israel doubted that God’s prophecy for them would be fulfilled when they lived as exiles in Babylon. Did they feel despair? Did they worry they’d be there forever? Through Jeremiah, God had said, “I will come to you and fulfill my good promise to bring you back to [Jerusalem]” (JEREMIAH 29:10). Sure enough, seventy years later, God caused the Persian king Cyrus to allow the Jews to return and rebuild their temple in Jerusalem (EZRA 1:1–4).
In seasons of waiting when it seems like nothing is happening, God hasn’t forgotten us. As the Holy Spirit helps us to develop patience, we can know that He’s the Hope-Giver, the Promise- Keeper, and the One who controls the future.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JEREMIAH 29:4–14I will come to you and fulfill my good promise.
[ JEREMIAH 29:10 ]
How does understanding God’s character help you when you’re waiting?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doubt and faith?
God, help me to have faith in You as I wait.
I believe You’re involved in my life and You care about my situation.
오늘의 말씀
10/14/2022 금요일
베이비 보이
발견되고 얼마 후 사회복지 기관에서는 아기에게 나중에 정식으로 가족이 될 만한 분에게 연락했습니다. 그 부부는 아기를 돌보기로 하고 임시로 그레이슨이라고 불렀습니다. 마침내 입양이 완료되어 그레이슨이 공식 이름이 되었습니다. 오늘 당신은 글자 ‘r’을 잘못 발음하면서도 이야기에 끼기 좋아하는 유쾌한 아이를 만나 볼 수 있을 겁니다. 그 아이가 한때 가방에 넣어 버려졌던 아기라고는 짐작도 못할 것입니다.
모세는 인생의 끝에 가서 하나님의 성품과 그분이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하신 일을 되돌아보았습니다. 모세는 그들에게 “여호와께서 오직 네 조상들을 기뻐하시고 그들을 사랑하셨다”(신명기 10:15)라고 말했습니다. 이 사랑의 범위는 너무나 넓었습니다. 모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정의를 행하시며 나그네를 사랑하여 그에게 떡과 옷을 주시나니”(18 절), “그는 네 찬송이시요 네 하나님이시라”(21절).
입양을 하거나 단순한 사랑과 봉사를 하거나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도록 부름받았습니다. 사랑이 많았던 그 부부는 아무도 봐주지 않고 그냥 버려질 뻔했던 한 사람에게 하나님의 손과 발이 되어 사랑을 베풀었습니다. 우리도 그분의 손과 발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10:14-22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정의를 행하시며 나그네를 사랑하여
[신명기 10:18]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크고 작은 사랑을 베푸시는 것을 어떻게 느끼셨습니까?
당신은 오늘 어떤 작은 실천으로 그 사랑을 표현하겠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고아를 불쌍히 여기소서.
오늘 제가 당신의 손과 발이 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4/2022 Friday
BABY BOY
Soon after his discovery, Social Services called the people who would one day become his forever family. The couple took him in and called him Grayson (not his real name). Finally, the adoption was complete, and Grayson’s name became official. Today you can meet a delightful child who mispronounces his r’s as he earnestly engages you in conversation. You’d never guess he’d once been found abandoned in a bag.
Late in his life, Moses reviewed God’s character and what He’d done for the people of Israel. “The Lord set his affection on your ancestors and loved them,” Moses told them (DEUTERONOMY 10:15). This love had a broad scope. “He defends the cause of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and loves the foreigner residing among you, giving them food and clothing,” Moses said (V. 18). “He is the one you praise; he is your God” (V. 21).
Whether it’s through adoption or simply through love and service, we’re all called to reflect God’s love. That loving couple became the hands and feet God used to extend His love to someone who might have gone unnoticed and unclaimed. We can serve as His hands and feet too.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DEUTERONOMY 10:14–22[God] defends the cause of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and loves the foreigner residing among you.
[ DEUTERONOMY 10:18 ]
How have you sensed God extending His love to you in ways large and small?
What small thing might you do today to reflect that love?
Heavenly Father, have mercy on the fatherless.
Help me to be Your hands and feet today.
오늘의 말씀
10/13/2022 목요일
여전히 사랑할 거예요?
우리도 말로는 하지 않아도 하나님을 실망시켰다고 느껴질 때 “그래도 나를 사랑하십니까?”라는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 사는 동안 때로는 실패하고 죄를 지을 것입니다. 그리고 혹시 내가 실수하면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지 않으실 거라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요한복음 3장 16절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확신합니다.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님을 우리 대신 죽게 하시고 그를 믿는 사람은 영생을 얻게 하셨습니다. 그러나 믿고 난 후에도 그분을 실망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그때에는 우리가 아직 죄인이었을 때에도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죽으심” (로마서 5:8)을 기억해야 합니다. 최악의 상황에서도 우리를 사랑하신 그분인데, 지금 자녀 된 우리가 어떻게 그분의 사랑을 의심할 수 있겠습니까?
우리가 죄를 지을 때 우리 아버지께서는 사랑으로 우리를 바로잡으시고 징계하십니다. 그것은 정죄가 아니라(8:1) 사랑입니다(히브리서 12:6).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이 변함없고 영원하다는 복된 확신 안에서 안식하며 하나님의 사랑하는 자녀로 살아갑시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5:6-11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로마서 5:8]
하나님의 사랑을 깊이 알면 어떻게 더욱 순종하게 됩니까?
그때에 죄에 대한 생각은 어떻게 달라집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변함없는 사랑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13/2022 THURSDAY
WILL YOU STILL LOVE ME?
Although unspoken, some of us might ask that same question when we feel we’ve disappointed God: “Will You still love me?” We know that as long as we live in this world, we’ll fail and sin at times. And we wonder, do my mistakes affect God’s love for me?
John 3:16 assures us of God’s love. He gave His Son, Jesus, to die on our behalf so that if we believe in Him, we’ll receive eternal life. But what if we fail Him even after we place our trust in Him? That’s when we need to remember that “Christ died for us” even when we were still sinners (ROMANS 5:8). If He could love us at our worst, how can we doubt His love today when we’re His children?
When we sin, our Father lovingly corrects and disciplines us. That’s not rejection (8:1); that’s love (HEBREWS 12:6). Let’s live as God’s beloved children, resting in the blessed assurance that His love for us is steadfast and everlasting.
- KAREN HUANG
Today's Reading
ROMANS 5:6–11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 ROMANS 5:8 ]
How does understanding God’s love for you strengthen you to obey Him?
How does it impact your view of sin?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Your steadfast and unchanging 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