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11/2022     금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50; 히브리서 8
찬송가: 420(통212)

문제의 근원

1854년, 런던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죽어나갔습니다. 사람들은 ‘분명 오염된 공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당시에 하수로 오염된 템스 강이 이상 기온으로 가열되면서 그 고약한 냄새가 “엄청난 악취”를 풍기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더 심각한 문제는 공기가 아니었습니다. 존 스노우 박사의 연구에 의해 오염된 물이 콜레라 전염병의 원인으로 밝혀졌습니다.

우리 인간은 높은 하늘에까지 악취를 풍기는 다른 위기를 오래전부터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타락한 세상에 살면서 이 문제의 근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대신 증상을 치유하려고만 했습니다. 좋은 사회 프로그램과 정책들은 부분적인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사회 병폐의 근본 원인인 죄로 물든 우리의 마음의 문제는 전혀 해결할 수 없습니다.

예수님이 “무엇이든지 밖에서 사람에게로 들어가는 것은 능히 사람을 더럽게 하지 못한다”고 말씀하셨을 때 몸의 질병을 말씀하신 것이 아니었습니다 (마가복음 7:15). 주님은 오히려 우리 각자의 영적 상태를 진단하고 계셨습니다. 주님은 “사람 안에서 나오는 것이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15절)이라고 말씀하시며, 우리 안에 숨겨진 장황한 악의 목록들을 말씀하셨습니다(21-22절).

다윗은 “내가 죄악 중에서 출생하였음이여”라고 기록하였습니다(시편 51:5). 그의 탄식은 우리 모두의 탄식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처음부터 타락한 존재입니다. 그래서 다윗은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10절)라고 기도했습니다. 우리에게는 매일 예수님이 성령을 통해 창조하시는 새 마음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증상을 치료하는 대신 예수님이 그 문제의 근원을 정결케 하시도록 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7:14-23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시편 51:10]

당신은 예수님이 문제의 근원을 정결케 하시도록 하는 대신 어떤 방법으로 증상을 치료하려고 했습니까?
예수님이 당신에게 주신 복음을 어떻게 전할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저희 마음을 지켜주시고 저희 속에 계신 성령께 집중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1/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50; HEBREWS 8
Hymn: 420(old 212)

THE SOURCE

It was 1854, and something was killing thousands of people in London. It must be the bad air, people thought. And indeed, as unseasonable heat baked the sewage-fouled River Thames, the smell grew so bad it became known as “The Great Stink.”

But the worst problem wasn’t the air. Research by Dr. John Snow would show that contaminated water was the cause of the cholera epidemic.

We humans have long been aware of another crisis—one that stinks to high heaven. We live in a broken world—and we’re prone to misidentify the source of this problem, treating symptoms instead. Wise social programs and policies do some good, but they’re powerless to stop the root cause of society’s ills—our sinful hearts!

When Jesus said, “Nothing outside a person can defile them by going into them,” He wasn’t referring to physical diseases (MARK 7:15). Rather, He was diagnosing the spiritual condition of every one of us. “It is what comes out of a person that defiles them,” He said (V. 15), listing a litany of evils lurking inside us (VV. 21–22).

“Surely I was sinful at birth,” David wrote (PSALM 51:5). His lament is one we can all voice. We’re broken from the beginning. That’s why David prayed, “Create in me a pure heart, O God” (V. 10). Every day, we need that new heart, created by Jesus through His Spirit.

Instead of treating the symptoms, we must let Jesus purify the sourc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RK 7:14–23
Create in me a pure heart, O God.
[ PSALM 51:10 ]

In what ways might you be treating symptoms instead of letting Jesus clean up the source?
How can you share the good news of what Jesus did for you?

Heavenly Father, guard my heart and help me be attentive to Your Spirit within me.

오늘의 말씀

11/10/2022     목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8-49; 히브리서 7
찬송가: 90(통98)

우정이라는 유산

1970년대에 내가 고등학교 영어 교사 겸 농구팀 코치를 맡고 있을 때 그를 만났습니다. 그는 키가 크고 호리호리한 신입생이었습니다. 곧 그가 우리 농구팀에 들어오고 내 반 학생이 되면서 우정 관계가 형성되었습니다. 오랜 세월 나와 함께 편집자로 일했던 그 친구는 내 은퇴를 축하하는 모임에서 내 앞에 서서 우리 사이의 오랜 우정의 유산을 이야기했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으로 연결된 친구들과의 어떤 우정이 우리를 격려하고 예수님께 더 가까이 다가가게 해줄까요? 잠언 저자는 우정에는 두 가지 격려의 요소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첫째로, 조언을 주거나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음에도 진정한 친구는 소중한 조언을 해줍니다(27:6). 저자는 “친구의 아픈 책망은 충직으로 말미암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둘째로, 가까이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는 친구는 “가까운 이웃이 먼 형제보다 낫다”(10절)는 말씀처럼 위기의 순간에 중요한 존재입니다.

인생을 홀로 살아가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솔로몬은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전도서 4:9)고 말했습니다. 살면서 우리는 친구들이 필요하고 우리도 다른 사람들의 친구가 되어 주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우리가 “형제를 사랑하여 서로 우애하고”(로마서 12:10) “짐을 서로 지는”(갈라디아서 6:2) 삶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격려하고 예수님의 사랑에 더 가까이 가도록 돕는 그런 친구가 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7:6-10
친구는 사랑이 끊어지지 아니하고
[잠언 17:17]

당신은 어떤 의미에서 다른 사람들과 떨어져 살 수 있었습니까?
어떻게 하면 예수님을 잘 믿는 사람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서로 격려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친구들을 생각하는 저희의 마음을 살펴주시고, 그들에게 주님 중심의 조언을 하고 그들로부터 경건한 지혜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0/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8–49; HEBREWS 7
Hymn: 90(old 98)

LEGACY OF FRIENDS

I met him in the 1970s when I was a high school English teacher and basketball coach, and he was a tall, gangly freshman. Soon he was on my basketball team and in my classes—and a friendship was formed. This same friend, who had served with me as a fellow editor for many years, stood before me at my retirement party and shared about the legacy of our longstanding friendship.

What is it about friends connected by the love of God that encourages us and brings us closer to Jesus? The writer of Proverbs understood that friendship has two encouraging components: First, true friends give valuable advice, even if it’s not easy to give or take (27:6): “Wounds from a friend can be trusted,” the writer explains. Second, a friend who is nearby and accessible is important in times of crisis: “Better a neighbor nearby than a relative far away” (V. 10).

It’s not good for us to fly solo in life. As Solomon noted: “Two people are better off than one, for they can help each other succeed” (ECCLESIASTES 4:9 nlt). In life, we need to have friends and we need to be friends. May God help us “love one another with brotherly affection” (ROMANS 12:10 esv) and “carry each other’s burdens” (GALATIANS 6:2)—becoming the kind of friend that can encourage others and draw them closer to the love of Jesus.
- DAVE BRANON

Today's Reading

PROVERBS 27:6–10
A friend loves at all times.
[ PROVERBS 17:17 ]

In what sense could you be isolating yourself from others?
How can you regularly connect with some strong believers in Jesus to encourage each other?

Dear God, search my heart regarding my friends. Please help me provide Christ-centered counsel to them and receive godly wisdom from them.

오늘의 말씀

11/09/2022     수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6-47; 히브리서 6
찬송가: 425(통217)

현명한가, 어리석은가?

열 살 때, 교회 친구가 준 현대 크리스천 밴드의 음악이 담긴 카세트 테이프를 집으로 가져온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힌두교 가정에서 자라나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은 아버지는 그것을 용납하지 않으셨습니다. 아버지는 집에서 오직 교회 찬송가만 듣기를 원하셨습니다. 나는 ‘크리스천’ 밴드의 음악이라고 설명했지만 아버지는 마음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얼마 후 아버지는 그 노래들을 1주일 동안 들어보고 내가 하나님과 더 가까워지는지 아니면 더 멀어지는지 확인해보자고 하셨습니다. 정말 도움이 되는 지혜로운 조언이었습니다.

삶에는 옳고 그름이 명확한 것들도 있지만, 많은 경우 우리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 일들을 가지고 씨름합니다(로마서 14:1-19). 우리는 할 일을 결정할 때 성경 말씀에서 지혜를 구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에베소의 교인들에게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하지 말고 오직 지혜있는 자 같이 하라”(에베소서 5:15)고 권면했습니다. 좋은 부모처럼, 바울도 모든 상황에 함께 있거나 일일이 조언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만약 그들이 “때가 악하니 세월을 아끼고자” 한다면, 스스로 분별하여 “주의 뜻이 무엇인가 이해”해야 했습니다(16-17절). 지혜로운 삶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와 씨름할 때조차도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따른 분별과 올바른 결정을 추구하도록 이끌어줍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5:15-17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가 이해하라
[에베소서 5:17]

결정을 내릴 때 무엇이 지혜롭고 혹은 어리석은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희 속에 지혜의 마음을 키워 주시고, 항상 주님께로 가까이 다가가며 살아갈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1/09/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6–47; HEBREWS 6
Hymn: 425(old 217)

WISE OR UNWISE?

When I was ten, I brought home a cassette tape from a friend at youth group that contained the music of a contemporary Christian band. My dad, who had been raised in a Hindu home but had received salvation in Jesus, didn’t approve. He only wanted worship music played in our home. I explained it was a Christian band, but that didn’t change his mind. After a while, he suggested that I listen to the songs for a week and then decide if they brought me closer to God or pushed me further away from Him. There was some helpful wisdom in that advice.

There are things in life that are clearly right or wrong, but many times we wrestle with disputable matters (ROMANS 14:1–19). In deciding what to do, we can seek the wisdom found in Scripture. Paul encouraged the Ephesian believers to “be very careful, then, how you live—not as unwise but as wise” (EPHESIANS 5:15). Like a good parent, Paul knew that he couldn’t possibly be there or give instructions for every situation. If they were going to “[make] the most of every opportunity, because the days are evil,” they were going to have to discern for themselves and “understand what the Lord’s will is” (VV. 16–17). A life of wisdom is an invitation to
pursue discernment and good decisions as God guides us even when we wrestle with what might be disputable.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EPHESIANS 5:15–17
Understand what the Lord’s will is.
[ EPHESIANS 5:17 ]

How can you determine what will be wise or foolish as you make decisions? How can you seek God’s guidance?

Dear Jesus, cultivate a heart of wisdom in me. Enable me to live my life in a way that will always draw me closer to You.

오늘의 말씀

11/08/2022     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3-45; 히브리서 5
찬송가: 455(통507)

이웃 사랑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기간 동안 자가격리와 봉쇄 기간을 보내며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버밍햄 감옥에서 보낸 편지”에서 한 말들이 실감났습니다. 킹 목사는 불의에 관해 말하면서 어떻게 한 도시에 한가롭게 앉아 다른 도시에서 일어나는 일에 무관심할 수 있겠는가 묻습니다. “우리는 운명이라는 옷 한 벌에 서로 묶여 피할 수 없는 네트워크 속에 갇혀 있습니다. 한 곳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면 우리 모두 다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세계의 도시들과 나라들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 봉쇄하자 우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이 확연히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한 도시에 바이러스가 퍼지면 곧 다른 도시가 영향을 받았습니다.

오래 전에,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돌봐야 하는지에 대해 가르쳐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율법을 주어 그들을 인도하고 그들이 함께 사는 삶을 도와주셨습니다. 주님은 “네 이웃의 피를 흘려 이익을 도모하지 말고”(레위기 19:16), 원수를 갚지 말고 다른 사람들을 원망하지 말며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18절)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을 돌보지 않고 다른 이들의 생명을 자신의 것만큼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면 공동체는 갈라질 수밖에 없음을 잘 아셨습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교훈이 주는 지혜를 품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 잘 섬길 수 있는지 주님께 구하면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얼마나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기억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9:15-18
원수를 갚지 말며 동포를 원망하지 말며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레위기 19:18]

예수님이 종교지도자들에게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말씀하셨을 때 왜 하나님의 율법을 말씀하신 거라고 생각합니까?
오늘 이 가르침을 어떻게 행동으로 옮길 수 있을까요?

사랑의 창조주 하나님, 오늘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나눌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08/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3–45; HEBREWS 5
Hymn: 455(old 507)

LOVING OUR NEIGHBORS

In the days of self-isolation and lockdown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words by Martin Luther King Jr. in his “Letter from a Birmingham Jail” rang true. Speaking about injustice, he remarked how he couldn’t sit idly in one city and not be concerned about what happens in another. “We are caught in an inescapable network of mutuality,” he said, “tied in a single garment of destiny. Whatever affects one directly, affects us all indirectly.”

Likewise, the COVID-19 pandemic highlighted our connectedness as around the world cities and countries closed to stop the spread of the virus. What affected one city could soon affect another.

Many centuries ago, God instructed His people how to show concern for others. Through Moses, He gave the Israelites the law to guide them and help them live together. He told them to “not do anything that endangers your neighbor’s life” (LEVITICUS 19:16); and to not seek revenge or bear a grudge against others, but to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V. 18). God knew that communities would start to unravel if people didn’t look out for others, valuing their lives as much as they did their own.

We too can embrace the wisdom of God’s instructions. As we go about our daily activities, we can remember how interconnected we are with others as we ask Him how to love and serve
them well.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EVITICUS 19:15–18
Do not seek revenge or bear a grudge against anyone among your people, but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LEVITICUS 19:18 ]

Why do you think Jesus echoed God’s law when He told the religious leaders to love their neighbors as themselves?
How could you put this instruction into action today?

Loving Creator, help me to share Your love and grace today.

오늘의 말씀

11/07/2022     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0-42; 히브리서 4
찬송가: 212(통347)

월요일에 대한 감사

나는 월요일을 몹시 싫어했습니다. 때로는 전에 다니던 직장 건물에 단 몇 분이라도 늦게 가려고 기차에서 내린 후 한동안 역에 앉아 있곤 했습니다. 일의 마감 시간을 지키거나, 변덕이 심한 상사의 기분을 맞추는 것이 염려가 될 때면 심장이 빨리 뛰기도 했습니다.

우리 중 어떤 사람들에게는 지루한 한 주간의 일을 또다시 시작하는 게 특히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직장에서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거나 별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낄지도 모릅니다. 솔로몬 왕도 일의 수고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람이 해 아래에서 행하는 모든 수고와 마음에 애쓰는 것이 무슨 소득이 있으랴 일평생에 근심하며 수고하는 것이 슬픔뿐이라” (전도서 2:22-23).

그 현명한 왕은 일의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더 나은 보상을 얻을 수 있는 만병통치약을 주기보다는 우리에게 관점을 바꿔 보라고 제안합니다. 그는 우리의 일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그 일에서 “만족을 찾으라”고 권면합니다(24절). 어쩌면 성령님이 우리에게서 그리스도의 성품을 드러내시면 그렇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우리의 섬김을 통해 축복받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거나, 하나님이 주신 지혜를 기억하여 어려운 상황을 헤쳐나가게 될 때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하는 일이 힘들어도 신실하신 하나님께서 그 일에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하나님의 임재와 능력은 어두운 날들조차 환하게 밝혀 주십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우리는 월요일을 감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2:17-25
사람이 먹고 마시며 수고하는 것보다 그의 마음을 더 기쁘게 하는 것은 없나니
[전도서 2:24]

왜 월요일에 우울합니까? 오늘 당신의 일에서 만족을 얻기 위해 어떻게 하나님께 의지하시겠습니까?

신실하신 하나님, 저희가 오늘 일터에서 주님께서 주신 능력으로 어떤 선을 이룰 수 있을지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11/07/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0–42; HEBREWS 4
Hymn: 212(old 347)

THANKFUL FOR MONDAY

I used to dread Mondays. Sometimes, when I got off the train to head to a previous job, I’d sit at the station for a while, trying to delay reaching the building, if only for a few minutes. My heart would beat fast as I worried over meeting the deadlines and managing the moods of a temperamental boss.

For some of us, it can be especially difficult to start another dreary workweek. We may be feeling overwhelmed or underappreciated in our job. King Solomon described the toil of work when he wrote: “What do people get for all the toil and anxious striving with which they labor under the sun? All their days their work is grief and pain” (ECCLESIASTES 2:22–23).

While the wise king didn’t give us a cure-all for making work less stressful or more rewarding, he did offer us a change in perspective. No matter how difficult our work is, he encourages us to “find satisfaction” in it with God’s help (V. 24). Perhaps it will come as the Holy Spirit enables us to display Christlike character. Or as we hear from someone who’s been blessed through our service. Or as we remember the wisdom God provided to deal with a difficult situation. Though our work may be difficult, our faithful God is there with us. His presence and power can light up even gloomy days. With His help, we can be thankful for Monday.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ECCLESIASTES 2:17–25
A person can do nothing better than to . . . find satisfaction in their own toil.
[ ECCLESIASTES 2:24 ]

What gives you the Monday blues? How will you lean on God’s help to find satisfaction in your work today?

Faithful God, help me to see the good You’re enabling me to accomplish through my work today!

오늘의 말씀

11/06/2022     주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7-39; 히브리서 3
찬송가: 546(통399)

게헨나에서 바라본 소망

1979년 고고학자 가브리엘 발케이가 은으로 된 작은 두루마리 두 점을 발굴했는데, 이 금속 두루마리들을 조심스럽게 펴는 데에도 여러 해가 걸렸습니다. 각 두루마리에는 민수기 6:24-26의 축복의 말씀이 히브리어로 새겨져 있었습니다.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의 얼굴을 네게 비추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평강 주시기를 원하노라.” 학자들은 이 두루마리들을 기원전 7세기의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는 세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성경 조각입니다.

이 두루마리들이 발견된 장소 또한 흥미롭습니다. 발케이는 하나님이 자기 자식들을 희생 제물로 바치며 우상을 섬겼던 유다 사람들을 다 죽일 거라고 예레미야 선지자가 예언했던 바로 그 힌놈 골짜기의 동굴을 발굴하고 있었습니다(예레미야 19:4-6). 예수님은 아주 사악한 장소인 이 골짜기 “게헨나”( 히브리어 “힌놈 골짜기”의 헬라어 표기)를 지옥의 모습으로 부르셨습니다(
마태복음 23:33).

예레미야가 하나님이 그의 백성들에게 내릴 심판을 선포했던 그 시기에, 바로 그 장소에서 누군가가 하나님이 장차 주실 축복을 이 은 두루마리에 새겨 넣었습니다. 비록 이 축복이 그들이 사는 동안에는 임하지 않았지만, 훗날 바벨론이 침략했을 때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을 다시 돌아보시고 그들에게 평강을 주셨습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분명합니다. 그것은 비록 우리가 한 일에 대해 책임을 지더라도 우리는 하나님의 약속에 매달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마음은 언제나 그분의 백성들을 향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9:3-6, 14-15
보라 내가 이곳에 재앙을 내릴 것이라
[예레미야 19:3]

당신은 하나님으로부터 어떤 징계를 받아 마땅합니까?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의 징계를 받아들이고,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에 매달리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희 죄와 저희가 마땅히 받아야 할 심판을 고백합니다. 그리고 저희를 용서하시며 회복시켜 주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에 매달립니다.

Daily Article

11/06/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7–39; HEBREWS 3
Hymn: 546(old 399)

HOPE FROM GEHENNA

In 1979, archaeologist Gabriel Barkay unearthed two small silver scrolls. It took years to delicately unroll the metal scrolls, and each was found to contain a Hebrew etching of the blessing
from Numbers 6:24–26, “The Lord bless you and keep you; the Lord make his face shine on you and be gracious to you; the Lord turn his face toward you and give you peace.” Scholars date the scrolls to the seventh century bc. They’re the oldest known bits of Scripture in the world.

Equally interesting is where they were found. Barkay was digging in a cave in the Valley of Hinnom, the very place where the prophet Jeremiah told the people of Judah that God would slaughter them for sacrificing their children (JEREMIAH 19:4–6). This valley was the site of such wickedness that Jesus used the word “Gehenna” (a Greek form of the Hebrew name for the “Valley of Hinnom”) as a picture of hell (MATTHEW 23:33).

On this spot, about the time Jeremiah was announcing God’s judgment on his nation, someone was etching His future blessing onto silver scrolls. It wouldn’t happen in their lifetime, but one day—on the other side of the Babylonian invasion—God would turn His face toward His people and give them peace.

The lesson for us is clear. Even if we deserve what we have coming, we can cling to God’s promise. His heart always yearns for His people.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EREMIAH 19:3–6, 14–15
Listen! I am going to bring a disaster on this place.
[ JEREMIAH 19:3 ]

What discipline from God have you deserved? How might you accept God’s discipline and cling to His promise of salvation?

Father, I confess my sin and the judgment I deserve and cling to Your promise to forgive and restore.

오늘의 말씀

11/05/2022     토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4-36; 히브리서 2
찬송가: 521(통253)

달음질 경기

미식축구 리그를 보면 선수들 대부분의 현역 활동 기간이 놀랍도록 짧은데, 스태티스타 닷컴에 의하면 평균 3.3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미식축구 리그의 쿼터백 톰 브래디는 2021년에 44세의 나이로 22번째 시즌을 맞이했습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요? 아마도 철저하기로 유명한 그의 식단과 규칙적인 연습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브래디는 일곱 개의 슈퍼볼 반지를 차지하여 미식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G.O.A.T; greatest of all time)라는 칭호를 얻었습니다. 그것은 그가 완벽한 미식축구를 위해 한 마음으로 삶의 모든 부분에 절제하지 않았다면 얻지 못했을 칭호입니다.

바울 사도도 그가 살던 시대의 운동선수들에게서 비슷한 훈련의 이치를 보았습니다(고린도전서 9:24). 하지만 동시에 운동선수들이 아무리 훈련을 많이 쌓아도 그들의 영광은 결국 사라져버린다는 사실도 알았습니다. 이와는 달리, 그는 우리가 예수님을 위해 살 때 영원히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말합니다. 바울이 암시하고 있는 것처럼, 만약 운동선수가 순간의 영광을 얻기 위해 그렇게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면, “썩지 않을 면류관”(25절, 현대인의 성경) 을 위해 우리는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 할까요?

우리는 구원을 얻기 위해 훈련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정반대입니다. 우리의 구원이 정말 얼마나 놀라운 것인지를 깨닫게 되면, 우리의 우선순위와 관점, 삶의 목적들이 재정립되어 하나님이 주시는 힘으로 각자 믿음의 경주를 충실하게 달려가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9:24-27
우리는 썩지 아니할 것을 얻고자
[고린도전서 9:25]

당신의 믿음이 어떻게 최선을 다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준다고 생각합니까?
영적 훈련을 받으며 성장하면 어떻게 율법주의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희에게 이미 주신 것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보답으로 훈련받아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05/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4–36; HEBREWS 2
Hymn: 521(old 253)

RUNNING THE RACE

The careers of most National Football League players are remarkably brief: just 3.3 years on average, according to statista.com. Then there’s NFL quarterback Tom Brady. In 2021, he began his twenty-second season at the age of forty-four. How? Perhaps his famously rigorous diet and exercise routine have enabled him to maintain his competitive edge. Brady’s seven Super Bowl rings have earned him the title of G.O.A.T.—greatest of all time in the NFL. But it’s a title he never could have achieved apart from letting his single-minded pursuit of football perfection shape everything in his life.

The apostle Paul recognized athletes exhibiting similar discipline in his day (1 CORINTHIANS 9:24). But he also saw that no matter how much they trained, ultimately their glory faded. In contrast, he said, we have an opportunity to live for Jesus in a way that affects eternity. If athletes striving for momentary glory can work so hard at it, Paul implies, how much more should those living for “a crown that will last forever” (V. 25).

We don’t train to earn salvation. Rather, just the opposite: as we realize how truly wondrous our salvation is, it reshapes our priorities, our perspective, and the very things we live for as each of us faithfully runs our own race of faith in God’s strength.
- ADAM R. HOLZ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9:24–27
We [go into strict training] to get a crown that will last forever.
[ 1 CORINTHIANS 9:25 ]

How do you think your faith motivates you to give your very best?
How can you avoid legalism as you grow in spiritual disciplines?

Father, help me to grow in discipline as a response to Your love and not as an attempt to earn something You’ve already given me.

오늘의 말씀

11/04/2022     금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2-33; 히브리서 1
찬송가: 337(통363)

우리의 아픔을 보상해 주시는 하나님

올리브는 친구가 자신의 치과 장비들을 차에 싣는 것을 지켜보았습니다. 동료 치과의사에게 자신의 최신 장비들을 판 것입니다. 자기 치과 병원을 갖는 것이 올리브의 오랜 꿈이었지만 뇌성마비로 태어난 아들 카일을 돌보기 위해 일을 그만두어야 했습니다.

내 친구 올리브가 말했습니다. “백만 번을 다시 태어나도 나는 같은 선택을 했을 거야. 하지만 치과 진료를 포기하는 것은 힘들었어. 꿈이 사라지는 것이었거든.”

우리는 종종 이해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습니다. 올리브는 생각지도 않았던 아이의 질환 때문에 자신의 꿈을 접어야 하는 마음의 아픔을 겪었습니다. 나오미도 온 가족을 잃는 마음의 아픔을 겪었습니다. 룻기 1장 21절에서 그녀는 “전능자가 나를 괴롭게 하셨다”고 울부짖었습니다.

그러나 나오미의 이야기에는 그녀가 알 수 없었던 다른 부분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나오미를 버리지 않으셨습니다. 그녀에게 오벳이라는 손자를 주심으로써 회복을 가져다주신 것입니다(룻기 4:17). 오벳은 나오미의 남편과 아들의 이름을 이어받았을 뿐아니라, 나오미는 그를 통해 혈통으로 예수님의 선조인 보아스의 친척이 되었습니다(마태복음 1:5, 16).

하나님은 나오미의 아픔을 보상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올리브가 신경질환을 가진 아이들을 위한 사역을 시작하도록 도와주심으로써 그녀의 아픔도 보상해 주셨습니다. 우리가 아픔의 시기를 지나기도 하겠지만, 하나님을 순종하고 따르면 우리의 아픔을 보상해 주실 거라는 사실을 믿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사랑과 지혜로 우리의 아픔으로부터 선을 이루어 내십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2:20-22; 4:13-17
그가 여호와로부터 복받기를 원하노라... 그 사람은 우리와 가까우니
[룻기 2:20]

하나님은 지난날 당신의 시련을 어떻게 보상해 주셨습니까?
그리고 현재의 어려움에 대해 어떻게 용기를 주고 계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희 삶의 아픈 이야기들을 보상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1/04/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2–33; HEBREWS 1
Hymn: 337(old 363)

GOD REDEEMS OUR PAIN

Olive watched her friend loading her dental equipment into his car. A fellow dentist, he’d bought the brand-new supplies from her. Having her own practice had been Olive’s dream for years, but when her son Kyle was born with cerebral palsy, she realized she had to stop working to care for him.

“If I had a million lifetimes, I’d make the same choice,” my friend told me. “But giving up dentistry was difficult. It was the death of a dream.”

We often go through difficulties we can’t understand. For Olive, it was the heartache of her child’s unexpected medical condition and relinquishing her own ambitions. For Naomi, it was the heartache of losing her entire family. In Ruth 1:21 she lamented, “The Almighty has brought misfortune upon me.”

But there was more to Naomi’s story than what she could see. God didn’t abandon her; He brought restoration by providing her with a grandson, Obed (RUTH 4:17). Obed would not only carry on the name of Naomi’s husband and son, but through him, she would be a relative of an ancestor (Boaz) of Jesus Himself (MATTHEW 1:5, 16).

God redeemed Naomi’s pain. He also redeemed Olive’s pain by helping her begin a ministry for children with neurological conditions. We may experience seasons of heartache, but we can
trust that as we obey and follow God, He can redeem our pain. In His love and wisdom, He can make good come out of it.
- KAREN HUANG

Today's Reading

RUTH 2:20–22; 4:13–17
The Lord bless him! . . .That man is our close relative.
[ RUTH 2:20 ]

How has God redeemed your trials in the past?
How is He encouraging you in your present difficulties?

Dear God, thank You that You’re redeeming the painful stories of my life.

오늘의 말씀

11/03/2022     목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0-31; 빌레몬서
찬송가: 540(통219)

세상에 귀닫고 그리스도의 음성만 듣기

매일 몇 시간씩 텔레비전으로 뉴스를 보던 노인은 세상이 다 망하고 자신도 그렇게 될 것 같아서 몹시 불안했습니다. “제발 좀 끄고, 이젠 그만 들으세요.” 그분의 딸이 간곡히 말했습니다. 하지만 노인은 말을 듣지 않고 소셜 미디어와 다른 뉴스 방송을 보는데 계속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우리가 무엇을 듣는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우리는 예수님과 본디오 빌라도의 만남을 통해서 이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종교지도자들이 예수님을 범죄자로 고소하자 빌라도는 예수님을 소환하여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요한복음 18:33)고 물었습니다. 예수님은 전혀 뜻밖의 질문으로 대답하셨습니다. “이는 네가 스스로 하는 말이냐 다른 사람들이 나에 대하여 네게 한 말이냐”(34절).

오늘날 우리도 똑같은 질문을 받고 있습니다. 이 공황 상태의 세상에서 우리는 세상의 혼란스러운 이야기에 귀를 기울입니까, 아니면 그리스도께 귀를 기울입니까? 진실로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 양은 내 음성을 들으며 나는 그들을 알며 그들은 나를 따르느니라”(10:27). 예수님은 의심이 많은 종교지도자들에게 자신이 누구인지 설명하기 위해 “이 비유로 말씀하셨습니다”(6절). 예수님은 자신을 선한 목자라고 하시면서 말씀하셨습니다. “자기 양을 다 내놓은 후에 앞서가면 양들이 그의 음성을 아는 고로 따라오되 타인의 음성은 알지 못하는 고로 타인을 따르지 아니하고 도리어 도망하느니라”(4-5절).

우리의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은 우리에게 무엇보다 그분의 말씀을 들으라고 명령하십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음성을 잘 듣고 주님이 주시는 평강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0:1-6, 27
내 양은 내 음성을 들으며
[요한복음 10:27]

뉴스와 소셜 미디어의 무엇이 당신을 불안하게 합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들일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소란스러운 세상에서 주님이 성경을 통해 우리 가슴과 마음과 영혼에 말씀하실 때, 다른 무엇보다 주님의 음성을 듣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1/03/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0–31; PHILEMON
Hymn: 540(old 219)

HEARING CHRIST, NOT CHAOS

After watching TV news for hours each day, the elderly man grew agitated and anxious—worried the world was falling apart and taking him with it. “Please turn it off,” his grown daughter begged him. “Just stop listening.” But the man continued to spend an excessive amount of time on social media and other news sources.

What we listen to matters deeply. We see this in Jesus’ encounter with Pontius Pilate. Responding to criminal charges brought against Jesus by religious leaders, Pilate summoned Him and asked, “Are you the king of the Jews?” (JOHN 18:33). Jesus replied with a stunning question: “Is that your own idea . . . or did others talk to you about me?” (V. 34).

The same question tests us. In a world of panic, are we listening to chaos or to Christ? Indeed, “my sheep listen to my voice,” He said. “I know them, and they follow me” (10:27). Jesus “used this figure of speech” (V. 6) to explain Himself to doubting religious leaders. As with a good shepherd, He said that “his sheep follow him because they know his voice. But they will never follow a stranger; in fact, they will run away from him because they do not recognize a stranger’s voice” (VV. 4–5).

As our Good Shepherd, Jesus bids us to hear Him above all. May we listen well and find His peace.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JOHN 10:1–6, 27
My sheep listen to my voice.
[ JOHN 10:27 ]

What do you hear on the news or social media that makes you feel anxious?
How can you give more time to hearing the voice of God?

Loving God, in a noisy world, when You speak to my heart, mind, and spirit in and through the Scriptures, may I hear You over all.

오늘의 말씀

11/02/2022     수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27-29; 디도서 3
찬송가: 202(통241)

하나님 말씀 붙잡기

큰할아버지의 옛날 농가 문틀에는 미네소타의 혹독한 겨울을 견딜 만큼 강인한 주철 고리가 달려 있었습니다. 이 집에서 100 피트(30 미터) 이상 떨어져 있는 낙농 창고에도 같은 고리가 단단히 붙어 있었습니다. 눈보라가 몰아칠 때면 큰할아버지는 두 고리에 줄을 달아 집과 창고를 오갔습니다. 그 줄을 꽉 잡고 가면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눈보라 속에서도 길을 잃지 않았던 것입니다.

눈보라 속에서 안전줄을 사용한 큰할아버지의 모습을 떠올리면, 하나님의 지혜가 어떻게 우리의 삶을 인도하고 죄와 과오로부터 우리를 지켜주는지 다윗이 히브리 시의 구절들로 표현한 것이 생각납니다. “여호와의 법도 진실하여 다 의로우니 금 곧 많은 순금보다 더 사모할 것이며 꿀과 송이꿀보다 더 달도다 또 주의 종이 이것으로 경고를 받고 이것을 지킴으로 상이 크니이다” (시편 19:9-11).

우리 마음 속에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영이 알려주는 성경의 진리를 단단히 붙잡을 때 우리는 길을 잃지 않고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을 영화롭게 하는 결정들을 내릴 수 있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하나님을 떠나 방황하지 말라고 경고하면서 올바로 본향으로 가는 길을 보여주며, 우리 구주의 아주 귀한 사랑과 그분을 믿는 모든 사람을 기다리고 있는 축복에 대해 말해줍니다. 성경은 생명줄입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우리가 항상 그 생명줄을 붙잡을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9:7-14
여호와의 증거는 확실하여
[시편 19:7]

성경의 어떤 약속들이 당신에게 희망을 줍니까?
오늘 성경의 진리들을 어떻게 붙잡으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오늘 주신 가르침을 소중히 여기도록 도와주소서.
풍성하고 깊은 축복이 담긴 성경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02/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27–29; TITUS 3
Hymn: 202(old 241)

GRASPING GOD’S WORD

A rugged, cast-iron ring stood strong against the harsh Minnesota winter as it hung on the doorframe of my great uncle’s old farmhouse. More than a hundred feet away was another ring, firmly fixed to the dairy barn. When there was a blizzard, my uncle would attach a line between both rings so he could find the path between the house and the barn. Keeping a firm grip on the line kept him from losing his way in the blinding snow.

My uncle’s use of a safety line in a snowstorm reminds me of how David used lines of Hebrew poetry to trace how God’s wisdom guides us through life and guards us against sin and error: “The decrees of the Lord are firm, and all of them are righteous. They are more precious than gold, than much pure gold; they are sweeter than honey, than honey from the honeycomb. By them your servant is warned; in keeping them there is great reward” (PSALM 19:9–11).

A firm grasp of the truths of Scripture informed by God’s Spirit working in our hearts keeps us from losing our way and helps us make decisions that honor God and others. The Bible warns us
against wandering from God and shows us the way home. It tells us of the priceless love of our Savior and the blessings that await all who place their faith in Him. Scripture is a lifeline! May God help us cling to it always. -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19:7–14
The statutes of the Lord
are trustworthy. [ PSALM 19:7 ]

What promises from Scripture give you hope?
In what ways will you hold on to its truths today?

Heavenly Father, help me to treasure Your teaching today.
Thank You for the rich, deep blessings of Scriptur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