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21/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16-17; 야고보서 3
찬송가: 205(통236)

책을 거꾸로 읽기

추리소설의 재미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결말부터 먼저 읽는 것이 좋지 않은 생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독자들에게는 결말을 알면 독서가 더 즐거워집니다.

‘책을 거꾸로 읽기’의 저자 리차드 헤이는 성경을 이해하는 데 이 방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헤이 교수는 성경의 말씀과 사건의 전개가 서로 어떤 복선과 반복과 암시가 있는지 설명하면서 성경을 앞뒤로 읽어야 할 이유를 제시합니다.

헤이는 파괴된 성전을 3일 만에 재건할 것이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제자들이 주님이 부활하신 ‘후’에야 이해했다는 사실을 독자들에게 상기시킵니다. 요한 사도는 그 말씀을 “예수는 성전된 자기 육체를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요한복음 2:21)고 뒤늦게 말합니다. 그들은 또 이전에는 전혀 이해하지 못했던 유월절 행사의 의미를 나중에야 이해할 수 있었고(마태복음 26:17-29 참조), 지난 날을 돌아보면서 어떻게 하나님의 전을 사모하는 고대 한 왕의 열심이 예수님을 통해 온전히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떠올릴 수 있었습니다(시편 69:9; 요한복음 2:16-17). 하나님의 참된 성전(예수님 자신)에 비추어 성경을 다시 읽고 나서야 제자들은 이스라엘의 종교 의식과 메시아가 서로를 어떻게 조명해 주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똑같은 이 성경의 여러 내용들을 앞뒤로 읽을 때 비로소 우리가 필요로 하거나 갈망했던 모든 것들을 예수님 안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13-22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후에야 제자들이 예수께서 하신 말씀을 기억하고 믿었더라
[요한복음 2:22]

당신은 미래의 어떤 어려움들이 염려됩니까?
영원의 관점으로 읽음으로 가장 잘 이해되고 사랑받는 하나님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믿는 것을 어떻게 배워가고 있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저희가 살 동안 예측 못한 방법으로 하나님 존재의 경이로움을 드러내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볼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21/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16–17; JAMES 3
Hymn: 205(old 236)

READING BACKWARDS

Reading the last chapter of a mystery novel first may sound like a bad idea to those who love the suspense of a good story. But some people enjoy reading a book more if they know how it ends.

In Reading Backwards, author Richard Hays shows how important the practice i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Bible. By illustrating how the unfolding words and events of Scripture anticipate, echo, and throw light on one another, Professor Hays gives us reason to read our Bibles forward and backward.

Hays reminds readers that it was only after Jesus’ resurrection that His disciples understood His claim to rebuild a destroyed temple in three days. The apostle John tells us, “The temple he had spoken of was his body” (JOHN 2:21). Only then could they understand a meaning of their Passover celebration never before understood (SEE MATTHEW 26:17–29). Only in retrospect could they reflect on how Jesus gave fullness of meaning to an ancient king’s deep feelings for the house of God (PSALM 69:9; JOHN 2:16–17). Only by rereading their Scriptures in light of the true temple of God (Jesus Himself) could the disciples grasp how the ritual of Israel’s religion and Messiah would throw light on one another.

And now, only by reading these same Scriptures backward and forward, can we see in Jesus everything that any of us has ever needed or longed for.
-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HN 2:13–22
After he was raised from the dead, his disciples recalled what he had said.
[ JOHN 2:22 ]

What difficulties concern you about your future?
How are you learning to understand and believe God’s story that’s best understood and loved when read with eternity in view?

Father in heaven, thank You for letting me live long enough to see Your ability to show up and reveal the wonder of Your presence in ways I could not have foreseen.

오늘의 말씀

11/20/2022     주일

성경읽기: 에스겔 14-15; 야고보서 2
찬송가: 542(통340)

소크라테스 클럽

1941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과 무신론자 또는 불가지론자들 사이의 논쟁을 장려하기 위해 소크라테스 클럽이 생겼습니다.

일반 대학에서 종교 논쟁을 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지만, 놀라운 사실은 15년 동안 소크라테스 클럽을 이끌었던 사람이 바로 위대한 기독교 학자 C.S. 루이스였습니다. 기꺼이 자신의 생각을 시험해 보고자 했던 루이스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은 철저한 검증까지도 견뎌낼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예수님을 믿는 신앙에 대한 확실하고 합리적인 증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루이스는 박해로 흩어진 신자들에게 베드로가 한 충고를 실천하고 있었습니다. 베드로는 그때 그들에게 이렇게 일깨워 주었습니다. “너희 마음에 그리스도를 주로 삼아 거룩하게 하고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온유와 두려움으로 하라”(베드로전서 3:15). 베드로는 두 가지 핵심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에 대한 우리의 소망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것과, 그 이유에 대해서 “온유와 두려움”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것은 종교적 도피나 희망 사항이 아닙니다. 우리의 믿음은 예수님의 부활과 창조주 하나님을 증언하는 창조의 증거들을 포함하는 역사적 사실들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지혜와 성령의 능력 안에 거하면서 위대하신 하나님을 믿는 이유를 서로 나눌 준비가 되어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3:13-18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베드로전서 3:15]

우리는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우리의 믿음을 전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의 부활이 비록 명백한 기적이긴 하지만, 어떤 증거가 부활을 합리적으로 만들어 줄까요?

전능하신 하나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뒷받침해 주는 믿을 만한 증거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20/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14–15; JAMES 2
Hymn: 542(old 340)

THE SOCRATIC CLUB

In 1941, the Socratic Club was established at England’s Oxford University. It was formed to encourage debate between believers in Jesus and atheists or agnostics.

Religious debate at a secular university isn’t unusual, but what is surprising is who chaired the Socratic Club for fifteen years—the great Christian scholar C. S. Lewis. Willing to have his thinking tested, Lewis believed that faith in Christ could stand up to great scrutiny. He knew there was credible, rational evidence for believing in Jesus.

In a sense, Lewis was practicing Peter’s advice to believers scattered by persecution when he reminded them, “In your hearts revere Christ as Lord. Always be prepared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who asks you to give the reason for the hope that you have. But do this with gentleness and respect” (1 PETER 3:15). Peter makes two key points: we have good reasons for our hope in Christ and we’re to present our reasoning with “gentleness and respect.”

Trusting Christ isn’t religious escapism or wishful thinking. Our faith is grounded in the facts of history, including the resurrection of Jesus and the evidence of the creation bearing witness to its Creator. As we rest in God’s wisdom and the strength of the Spirit, may we be ready to share the reasons we have for trusting our great God.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PETER 3:13–18
Always be prepared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 . . for the hope that you have.
[ 1 PETER 3:15 ]

How might you share your faith with someone?
What evidence for the resurrection of Jesus makes it reasonable, even though it’s clearly miraculous?

Almighty God, thank You for giving me credible evidence to support my faith in You.

오늘의 말씀

11/19/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11-13; 야고보서 1
찬송가: 408(통466)

우리를 잘 아시는 하나님

어머니는 멀리서도 내게 생긴 문제를 알아차리시는 것 같습니다. 한번은 학교에서 어려웠던 하루를 보낸 후 힘든 모습을 감추며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기를 바랐는데, 어머니는 나를 보고 대뜸 “무슨 일이 있었어?” 라고 물으며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하기 전에 난 네 엄마라는 걸 기억해라. 내가 너를 낳았고, 너보다 너를 더 잘 알아.” 어머니는 나를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에 내가 어머니를 가장 필요로 하는 순간에 내 곁에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항상 나에게 일깨워 주셨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우리를 자세히 아시는 하나님의 보살핌을 받습니다. 시편 기자 다윗은 그분의 자녀들의 삶을 세심하게 지켜보시는 하나님을 이렇게 찬양했습니다.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주께서 내가 앉고 일어섬을 아시고 멀리서도 나의 생각을 밝히 아시오며”(시편 139:1-2). 하나님은 우리가 누구인지를, 곧 우리의 모든 생각과 갈망과 행동을 아시기 때문에 우리가 그분의 풍성한 사랑과 보살핌의 테두리를 벗어나 갈 수 있는 곳은 아무데도 없습니다(7-12절). 다윗이 쓴 것처럼, “내가... 바다 끝에 가서 거주할지라도 거기서도 주의 손이 나를 인도하실”(9- 10절) 것입니다. 우리가 어느 곳에 살고 있든 기도로 하나님께 부르짖으면 우리에게 필요한 사랑과 지혜로 인도해 주실 거라는 사실을 알고 위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12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시편 139:1]

당신은 자신의 감정을 아무도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그럴 때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이 어떤 도움과 격려가 됩니까?

사랑의 하나님, 우리는 자주 오해받고 또 외롭다고 느낍니다.
우리 삶 속에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러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처럼 보일 때라도 하나님께서 저희를 보시고 들으시고 사랑하신다는 것을 잘 압니다.

Daily Article

11/19/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11–13; JAMES 1
Hymn: 408(old 466)

GOD KNOWS YOU

It seems my mother can sense trouble from a mile away. Once, after a rough day at school, I tried to mask my frustration hoping that no one would notice. “What’s the matter?” she asked. Then she added, “Before you tell me it’s nothing, remember I’m your mother. I gave birth to you, and I know you better than you know yourself.” My mom has consistently reminded me that her deep awareness of who I am helps her be there for me in the moments I need her most.

As believers in Jesus, we’re cared for by a God who knows us intimately. The psalmist David praised Him for His attentiveness to the lives of His children saying, “You have searched me, Lord, and you know me. You know when I sit and when I rise; you perceive my thoughts from afar” (PSALM 139:1–2). Because God knows who we are—our every thought, desire, and action—there’s nowhere we can go where we’re outside the bounds of His abundant love and care (VV. 7–12). As David wrote, “If I settle on the far side of the sea even there your hand will guide me” (VV. 9–10). We can find comfort knowing that no matter where we are in life, when we call out to God in prayer, He’ll offer us the love, wisdom, and guidance we need.
- KIMYA LODER

Today's Reading

PSALM 139:1–12
You have searched me, Lord, and you know me.
[ PSALM 139:1 ]

When have you felt like no one else could understand how you were truly feeling? How does the reality of God’s presence help and encourage you during such times?

Loving God, many times I feel misunderstood and alone.
Thank You for reminding me of Your presence in my life.
I know You see me, hear me, and love me even when it seems like no one else does.

오늘의 말씀

11/18/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8-10; 히브리서 13
찬송가: 361(통480)

생각하며 기도하기

“당신을 생각하며 기도하겠습니다.” 이런 말을 들을 때 우리는 그 사람이 정말 그렇게 할까 하는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에드나 데이비스가 그런 말을 할 때면 절대 의심하지 않아도 되었습니다. 신호등이 하나뿐인 그 작은 마을의 모든 사람들은 페이지마다 사람들의 이름이 계속 줄을 채우고 있는 “에드나 여사의” 노란 종이 수첩에 대해 잘 알고 있었습니다. 매일 아침 일찍, 이 할머니는 수첩에 적힌 사람들을 위해 하나님께 큰 소리로 기도했습니다. 그 목록에 있는 사람들이 다 그들이 원했던 응답을 받지는 못했지만, 몇 사람은 그 할머니 장례식에서 그들의 삶 속에 하나님의 손길과도 같은 무엇인가가 일어났다고 간증하면서, 그것이 에드나 여사의 진심 어린 기도 덕분이라고 믿었습니다.

하나님은 베드로가 감옥에 갇혔던 경험을 통해서도 기도의 힘을 보여주셨습니다. 베드로 사도가 헤롯의 사람들에게 잡혀서 감옥에 갇혀 “군사 넷 씩인 네 패에 맡겨”(사도행전 12:4)졌을 때 그의 앞날은 캄캄해 보였습니다. 그러나 “교회는 그를 위하여 간절히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5절). 교인들은 베드로를 생각하며 기도한 것입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정말 기적적인 일을 행하셨습니다! 감옥에 있는 베드로에게 천사가 나타나 쇠사슬을 풀어주고 감옥문을 지나 안전한 곳으로 그를 인도해 준 것입니다(7-10절).

실제로 그렇게 하지 않으면서도 그냥 “생각하고 기도하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의 생각을 아시고,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며, 그분의 완벽한 뜻에 따라 우리를 위해 행하십니다. 우리가 위대하고 능력있는 하나님을 섬긴다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위해 기도하고, 내가 다른 이들을 위해 기도하는 일은 결코 작은 일이 아닙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2:4-11
베드로는 옥에 갇혔고 교회는 그를 위하여 간절히 하나님께 기도하더라
[사도행전 12:5]

누군가가 당신을 기억하고 당신을 위해 간절하게 기도했던 때가 마지막으로 언제였습니까?
당신도 오늘 누군가를 위해 그렇게 기도할 수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께 모든 염려를 내려놓을 수 있고, 또 그것을 다 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18/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8–10; HEBREWS 13
Hymn: 361(old 480)

THOUGHTS AND PRAYERS

“You’ll be in my thoughts and prayers.” If you hear those words, you might wonder if the person really means it. But you never had to wonder when Edna Davis said them. Everyone in the small, one stoplight town knew of “Ms. Edna’s” yellow legal pad—page after page, lined with name after name. Early each morning the aging woman prayed out loud to God. Not everyone on her list received the answer to prayer they wanted, but several testified at her funeral that something God-sized had happened in their life, and they credited it to the earnest prayers of Ms. Edna.

God demonstrated the power of prayer in Peter’s prison experience. After the apostle was seized by Herod’s men, thrown into prison, and then “guarded by four squads of four soldiers each” (ACTS 12:4), his prospects looked bleak. But “the church was earnestly praying to God for him” (V. 5). They had Peter in their thoughts and prayers. What God did is simply miraculous! An angel appeared to Peter in prison, released him from his chains, and led him to safety beyond the prison gates (VV. 7–10).

It’s possible some may use “thoughts and prayers” without really meaning it. But our Father knows our thoughts, listens to our prayers, and acts on our behalf according to His perfect will. To be prayed for and to pray for others is no small thing when we serve the great and powerful God.
- JOHN BLASE

Today's Reading

AC TS 12:4–11
Peter was kept in prison, but the church was earnestly praying to God for him.
[ ACTS 12:5 ]

When was the last time you knew someone remembered you
and prayed earnestly for you? Who is someone you can pray that way for today?

Jesus, thank You that I can bring every care to You and that You listen.

오늘의 말씀

11/17/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5-7; 히브리서 12
찬송가: 430(통456)

빗나가지 말고 곧바로 전진!

“안식”이라는 제목의 시에서 시인은 “여가”를 “일”과 분리하려는 우리의 성향에 대해, “참다운 안식은 참다운 일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닌가?” 라고 물으며 점잖게 이의를 제기합니다. 시인은 진정한 여가를 보내고 싶다면 삶에서 해야 할 여러가지 일들을 피하려고 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무조건 최선을 다하면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쓸데없이 시간을 보내지 말라/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식이라 할 수 없다/아름다움은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당신 가까이 있을까? 온 사방에 있을까?/오직 할 일을 다하는 곳에서만/아름다운 광경이 보일 것이다.”

시인은 참다운 안식과 기쁨은 사랑과 섬김을 통해 찾을 수 있다고 결론적으로 말하는데, 그것은 바울이 데살로니가 사람들에게 했던 격려를 떠올려 줍니다. 바울은 신자들이 “하나님께 합당하게 살아가도록” (데살로니가전서 2:12, 새번역) 격려하는 일에 자신이 부르심을 받았다고 하면서 그것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

그가 그리고 있는 삶의 모습은 조용한 가운데 성실하고 사랑하고 섬기는 그런 삶입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에 대한 [그들의] 사랑이 더욱 많아 넘치게 하시기를”(3:12) 위해서 기도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에게 “조용하게 살기를 힘쓰고, 자기 일에 전념하고, 자기 손으로 일을 하라”(4:11, 새번역)고 권면합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허락하신 모든 방법으로 조용히 사랑하고 섬기는 것, 바로 그 같은 삶이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믿음의 삶을 보여주는 것입니다(12절).

그리고 시인은 진정한 기쁨은 “사랑하고 섬기는 것이니/가장 고귀하고 가장 좋은 것은/빗나가지 말고 곧바로 전진하는 것/그것이 참다운 안식이라” 고 말합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3:11-13; 4:9-12
자기 나라와 영광에 이르게 하시는 하나님께 합당히 행하게 하려함이라
[데살로니가전서 2:12]

하나님이 함께하심이 어떻게 진정한 기쁨을 경험하는데 도움을 줍니까?
하나님 나라에서는 안식과 섬김이 어떻게 하나가 될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희가 매일의 규칙적인 삶과 할 일들을 피하지 않고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과 함께하는 조용한 삶의 기쁨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7/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5–7; HEBREWS 12
Hymn: 430(old 456)

ONWARDS! UNSWERVING

In the poem “Rest,” the poet gently challenges our tendency to separate “leisure” time from “work,” asking, “Is not true leisure / One with true toil?” If you want to experience true leisure, instead of trying to avoid life’s duties, the author urges, “Still do thy best; Use it, not waste it,— / Else ’tis not rest. / Wouldst behold beauty / Near thee? all round? / Only hath duty / Such a sight found.”

The poet concludes that true rest and joy are both found through love and service—an idea that brings to mind Paul’s encouragement to the Thessalonians. After describing his calling to encourage believers “to live lives worthy of God” (1 THESSALONIANS 2:12), the apostle gives more specifics.

And the picture he paints of such a life is one of quiet integrity, love, and service. Paul prays that God would “make [their] love increase and overflow for each other and for everyone else” (3:12). And he urges believers in Jesus to “make it your ambition to lead a quiet life,” to “mind your own business and work with your hands” (4:11). It’s that kind of life, quietly loving and serving in whatever ways God has enabled us, that reveals to others the beauty of a life of faith (V. 12).

Or, as the writer puts it, true joy is “loving and serving / The highest and best; / ’Tis onwards! Unswerving— / And that is true rest.”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1 THESS. 3:11–13; 4:9–12
[We encouraged] . . . you to live lives worthy of God, who calls you into his kingdom and glory.
[ 1 THESSALONIANS 2:12 ]

How does God’s presence help you experience true joy?
How are rest and service united in God’s kingdom?

Loving God, thank You that I don’t need to avoid the duties and rhythms of daily life to experience Your beauty. Help me to know the joy of a quiet life lived with You.

오늘의 말씀

11/16/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3-4; 히브리서 11:20-40
찬송가: 384(통434)

경계를 늦추지 마십시오

한 남자가 친구 몇 명과 함께 눈사태 경고판이 붙어 있는 스키장 문을 통과해 스노보드를 타기 시작했습니다. 두 번째 타고 내려올 때 누군가가 “눈사태다!”라고 소리쳤습니다. 그러나 그 남자는 피하지 못하고 쏟아지는 눈에 파묻혀 죽고 말았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가 초보여서 실수한 것이라고 비난했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는 “눈사태에 대해 인증받은 산간 오지 가이드”였습니다. 한 연구원은 눈사태 대비 훈련을 가장 많이 받은 스키어와 스노보더가 잘못된 추리에 따를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 스노보더는] 경계심을 풀고 방심했기 때문에 죽은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갈 준비를 하고 있을 때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이 경계를 늦추지 않고 조심하여 깨어 있기를 원하셨습니다. 그래서 그들에게 그분의 모든 “율례와 법도”(신명기 4:1-2)에 순종하고, 이전에 불순종한 자들을 심판하셨던 것을 기억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3-4절). 그들은 스스로를 성찰하고 내면의 삶을 살피면서 “조심할” 필요가 있었습니다(9절). 그렇게 했다면 그들이 외부의 영적 위험과 내부의 영적 무관심에 대한 경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우리는 경계심을 늦추고 무관심과 자기 기만에 빠지기 쉽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삶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힘을 주시고, 또 넘어질 때에는 그분의 은혜로 용서해 주십니다. 하나님을 따르고 그분의 지혜와 예비하심 안에 거한다면 우리는 경계를 늦추지 않는 가운데 올바른 결정들을 내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4:1-9
스스로 삼가며 네 마음을 삼가 지키라
[신명기 4:9]

당신은 언제 영적 경계심을 늦추는 경향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지혜를 따르면서 신앙의 위험에 대한 경계심을 계속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희가 깨어 있어 사랑으로 순종하며 주님을 따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6/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3–4; HEBREWS 11:20–40
Hymn: 384(old 434)

KEEP YOUR GUARD UP

A man and several friends went through a ski resort gate posted with avalanche warning signs and started snowboarding. On the second trip down, someone shouted, “Avalanche!” But the man couldn’t escape and perished in the cascading snow. Some criticized him, calling him a novice. But he wasn’t; he was an “avalanche-certified backcountry guide.” One researcher said that skiers and snowboarders with the most avalanche training are more likely to give in to faulty reasoning. “[The snowboarder] died because he was lulled into letting his guard down.”

As Israel prepared to go into the promised land, God wanted His people to keep their guard up—to be careful and alert. So He commanded them to obey all His “decrees and laws” (DEUTERONOMY 4:1–2) and remember His past judgment on those who disobeyed (VV. 3–4). They needed to “be careful” to examine themselves and keep watch over their inner lives (V. 9). This would help them keep their guard up against spiritual dangers from without and spiritual apathy from within.

It’s easy for us to let our guard down and fall into apathy and self-deception. But God can give us strength to avoid falling in life and forgiveness by His grace when we do. By following Him and resting in His wisdom and provision, we can keep our guard up and make good decision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DEUTERONOMY 4:1–9
Be careful, and watch yourselves closely.
[ DEUTERONOMY 4:9 ]

When do you tend to let your spiritual guard down?
What will you do to follow God’s wisdom and remain alert to dangers to your faith?

Dear God, please help me to remain alert and follow You in loving obedience.

오늘의 말씀

11/15/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1-2; 히브리서 11:1-19
찬송가: 213(통348)

목소리를 사용한 봉사

여덟 살 때부터 말을 더듬었던 리사는 사람들과 대화해야 하는 사회생활이 두려웠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언어치료를 받고 어려움을 극복한 리사는 자신의 목소리를 사용해 다른 사람들을 돕기로 결심하고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위해 전화 상담 자원봉사에 나섰습니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포로생활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있어 자신의 말에 대한 걱정에 사로잡혔습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바로에게 이야기하라고 하셨지만 모세는 자신이 말주변이 없다며 버텼습니다(출애굽기 4:10). 그러나 하나님은 그에게 “누가 사람의 입을 지었느냐”고 물으시며, “내가 네 입과 함께 있어서 할 말을 가르치리라”고 하시며 모세를 안심시키셨습니다(11-12절).

하나님의 이런 반응은 우리가 여러 가지로 부족해도 우리를 통해 하나님이 강력하게 역사하실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줍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것을 마음으로는 알고 있어도 그렇게 살아가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모세도 계속 씨름하며 하나님께 다른 사람을 보내 달라고 간청했습니다(13절). 그러자 하나님은 모세의 형 아론이 모세와 동행하도록 허락하셨습니다(14절).

우리 각자는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목소리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두려울 수도 있고, 자신이 없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적절한 말을 찾지 못할 거라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그런 감정을 잘 알고 계시는 하나님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섬기고 하나님의 일을 완수하는데 필요한 말과 모든 것을 공급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4:10-17
내가 네 입과 함께 있어서 할 말을 가르치리라
[출애굽기 4:12]

하나님은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우리의 말을 어떻게 사용하기를 원하실까요?
우리가 두려워하고 약할 때에도 하나님께서 우리를 통해 일하신다는 사실이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오늘 저희 목소리를 사용하여 주님을 어떻게 섬길 수 있는지를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11/15/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1–2; HEBREWS 11:1–19
Hymn: 213(old 348)

USING YOUR VOICE

Since age eight, Lisa had struggled with a stammer and became afraid of social situations that required her to talk with people. But later in life, after speech therapy helped her overcome her challenge, Lisa decided to use her voice to help others. She began volunteering as a counselor for an emotional distress telephone hotline.

Moses had to face his concerns about speaking to help lead the Israelites out of captivity. God asked him to communicate with Pharaoh, but Moses protested because he didn’t feel confident in his speaking ability (EXODUS 4:10). God challenged him, “Who gave human beings their mouths?” Then He reassured Moses saying, “I will help you speak and will teach you what to say” (VV. 11–12).

God’s response reminds us that He can work powerfully through us even in our limitations. But even when we know this in our hearts, it can be hard to live it out. Moses continued to struggle and begged God to send someone else (V. 13). So God allowed Moses’ brother Aaron to accompany him (V. 14).

Each of us has a voice that can help others. We may be afraid. We may not feel capable. We may feel we don’t have the right words.

God knows how we feel. He can provide the words and all we need to serve others and accomplish His work.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EXODUS 4:10–17
I will help you speak and will teach you what to say.
[ EXODUS 4:12 ]

How might God want to use your words to help others?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that He works through us even in our fear and weaknesses?

Dear God, please show me how I can serve You with my voice today.

오늘의 말씀

11/14/2022     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애가 3-5; 히브리서 10:19-39
찬송가: 419(통478)

하나님의 사랑

1917년, 재정난에 시달리던 캘리포니아 주의 사업가 프레드릭 리먼은 “그 크신 하나님의 사랑”이라는 찬송가 가사를 썼습니다. 영감을 받았던 그는 첫 두 절을 빠르게 써 내려갔지만 삼 절에서 막혀 버렸습니다. 그때 몇 년 전 교도소 벽에서 발견된 시가 떠올랐습니다. 한 죄수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사무침을 표현하며 돌에 새겨 놓은 시였습니다. 리먼은 자신의 찬송가와 같은 운율을 가진 이 시를 삼 절에 사용했습니다.

리먼과 교도소의 시인처럼 우리도 힘든 시련을 마주할 때가 있습니다. 절망스러울 때에는 우리도 시편 기자 다윗의 말처럼 “[하나님의] 날개 그늘 아래로 피하는”(시편 57:1, 새번역) 것이 좋습니다. 우리의 문제들을 가져와
“하나님께 부르짖고”(2절),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시련과 “사자들 가운데에서” (4절) 느끼는 두려움을 주님께 말해도 괜찮습니다. 우리는 곧 하나님이 지난날 베풀어 주셨던 것을 기억하고, 다윗과 같이 우리도 “내가 노래하고 내가 찬송하리이다... 내가 새벽을 깨우리로다”(7-8절)라고 고백하게 될 것입니다.

이 찬송가는 “그 크신 하나님의 사랑, 저 높고 높은 별을 넘어”라고 선포합니다. 진실로 우리가 가장 어려운 바로 그 순간,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이 실로 얼마나 큰지, 정말 “하늘에 미치는”(10절) 그 사랑을 깨닫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57
무릇 주의 인자는 커서 하늘에 미치고 주의 진리는 궁창에 이르나이다
[시편 57:10]

당신이 오늘 마주한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이 전에 당신에게 어떻게 베풀어 주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지금 어려운 일을 겪고 있지만 제 일생 동안 베풀어 주신 하나님의 사랑과 예비하심을 기억하며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1/14/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LAMENTATIONS 3–5; HEBREWS 10:19–39
Hymn: 419(old 478)

THE LOVE OF GOD

In 1917, Frederick Lehman, a California businessman beset by financial setbacks, wrote the lyrics to the hymn, “The Love of God.” His inspiration led him quickly to pen the first two stanzas, but he got stuck on the third. He recalled a poem that had been discovered years earlier, written on the walls of a prison. A prisoner had scratched it there into the stone, expressing a deep awareness of God’s love. The poem happened to be in the same meter as Lehman’s hymn. He made it his third stanza.

There are times when we face difficult setbacks as did Lehman and the poet in the prison cell. In times of despair, we do well to echo the psalmist David’s words and “take refuge in the shadow of [God’s] wings” (PSALM 57:1). It’s okay to “cry out to God” with our troubles (V. 2), to speak to Him of our current ordeal and the fears we have when “in the midst of lions” (V. 4). We’re soon reminded of the reality of God’s provision in times past, and join David who says, “I will sing and make music. . . . I will awaken the dawn” (VV. 7–8).

“The love of God is greater far,” this hymn proclaims, adding “it goes beyond the highest star.” It’s precisely in our time of greatest need when we’re to embrace how great God’s love really is—indeed “reaching to the heavens” (V. 10).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PSALM 57
Great is your love, reaching to the heavens; your faithfulness reaches to the skies.
[ PSALM 57:10 ]

What are the difficulties you face today?
How has God provided for you in times past?

Loving God, I am facing difficult matters, but I am reminded of Your love for me and Your provision throughout my life. Thank You.

오늘의 말씀

11/13/2022     주일

성경읽기: 예레미야애가 1-2; 히브리서 10:1-18
찬송가: 304(통404)

작은 친절

아만다는 여러 양로원을 돌아다니며 일하는 방문 간호사인데, 종종 열한 살 난 딸 루비를 데리고 일하러 갑니다. 루비는 무언가 할 일을 찾다가 양로원에서 지내는 사람들에게 “무엇이든 세 가지를 가질 수 있다면 무엇을 갖고 싶으세요?”라고 묻고는 그들의 대답을 노트에 적었습니다. 놀랍게도 대다수 사람들의 소원은 비엔나소시지, 초콜릿 파이, 치즈, 아보카도와 같은 사소한 것들이었습니다. 그래서 루비는 그들의 작은 소원들을 이루어주려고 모금을 시작했습니다. 루비는 맛있는 것들을 전해줄 때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그들을 안아 줍니다. “이걸 드시면 힘을 얻으실 거예요. 정말로요.”

우리가 루비가 한 것처럼 긍휼과 친절을 베푼다면 “은혜로우시며 긍휼이 많으시며... 인자하심이 크신”(시편 145:8) 우리 하나님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우리가 하나님의 사람들로서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어야”(골로새서 3:12)한다고 힘주어 말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큰 긍휼을 보여주셨기 때문에 우리는 당연히 주님의 긍휼을 다른 이들과 나누기를 갈망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힘써 그렇게 하면, 우리자신이 “긍휼의 옷을 차려입게” 됩니다.

바울은 계속해서 말합니다.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더하라 이는 온전하게 매는 띠니라”(14절). 그리고 모든 선한 것들이 다 하나님으로부터 온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무엇을 하든지...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라”(17 절)고 일깨워 줍니다. 우리가 다른 이들에게 친절을 베풀면 우리의 영혼이 힘을 얻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7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고
[골로새서 3:12]

당신은 누군가의 친절을 언제 받아보았습니까?
당신은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풀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저희에게 넘쳐흐르는 무한한 친절을 베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도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을 베풀며 기뻐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3/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LAMENTATIONS 1–2; HEBREWS 10:1–18
Hymn: 304(old 404)

SMALL KINDNESSES

Amanda works as a visiting nurse who rotates among several nursing homes—often bringing her eleven-year-old daughter Ruby to work. For something to do, Ruby began asking residents, “If you could have any three things, what would you want?” and recording their answers in her notebook. Surprisingly, many of their wishes were for little things—Vienna sausages, chocolate pie, cheese, avocados. So Ruby set up a GoFundMe to help her provide for their simple wishes. And when she delivers the goodies, she doles out hugs. She says, “It lifts you. It really does.”

When we show compassion and kindness like Ruby’s, we reflect our God who “is gracious and compassionate . . . and rich in love” (PSALM 145:8). That’s why the apostle Paul urged us, as God’s people, to “clothe [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COLOSSIANS 3:12). Because God has shown great compassion to us, we naturally long to share His compassion with others. And as we do so intentionally, we “clothe” ourselves in it.

Paul goes on to tell us: “over all these virtues put on love, which binds them all together in perfect unity” (V. 14). And he reminds us that we are to “do it all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V. 17), remembering that all good things come from God. When we’re kind to others, our spirits are lifted.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COLOSSIANS 3:12–17
Clothe y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 COLOSSIANS 3:12 ]

When have you been the benefactor of someone’s kindness?
How can you show kindness to another?

Jesus, thank You for showing me overflowing, unlimited kindness.
Help me to find joy in doing kind acts for others.

오늘의 말씀

11/12/2022     토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51-52; 히브리서 9
찬송가: 321(통351)

둘 다 맞습니다

펭 루루는 30년이 지나서 자기 친가족과 다시 만났습니다. 어렸을 때 집 밖에서 놀다가 유괴를 당한 그녀는 중국 총 여성 연맹의 도움으로 마침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펭 루루는 너무 어릴 때 유괴되었기 때문에 그 사실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그녀는 부모가 양육할 여력이 없어서 자신을 팔았다고 믿으며 자랐습니다. 그래서 사실을 알게 되자 많은 의문과 함께 여러가지 감정이 솟구쳤습니다.

요셉이 형들과 재회했을 때에도 아마 여러 가지 감정으로 마음이 복잡했을 것입니다. 그는 어렸을 때 형들에 의해 이집트에 노예로 팔려 갔습니다. 우여 곡절의 삶을 고통스럽게 계속 겪었지만, 하나님은 요셉을 높은 권세의 자리에 앉게 하셨습니다. 기근으로 이집트에 양식을 사러 온 형들은 이런 사실을 꿈에도 모른 채 요셉에게 양식을 구했습니다.

요셉은 하나님이 형들의 과오를 속량해 주셨음을 알고 “하나님이 큰 구원으로 [그들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그렇게 사용하셨다고 말했습니다 (창세기 45:7). 그러나 요셉은 자신에게 했던 형들의 그 마음 아픈 행동을 다른 식으로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그 행동을 정확하게 “[그를] 팔았다”(5절) 고 표현했습니다.

우리는 때때로 어려운 상황에 대해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감정적인 어려움을 인정하지 않은 채 하나님이 그 상황에서 주시는 좋은 일에만 초점을 맞추려고 합니다. 하나님이 속량하셨다는 이유만으로 잘못을 좋은 것으로 재정의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잘못된 행동으로 말미암은 고통을 인정하면서, 또 동시에 좋은 일을 가져다주시는 하나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둘 다 맞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45:3-11
하나님이 생명을 구원하시려고 나를 당신들보다 먼저 보내셨나이다
[창세기 45:5]

당신은 언제 다른 사람의 잘못으로 어려움을 겪어 보았습니까?
그 어려움을 통해 하나님이 어떻게 선을 이루시는 것을 보았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희 상처를 사랑으로 어루만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12/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51–52; HEBREWS 9
Hymn: 321(old 351)

BOTH ARE TRUE

After three decades, Feng Lulu was reunited with her birth family. As a toddler, she was kidnapped while playing outside her house, but through the help of All-China Women’s Federation, she was finally located. Because she was so young when she was abducted, Feng Lulu doesn’t remember it. She grew up believing she’d been sold because her parents couldn’t afford to keep her, so learning the truth surfaced many questions and emotions.

When Joseph was reunited with his brothers, it’s likely he experienced some complex emotions. He’d been sold by his brothers into slavery in Egypt as a young man. Despite a series of painful twists and turns, God propelled Joseph to a position of authority. When his brothers came to Egypt to buy food during a famine, they—unwittingly—sought it from him.

Joseph acknowledged that God redeemed their wrongdoing, saying He used it to “save [their] lives by a great deliverance” (GENESIS 45:7). Yet Joseph didn’t redefine their hurtful actions toward him—he described them accurately as “selling [him]” (V. 5).

We sometimes try to put an overly positive spin on difficult situations, focusing on the good God brings from them without acknowledging the emotional struggle. Let’s take care not to redefine a wrong as being good simply because God redeemed it: we can look for Him to bring good from it while still recognizing the pain wrongdoing causes. Both are true.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GENE SIS 45:3–11
It was to save lives that God sent me ahead of you.
[ GENESIS 45:5 ]

When have you experienced hardship as a result of another’s wrongdoing?
How have you seen God bring good from it?

Father God, thank You for lovingly tending to my wound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