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11/2022 주일
선한 것을 굳게 잡으라
달라붙은 도꼬마리를 조심스럽게 떼어내다 보면 예수님을 믿는 자들에게 “선한 것을 굳게 잡으라”(로마서 12:9, 새번역)고 충고한 말씀이 종종 생각납니다.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려다 보면 어려운 일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온 힘을 다해 선에 속하도록 성령이 도와주실 때,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악을 물리치고 “거짓이 없는” 사랑을 할 수 있습니다(9절).
도꼬마리 씨앗은 그저 손으로 한번 털어서는 떨어지지 않고, 계속 매달려 있습니다. 선한 것에 초점을 맞추고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과 계명에 우리의 마음을 둘 때, 우리도 하나님의 능력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꼭 붙어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보다 다른 이들의 필요를 먼저 생각할 때 하나님은 “형제를 사랑하며 서로 우애하도록” 도우십니다(10절).
물론 도꼬마리는 귀찮은 것일 수도 있지만, 나는 그것들을 통해 사랑으로 다른 이들을 붙들고 하나님의 능력으로 “선한 것”을 굳게 붙잡아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게 됩니다(9절; 빌립보서 4:8-9 참조).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13사랑에는 거짓이 없나니 악을 미워하고 선에 속하라 [로마서 12:9]
선에 속하면 어려움을 주는 친구나 가족을 사랑할 때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거짓 없는 사랑이 어떻게 포기하지 않는 사랑도 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저의 온 힘을 다해 선에 속하게 하소서.
당신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길 원합니다.
Daily Article
12/11/2022 SUNDAY
CLINGING TO WHAT’S GOOD
As I try to carefully remove clinging cockleburs, I’ve often thought about the message that admonishes believers in Jesus to “cling to what is good” (ROMANS 12:9). When we’re trying to love others, it can be challenging. However, as the Holy Spirit helps us hold on to what’s good with all we have, we can repel evil and be “sincere” in our love as He guides us (V. 9).
Cocklebur seeds don’t fall off with a mere brush of the hand, they hang on to you. And when we focus on what’s good, keep- ing our mind on God’s mercy, compassion, and commands, we too—in His strength—can hang on tightly to those we love. He helps us stay “devoted to one another in love,” remembering to place other’s needs before our own (V. 10).
Yes, those cockleburs can be challenging, but they also remind me to cling to others in love and by God’s power to grip tightly “what is good” (V. 9; SEE ALSO PHILIPPIANS 4:8–9).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ROMANS 12:9–13Love must be sincere. Hate what is evil; cling to what is good. [ ROMANS 12:9 ]
How can clinging to what’s good help you love a
challenging friend or family member? How is sincere love
also a tenacious love?
Remind me to cling with all my might to what’s good, Jesus.
I desire to reflect Your love to others.
오늘의 말씀
12/10/2022 토요일
피난처로 달려감
불이 난 것이 아니고 화재경보기가 잘못 울렸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위기를 느낀 아이들이 부끄럼도 잊은 채 자기 부모의 품으로 달려가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두려울 때에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사람들을
믿고 찾는 생생한 모습이었으니까요!
성경은 다윗이 큰 두려움에 처했던 일을 기록합니다. 사울과 많은 적들이 그를 추격했습니다(사무엘하 22:1). 자기를 안전한 곳으로 인도하신 하나님께 감사하였던 다윗은 그 도우심을 찬양하는 아름다운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는 하나님을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요새시요 나를 위하여 나를 건지시는 자”라고 불렀습니다(2절). “스올의 줄”과 “사망의 올무”(6절) 가 따라다니며 괴롭힐 때, 다윗이 하나님께 “아뢰었더니” 그의 “부르짖음이 [하나님의] 귀에 들렸습니다”(7절). 마침내 다윗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구해주셨다”고 선포했습니다(18, 20, 49절).
두렵고 불확실한 때에 우리는 “반석”(32절)이신 하나님께 달려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부를 때 그분만이 우리에게 필요한 피난처와 쉴 곳을 마련해 주십니다(2-3절).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2:1-7여호와는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높은 망대시요 나의 피난처시요 나의 구원자시니라 [사무엘하 22: 2-3]
요즘 당신에게 어떤 두려움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어떻게 그 두려움을 마주하며 극복하도록 도와 주실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두려울 때에는 주님을 신뢰하고 의지하고
주의 이름을 찬양하도록 일깨워 주소서.
Daily Article
12/10/2022 SATURDAY
RUNNING TO OUR SHELTER
There was no fire; the alarm had accidentally been activated. But as I watched, I was struck by the way the children—sensing a crisis—unashamedly ran to embrace their parents. What a picture of confidence in those who could provide a sense of safety and reassurance in a time of fear!
Scripture presents a time when David experienced great fear. Saul and numerous other enemies (2 SAMUEL 22:1) pursued him. After God delivered David to safety, the grateful man sang an eloquent song of praise about His help. He called God “my rock, my fortress and my deliverer” (V. 2). When the “cords of the grave” and “the snares of death” (V. 6) hounded him, David “called out” to God and his “cry came to [God’s] ears” (V. 7). In the end, David proclaimed He “rescued me” (VV. 18, 20, 49).
In times of fear and uncertainty, we can run to the “Rock” (V. 32). As we call on God’s name, He alone provides the refuge and shelter we need (VV. 2–3). - DAVE BRANON
Today's Reading
2 SAMUEL 22:1–7The Lord is my rock, . . . He is my stronghold, my refuge and my savior. [ 2 SAMUEL 22:2–3 ]
What fear are you dealing with these days?
How can God help you face it and deal with it?
Dear God, when I’m afraid, remind me to trust You—
to depend on You—and praise Your name.
오늘의 말씀
12/09/2022 금요일
짐을 가볍게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교회의 지체로서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친밀하게 개인적으로 다가갈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자매 된 우리의 관계는 얼마나 오래 사귀었는지, 얼마나 공통점이 있는지와 상관이 없습니다. 그보다는 바울이 말한 대로 우리가 “서로 짐을 지는가” 하는 것입니다(갈라디아서 6:2). 하나님의 능력에 의지하여 우리는 듣고 공감하고 할 수 있는 한 도우며 기도합니다. 우리는 “모든 사람에게, 특히 믿는 자들에게 선을 행하는”(10절)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바울은 우리가 그렇게 할 때 그리스도의 법(2절), 곧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을 이루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삶의 짐은 무거울 수 있지만 하나님은 그 짐을 가볍게 하기 위해 우리에게 교회 가족을 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6:1-10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라 [갈라디아서 6:2]
당신 주변에 누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까?
오늘 어떻게 그들의 짐을 가볍게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어떤 상황에서도 저와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오늘 하나님처럼 사람들을 사랑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09/2022 FRIDAY
LIGHTEN THE LOAD
transparency. We cried and prayed together, and what started as a group of strangers became a group of close friends in a matter of weeks.
As part of the church body, believers in Jesus are able to come alongside people in their suffering in a deep and personal way. The relational ties that bind together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aren’t dependent on the length of time we’ve known each other or the things we have in common. Instead, we do what Paul calls “[carrying] each other’s burdens” (GALATIANS 6:2). Relying on God’s strength, we listen, we empathize, we help where we can, and we pray. We can look for ways to “do good to all people, especially to those who belong to the family of believers” (V. 10). Paul says that when we do so, we fulfill the law of Christ (V. 2): to love God and love our neighbor as ourselves. The burdens of life can be heavy, but He’s given us our church family to lighten the load. - KAREN PIMPO
Today's Reading
GALATIANS 6:1–10Carry each other’s burdens, and in this way you will fulfill the law of Christ. [ GALATIANS 6:2 ]
Who’s suffering around you?
How can you lighten their load today?
Dear God, thank You for walking alongside me no matter
what I face. Help me love others in that way today.
오늘의 말씀
12/08/2022 목요일
패스트푸드를 통한 격려
바로 그때 마리아는 부유한 지주 보아스가 가난한 이민자 과부를 초청하여 밭에서 이삭을 줍게 했던 룻기의 이야기가 생각났습니다. 그는 하인들에게 명했습니다. “그에게 곡식 단 사이에서 줍게 하고 책망하지 말며 또 그를 위하여 곡식 다발에서 조금씩 뽑아 버려서 그에게 줍게 하고 꾸짖지 말라” (룻기 2:15-16). 여성이 살아가려면 남성에게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문화에서 보아스는 하나님이 사랑으로 공급하는 그런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결국
보아스는 룻과 결혼하여 그녀를 어려운 형편으로부터 구해주었습니다(4:9-10).
마리아는 자리에서 일어나 손대지 않은 감자튀김 한 봉지를 근처 테이블에 놓으면서 그 남자와 눈을 마주쳤습니다. 그가 배고프다면 그녀의 “패스트푸드 밭”에서 주울 수 있게 한 것입니다. 이렇게 사람들을 격려하는 창의적인 방법들을 보여주는 성경의 이야기들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마음을 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2:15-20여호와께서 네가 행한 일에 보답하시기를 원하며... 그의 날개 아래에 보호를 받으러 온 네게 온전한 상 주시기를 원하노라 [룻기 2:12]
지금 주변에 당신의 풍족한 삶으로 초대해서 무언가를 “줍게” 할 사람이 있습니까? 주변에 궁핍한 사람을 보고 하나님의 마음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 구하십시오.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저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야 할 사람을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12/08/2022 THURSDAY
FAST-FOOD ENCOURAGEMENT
Just then Maria remembered the story of Ruth where Boaz, a wealthy landowner, invited the impoverished immigrant widow to glean from his fields. He ordered his men: “Let her gather among the sheaves and don’t reprimand her. Even pull out some stalks for her from the bundles and leave them for her to pick up, and don’t rebuke her” (RUTH 2:15–16). In a culture where women were utterly dependent on their connection to men for survival, Boaz demonstrated God’s loving provision. Eventually, Boaz married Ruth, redeeming her from her serious need (4:9–10).
As Maria rose to leave, she placed her untouched packet of fries on a nearby table, meeting the man’s eyes as she did so. If he was hungry, he might glean from her “fast-food field.” God’s heart is revealed in the stories of Scripture as they illustrate creative solutions to encourage.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RUTH 2:15–20May you be richly rewarded by the Lord . . . under whose wings you have come to take refuge. [ RUTH 2:12 ]
Is there someone around you today that you might invite to “glean” from the abundance in your life? Ask God to reveal the needs around you that you might respond with His heart.
Dear Father, show me who needs me to extend Your love to them today.
오늘의 말씀
12/07/2022 수요일
반드시 찾아내시는 하나님
그 사람을 그저 뒤따라 걸어감으로써 시작된 일이 전혀 다른 어떤 것으로 바뀐 것입니다. 잘 알고 있는 시편 23편의 마지막 구절,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6절)에서 대부분의 영어 번역은 따른다는
뜻으로 ‘follow’란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Follow”란 단어가 맞는 번역이긴 하지만 실제로 사용된 히브리어 단어는 더 강하고 공격적입니다. 이 단어는 마치 포식자가 먹이를 쫓는 것처럼 (양을 쫓는 늑대를 생각해 보십시오)
문자 그대로 “추격하다 또는 뒤쫓다”를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선하심과 사랑은 그저 서두르지 않고 여유롭게 우리를 따라오는 것이 아닙니다. 그와는 아주 달리, 목적을 가지고 “반드시” 우리를 추격하고 뒤쫓아옵니다. 지갑을 돌려주려고 그 남자를 뒤쫓아갔던 것과 마찬가지로,
선한 목자이신 하나님도 영원한 사랑으로 우리를 뒤쫓아오십니다(1, 6절).
오늘의 성구
시편 23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내가 여호와의 집에 영원히 살리로다 [시편 23:6]
하나님의 선하심이 실제로 당신을 맹렬히 뒤쫓고 있다고 믿으십니까? 성경에 “반드시”라고 기록되어 있는데도 믿지 않는다면 왜 그렇습니까?
선한 목자이신 주님, 주님의 선하심과 사랑으로 항상 저를 추적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2/07/2022 WEDNESDAY
GOD’S SURE PURSUIT
What began as following after that man turned into something quite different. Most English translations use the word follow in the final verse of the familiar Psalm 23—“Surely your goodness and love will follow me” (V. 6). And while “follow” fits, the actual Hebrew word used is more forceful, aggressive even. The word literally means “to pursue or chase,” much like a predator pursues his prey (think of a wolf pursuing sheep).
God’s goodness and love don’t merely follow along after us at a casual pace, in no real hurry. No, “surely” we are being pursued—chased even—with intention. Much like pursuing a man to return his wallet, we’re pursued by the Good Shepherd who loves us with an everlasting love (VV. 1, 6). -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23Surely your goodness and love will follow me all the days of my life. [ PSALM 23:6 ]
Do you believe God’s goodness is actually pursuing you? If not, why not, since Scripture includes the word surely?
Good Shepherd, thank You that Your goodness and love pursue me always.
오늘의 말씀
12/06/2022 화요일
큰 기대
성경은 나이가 많아도 여전히 희망을 품을 수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요셉과 마리아가 아기 예수를 성전으로 데려가서 봉헌할 때 (누가복음 2:23; 출애굽기 13:2, 12 참조), 믿음을 지키던 나이 지긋한 두 사람이
갑자기 무대 중앙에 등장합니다.
먼저, 메시아를 보기 위해 오래도록 기다려온 시므온이 “[예수]를 안고 하나님을 찬송”하며 말했습니다. “주재여 이제는 말씀하신 대로 종을 평안히 놓아 주시는도다 내 눈이 주의 구원을 보았사오니 이는 만민 앞에 예비하신 것이요”(누가복음 2:28-31).
그리고 나서, 나이가 “매우 많은” 선지자 안나(36절)가 시므온이 마리아와 요셉과 이야기하고 있을 때 다가왔습니다. 결혼한 지 7년 만에 과부가 되어 84 세가 될 때까지 성전에서 살고 있었던 안나는 “주야로 금식하며 기도함으로 섬기면서” 절대 그곳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아기 예수를 보자 하나님을 찬양하며, “예루살렘의 속량을 바라는 모든 사람에게 그 아이”에 대하여 말하기 시작했습니다(37-38절).
소망을 간직하고 있었던 이 두 사람의 하나님의 종들을 통해 우리도 나이와 상관없이 큰 기대를 가지고 하나님을 끝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25-32, 36-38마침 이 때에 나아와서 하나님께 감사하고 예루살렘의 속량을 바라는 모든 사람에게 그에 대하여 말하니라 [누가복음 2:38]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해 나이 든 선배 신앙인들에게서 무엇을 배웠습니까? 그분들의 소망이 당신에게 어떤 영감을 줍니까?
신실하신 하나님 아버지, 희망이 안 보일 때에 하나님을 기대하며 기다릴 수 있도록 일깨워 주소서.
Daily Article
12/06/2022 T U E S DAY
GREAT EXPECTATIONS
The Bible inspires us to see that advanced age can motivate our hope. As the infant Jesus is brought to the temple by Joseph and Mary, to be consecrated (LUKE 2:23; SEE EXODUS 13:2, 12), two elderly believers suddenly take center stage.
First, Simeon—who’d been waiting for years to see the Messiah—“took [Jesus] in his arms and praised God, saying: ‘Sovereign Lord, as you have promised, you may now dismiss your servant in peace. For my eyes have seen your salvation, which you have prepared in the sight of all nations’ ” (LUKE 2:28–31).
Then Anna, a “very old” prophet (V. 36), came along just as Simeon was talking with Mary and Joseph. A widow who’d been married only seven years, she’d lived in the temple to age eighty-four. Never leaving, she “worshiped night and day, fasting and praying.” When she saw Jesus, she began praising God, explaining about “the child to all who were looking forward to the redemption of Jerusalem” (VV. 37–38).
These two hopeful servants remind us to never stop waiting on God—no matter our age—with great expectations.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LUKE 2:25–32, 36–38She . . . spoke about the child to all who were looking forward to the redemption of Jerusalem. [ LUKE 2:38 ]
What lessons have you learned from elderly believers about God’s faithfulness? How does their hopefulness inspire you?
Dear faithful Father, when I lose hope, remind me to wait expectantly for You.
오늘의 말씀
12/05/2022 월요일
매일 의지함
사람의 관점에서 볼 때 아이들은 의존 단계에서 독립 단계로 성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성숙함은 독립 단계에서 하나님께 의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도란 바로 우리가 하나님께 의존하는 행위입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그를 믿게 된 우리 모두에게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마태복음 6:11)라고 기도하라고 하신 것은 바로 의지하는 기도를 가르치셨던 것입니다. 일용할 양식이란 생계와 구원과 인도하심을 달리 표현한 것입니다(11-13절). 우리는 이것뿐 아니라 더 많은 것들을 하나님께 의지합니다.
자기 힘으로 예수님을 믿을 수 있는 사람은 없고, 그의 은혜를 떠나 살 수 있는 사람도 없습니다. 평생 동안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라고 기도하면서 항상 의지하는 자세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9절).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6-13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마태복음 6:11]
오늘 당신은 어떤 “양식”을 위해 기도하고 있습니까?
하나님을 부를 때 그분을 의지하는 마음을 무슨 말로 표현합니까?
나의 창조주이시며 나를 지켜주는 분이신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을 신뢰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05/2022 MONDAY
DAILY DEPENDENCE
In human terms, children are meant to grow from dependence to independence. But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maturity means moving from independence to dependence on Him. Prayer
is where we practice such dependent ways. When Jesus taught His disciples—and all of us who have come to believe in Him—to pray, “Give us today our daily bread” (MATTHEW 6:11), He was teaching a prayer of dependence. Bread is a metaphor for sustenance, deliverance, and guidance (VV. 11–13). We’re dependent on God for all that and more.
There are no self-made believers in Jesus, and we’ll never graduate from His grace. Throughout our lives, may we always begin our day by taking the posture of dependence as we pray to “our Father in heaven” (V. 9).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MAT THEW 6:6–13Give us today our daily bread.
[ MATTHEW 6:11 ]
What’s the “bread” you’re praying for today?
How do you reveal your trust in God as you call out to Him?
Dear Jesus, You’re my Creator and my Sustainer. Please help me to trust in You.
오늘의 말씀
12/04/2022 주일
사랑의 수고
때로 주변 사람들이 우리를 몰라주거나 평가절하하고 인정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의 지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일을 맡기실 때 세상의 관심이나 인정에 초점을 두지 말고 오직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라”(골로새서 3:23)고 가르칩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것에 집중하면 아무리 힘든 일이라도 주님의 능력과 인도하심 가운데 열정과 기쁨으로 해낼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세상의 인정을 받는 것에 덜 신경 쓰게 되고 주님만 주실 수 있는 상급을 향해 더욱 열심을 낼 수 있습니다(24절).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23-24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골로새서 3:23]
당신의 선행을 남이 몰라준다고 느꼈던 적이 있습니까?
모든 활동의 중심을 하나님께 두고 꾸준히 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주님을 섬기는 선한 일에 불러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명하신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04/2022 SUNDAY
A LABOR OF LOVE
There are times when we’ll be overlooked, devalued, or unappreciated by those around us. Biblical wisdom reminds us, however, that when God has called us to a task, we shouldn’t focus on gaining worldly approval and recognition but should instead “work at it with all [our] heart, as working for the Lord” (COLOSSIANS 3:23). When we focus on serving God, we’re able to accomplish even the most difficult tasks with fervor and gladness in His power and leading. We can then become less concerned with receiving earthly recognition and become more eager to receive the reward only He can provide (V. 24).
- KIMYA LODER
Today's Reading
COLOSSIANS 3:23–24Whatever you do, work at it with all your heart, as working for the Lord.
[ COLOSSIANS 3:23 ]
When have you felt the good you did went overlooked?
How can you practice keeping God at the forefront of your activities?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calling me to do good things for You.
Help me to focus on what You’ve called me to do.
오늘의 말씀
12/03/2022 토요일
크리스마스 불꽃
불타는 듯한 나무를 보면서 나는 모세가 불타는 떨기나무에서 하나님을 만난 것을 생각했습니다. 모세는 광야에서 양을 치다가 불에 타면서도 그대로 있는 떨기나무를 보고 놀랐습니다. 떨기나무 덤불에 가까이 가서 무슨 일인가 알아보려는 모세를 하나님이 부르셨습니다. 불타는 떨기나무의 메시지는 심판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을 위한 구원의 메시지였습니다. 하나님은 애굽에서 종살이하는 그의 백성들의 곤경과 비참함을 보시고 “내려가서 그들을 건져 내셨습니다”(출애굽기 3:8).
하나님께서 애굽 사람들에게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하셨지만, 여전히 모든 인류는 육체적 고통에서뿐 아니라 악과 죽음이 이 세상에 가져온 결과로부터 구원이 필요했습니다. 수백 년이 지나 하나님은 빛이신 그의 아들 예수님을 보내심으로 응답하셨는데(요한복음 1:9-10), 이는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시기”(3:17) 위해서였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4-10내가 애굽에 있는 내 백성의 고통을 분명히 보고... 내가 내려가서 그들을 건져내고
[출애굽기 3:7-8]
예수님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의 섭리를 어떻게 찬양할 수 있습니까?
우리를 주님께로 인도하는 다른 전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세상의 빛이신 예수님을 보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2/03/2022 SATURDAY
CHRISTMAS LIGHT
As I watched the tree appear to burn, I thought of Moses’ encounter with God in the burning bush. While tending sheep in the wilderness, Moses was surprised by a flaming bush that was somehow not consumed by the flames. As he approached the bush to investigate, God called to him. The message from the burning bush was not one of judgment but of rescue for the people of Israel. God had seen the plight and misery of His people who were enslaved in Egypt and had “come down to rescue them” (EXODUS 3:8).
While God rescued the Israelites from the Egyptians, all of humanity still needed rescue—not just from physical suffering but also from the effects that evil and death brought into our world. Hundreds of years later, God responded by sending down the Light, His Son, Jesus (JOHN 1:9–10), sent not “to condemn the world, but to save the world through him” (3:17).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EXODUS 3:4–10I have indeed seen the misery of my people in Egypt. . . . So I have come down to rescue them.
[ EXODUS 3:7–8 ]
How can you celebrate God’s provision of rescue through Jesus?
What other traditions point you to Him?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sending Jesus, the Light of the world.
오늘의 말씀
12/02/2022 금요일
당신의 성품
“나는 이제 내 소명이 무엇인지도 모르겠어.” 의기소침한 나는 리암에게 말했습니다.
“여기서 방송하는 것 아니야?”라고 묻는 리암에게 나는 아니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런데 너희 결혼생활은 어떻니?”
그가 갑자기 화제를 바꾸자 나는 놀라며, 메린과 잘 지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상심되는 일을 함께 겪었지만 그 시련을 통해 더 가까워졌던 것입니다.
“헌신은 복음의 핵심이지.” 리암은 미소를 지으며 말했습니다. “너희 같은 헌신적인 결혼생활을 세상이 다 알아야 히는데! 잘 모르겠지만, 너희는 일보다 삶 자체로 벌써 세상에 영향을 주고 있어.”
디모데가 사역을 하며 어려운 일로 실의에 빠졌을 때 바울 사도는 그에게 일에 관한 목표를 제안하기보다는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을 통해 본을 보이면서 경건한 삶을 살라고 권면했습니다(디모데전서 4:12-13, 15). 그래서 디모데는 신실한 삶의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었습니다.
우리의 성품이 무엇보다 중요한 데도 우리는 직업에서의 성공을 가지고 우리의 삶을 평가하기 쉽습니다. 성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나는 잊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진실한 말 한마디, 은혜로운 행동 하나, 나아가 헌신적인 결혼생활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것들을 통해 하나님의 선하심이 세상에 감동을 전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4:12-16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에 있어서 믿는 자에게 본이 되어
[디모데전서 4:12]
당신의 삶에 누가, 어떤 성품으로 감동을 주었습니까?
오늘 어떻게 신실함을 보여주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일보다는 제가 어떤 사람이 되어가는지가 더 중요함을 잊지 않게 하소서. 주님을 더 닮아가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02/2022 FRIDAY
WHO YOU ARE
to start afresh in a new country. Exciting as the move was, it
required my leaving a broadcast career, which I missed. Feeling
lost, I asked my friend Liam for advice.
“I don’t know what my calling is anymore,” I told Liam dejectedly.
“You’re not broadcasting here?” he asked. I said I wasn’t.
“And how is your marriage?”
Surprised at his change of topic, I told Liam that Merryn and
I were doing well. We’d faced heartbreak together but emerged
closer through the ordeal.
“Commitment is the core of the gospel,” he said, smiling. “Oh,
how the world needs to see committed marriages like yours! You
may not realize the impact you’re having already, beyond what
you do, simply by being who you are.”
When a difficult work situation left Timothy dejected, the
apostle Paul didn’t give him career goals. Instead, he encouraged
Timothy to live a godly life, setting an example through his speech,
conduct, love, faith, and purity (1 TIMOTHY 4:12–13, 15). He would
best impact others by living faithfully.
It’s easy to value our lives based on our career success when
what matters most is our character. I had forgotten that. But a
word of truth, a gracious act, even a committed marriage can
bring great change—because through them something of God’s
own goodness touches the world.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TIMOTHY 4:12–16Set an example for the believers in speech, in
conduct, in love, in faith and in purity. [ 1 TIMOTHY 4:12 ]
Who has touched your life and what qualities did they have?
How can you set an example of faithfulness today?
Dear God, help me to remember that the work I do isn’t as important as the person I become. Please make me more like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