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21/2022 수요일
귀한 기도
하지만 이 놀라운 기억력도 우리의 기도를 기억하시는 주님의 능력에 비하면 별것이 아닙니다. 주님께서는 우리가 진심으로 드리는 모든 기도를 기억하시며, 심지어 여러 해가 지난 후에도 응답하실 수 있는 분입니다. 요한계시록에서 요한 사도는 천국에서 주님께 예배드리는 “네 생물”과 “이십사 장로”를 묘사할 때, 각각 “향이 가득한 금 대접을 가졌으니 이 향은 성도의 기도들이라”(5:8)고 이야기합니다.
고대 사회에서 향을 귀하게 여긴 것처럼,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기도를 그분 앞에 놓인 금 대접에 소중히 간직하실 만큼 귀하게 여기십니다! ‘우리’가 주님께 중요한 존재인 만큼 우리의 기도도 주님께 중요합니다. 그리고 받을 자격 없는 우리에게 그리스도를 보내주신 긍휼하심을 통해 우리는 언제든 하나님의 보좌 앞에 나아갈 수 있습니다(히브리서 4:14-16). 그러므로 담대하게 기도합시다! 그리고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으로 인해 단 한 마디의 기도도
잊히거나 실수로 버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잊지 맙시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5:6-10여호와 앞에서 내가 간구한 이 말씀이 주야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가까이 있게 하시옵고 [열왕기상 8:59]
하나님께서 기도를 잊지 않으신다는 사실에 어떤 격려를 받습니까?
오늘 누가 당신의 기도를 필요로 하나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게 성실히 기도할 수 있는 인내와
주님만이 하실 수 있는 것을 구하는 믿음을 주소서.
Daily Article
12/21/2022 WEDNESDAY
TREASURED PRAYER
But even this incredible act of memory pales in comparison with God’s ability to remember our prayers. He’s able to keep track of every sincere prayer and remember and respond to them even years later. In the book of Revelation, the apostle John describes “four living creatures” and “twenty-four elders” worshiping the Lord in heaven. Each one was “holding golden bowls full of incense, which are the prayers of God’s people” (5:8).
Just as incense was precious in the ancient world, our prayers are so precious to God that He keeps them before Him continually, treasured in golden bowls! Our prayers matter to God because we matter to him, and through His undeserved kindness to us in Jesus He offers us uninhibited access (HEBREWS 4:14–16). So pray boldly! And know that not a word will be forgotten or misplaced because of the amazing love of God. - JAMES BANKS
Today's Reading
REVELATION 5:6–10May these words of mine . . . be near to the Lord our
God day and night. [ 1 KINGS 8:59 ]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God never forgets
your prayers? Who do you need to pray for today?
Heavenly Father, please give me the perseverance to pray faithfully
and the faith to look for what You alone can do.
오늘의 말씀
12/20/2022 화요일
저주하지 말라
크래프트의 이 책은 가볍게 읽기에는 아주 재미있습니다. 그러나 고대 모압의 왕은 신비스러운 예언자에게 돈을 주어 이스라엘 사람들을 단순히 모욕할 뿐만 아니라 노골적으로 저주하려고 했습니다. 발락 왕은 발람에게 “와서 나를 위하여 이 백성을 저주하라”고 말했습니다(민수기 22:6). 그런데 오히려 발람은 히브리 백성을 여러 번 축복함으로써 왕을 격분시켰습니다 (24:10). 그의 축복 중 하나는 “내가 그를 보아도 이 때의 일이 아니며 내가 그를 바라보아도 가까운 일이 아니로다”(24:17)와 같은 예언도 있었습니다. 발람이 보는 그 사람은 아직 그곳에 있지 않은 것이 분명합니다. 그렇다면 발람이 말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그 다음 내용에 단서가 있습니다. “야곱에게서 한 별이 나오며 이스라엘에서 한 왕이 일어나”(17절, 현대인의 성경). 그 “별”은 훗날 동방 박사들을 약속된 아기인 예수님께로 데려다주게 됩니다(마태복음 2:1–2).
메시아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한 예언자는 그분의 오심을 나타내는 미래의 징조를 세상에 알렸습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사람에게서 저주가 아닌 축복이 온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24:10-19야곱에게서 한 별이 나오며 이스라엘에서 한 왕이 일어나
[민수기 24:17, 현대인의 성경]
민수기 24장은 크리스마스 이야기를 다른 시각으로 보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나요? 하나님의 일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만날 때
이 말씀으로 어떻게 다르게 대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모든 일에서 역사하시는 당신의 손을
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20/2022 TUESDAY
NO CURSING
Kraft’s light-hearted book is in good fun. But an ancient king of Moab tried to pay a mysterious prophet not merely to insult the Israelites but to outright curse them. “Come and put a curse on these people,” King Balak told Balaam (NUMBERS 22:6). Instead, Balaam enraged the king by blessing the Hebrew people—multiple times (24:10). One of his blessings included this prophecy: “I see him, but not now; I behold him, but not near” (24:17). Clearly the individual in view is not yet on the scene, but just who is Balaam talking about? The next line holds a clue. “A star will come out of Jacob; a scepter will rise out of Israel” (V. 17). The “star” would one day lead wise men to the promised Child (MATTHEW 2:1–2).
An ancient Mesopotamian prophet who knew nothing of Messiah pointed the world to a future sign declaring His arrival. From an unlikely source came not cursing, but blessing.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NUMBERS 24:10–19A star will come out of Jacob;
a scepter will rise out of Israel. [ NUMBERS 24:17 ]
How does Numbers 24 help you see the Christmas story
differently? How might it change the way you act
when you encounter people opposing the work of God?
God, please give me eyes to see
Your hand at work in all things.
오늘의 말씀
12/19/2022 월요일
믿음으로 굳게 서서
유다의 왕 아하스와 그의 백성들은 “숲이 바람에 흔들림 같이”(이사야 7:2) 떨며 두려워했습니다. 그들은 이스라엘과 아람(시리아) 왕의 연합군이 동맹을 맺어 유다를 치러 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5-6절). 하나님께서 이사야를 통해 원수들의 적대적인 계획은 “이루어지지 못하리라”(7절)고 아하스를 격려하셨지만, 두려움에 쌓인 어리석은 지도자는 앗수르와 동맹을 맺고 초강대국의 왕에게 굴복하는 것을 선택했습니다(열왕기하 16:7-8). 그는 “만일 너희가 굳게 믿지 아니하면 너희는 굳게 서지 못하리라”(이사야 7:9)고 분명하게 말씀하신 하나님을 믿지 않았습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또 약속하신 이는 미쁘시니 우리가 믿는 도리의 소망을 움직이지 말며 굳게 잡으라”(10:23)는 말씀을 통해 오늘날 믿음 안에 굳게 서는 것이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해줍니다. 성령님께서 우리에게 예수님을 신뢰하도록 능력을 주실 때 뒤로 물러서지 않고(39절) 계속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7:1-9만일 너희가 굳게 믿지 아니하면 너희는 굳게 서지 못하리라
[이사야 7:9]
당신의 믿음에 도전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당신이 굳건히 서도록 하나님께서 어떻게 힘을 더해 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에게 필요한 믿음을 주셔서 굳게 서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19/2022 MONDAY
STANDING FIRM BY FAITH
King Ahaz of Judah and his people were fearful—“shaken, as the trees of the forest are shaken by the wind” (ISAIAH 7:2). They knew that the kings of Israel and Aram (Syria) had allied, and their combined armies were marching to Judah to take it over (VV. 5–6). Although God used Isaiah to encourage Ahaz by telling him his enemies’ hostile plans would “not happen” (V. 7), the foolish leader fearfully chose to ally with Assyria and submit to the superpower’s king (2 KINGS 16:7–8). He didn’t trust in God, who declared, “If you do not stand firm in your faith, you will not stand at all” (ISAIAH 7:9).
The writer of Hebrews helps us consider what it looks like to stand firm in faith today: “Let us hold unswervingly to the hope we profess, for he who promised is faithful” (10:23). May we press on and not “shrink back” (V. 39) as the Holy Spirit empowers us to trust in Jesus. - TOM FELTEN
Today's Reading
ISAIAH 7:1–9If you do not stand firm in your faith,
you will not stand at all. [ ISAIAH 7:9 ]
When have you experienced a challenge to your faith?
How has God encouraged you to stand firm?
Father, please help me stand firm as You provide the faith I need.
오늘의 말씀
12/18/2022 주일
크리스마스의 기적
이 작은 조각상은 하나님이 그의 아들을 사람의 모습으로 이 땅에 보내신 크리스마스의 기적을 말하고 있었습니다. 장난감을 가지고 놀던 아기 예수의 작은 손은 점점 자라 모세오경을 들었고, 사역을 시작하시기 전까지는 그 손으로 가구를 만드셨습니다. 태어날 때 통통하고 보드라웠던 그의 발은 자라서 예수님이 가르치고 치유를 하러 여러 곳을 다닐 때 쓰였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생애 마지막에는 십자가에 몸을 매달기 위해 이 손과 발에 못이 박히게 됩니다.
로마서 8장 3절에는 “곧 죄로 말미암아 자기 아들을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보내어 육신에 죄를 정하사”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희생을 우리의 모든 죄에 대한 대가로 받아들이고 우리의 삶을 그분께 드린다면
죄의 속박에서 해방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이 몸을 꼬물거리고 발을 차기도 하는 실제 육신의 아기로 오셨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하나님과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길이 있고 그분과 함께 하는 영생의 확신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1-10죄로 말미암아 자기 아들을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보내어
[로마서 8:3]
성탄절에 예수님을 기념하는 것과
크리스마스 절기를 기념하는 것은 어떻게 다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죄와 사망의 속박에서 저를 놓아주시려고
아기 예수님을 사람의 모습으로 이 땅에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2/18/2022 SUNDAY
THE MIRACLE OF CHRISTMAS
The figurine illustrated the miracle of Christmas—that God sent His Son to earth in a human body. As Jesus’ infant body matured, His little hands played with toys, eventually held the Torah, and then fashioned furniture before His ministry began. His feet, once plump and perfect at birth, grew to carry Him from place to place to teach and heal. At the end of His life, these human hands and feet would be pierced with nails to hold His body on the cross.
“In that body God declared an end to sin’s control over us by giving his Son as a sacrifice for our sins,” Romans 8:3 (NLT) says. If we accept Jesus’ sacrifice as payment for all our wrongs and submit our lives to Him, we’ll find relief from sin’s bondage. Because the Son of God was born to us as a real, wiggling, kicking infant, there’s a way to have peace with God and the assurance of an eternity with Him.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ROMANS 8:1–10[God sent] his own Son in the likeness
of sinful flesh to be a sin offering. [ ROMANS 8:3 ]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celebrating Jesus at Christmas
and celebrating the season of Christmas?
Dear God, thank You for sending Jesus to earth as a human baby to
free me from the bondage of sin and death.
오늘의 말씀
12/17/2022 토요일
딱 알맞게
작가 숄렘 알레이헴이 테비에를 통해 이 말을 하기 오래 전에 아굴은 잠언에서 그와 같은 솔직함으로, 그러나 조금 다른 기도를 하나님께 올렸습니다. 아굴은 하나님께 자신을 가난하게도 부유하게도 하지 마시고 오직 “필요한 양식”(잠언 30:8)만 주시기를 간구했습니다. 그는 “배가 부르면” 교만해지고 하나님을 부인하는, 사실상 무신론자처럼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또한 그는 다른 사람의 것을 훔쳐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난하게 되지 않도록” 하나님께 간구했습니다(9절). 하나님이 자신의 유일한 공급자이신 것을 알았던 아굴은 매일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딱 알맞게” 달라고 기도했습니다. 그의 기도는 하나님만을 찾는 삶과 오직 그분 안에만 있는 만족을 표현했습니다.
우리도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은 하나님께서 공급하신다는 것을 인정하는 아굴의 태도를 갖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그분의 이름이 영화롭도록 재정을 관리하면서, “딱 알맞게” 달라고 구한 우리에게 오히려 넘치도록 주시는 하나님
앞에서 만족하며 삽시다.
오늘의 성구
잠언 30:7-9나를 가난하게도 마옵시고 부하게도 마옵시고
오직 필요한 양식으로 나를 먹이시옵소서 [잠언 30:8]
하나님을 찾고 그분 안에서 만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분의 신실하심에 대해 어떻게 감사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우리의 공급자 되시는 하나님께서 공급해 주시는
모든 것에 만족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17/2022 SATURDAY
JUST ENOUGH
Many centuries before author Sholem Aleichem placed these honest words on Tevye’s tongue, Agur lifted an equally honest but somewhat different prayer to God in the book of Proverbs. Agur asked God to give him neither poverty nor wealth—just his “daily bread” (PROVERBS 30:8). He knew that having “too much” could make him proud and transform him into a practical atheist—denying the character of God. In addition, he asked God to not let him “become poor” because it might cause him to dishonor God’s name by stealing from others (V. 9). Agur recognized God as his sole provider, and he asked Him for “just enough” to satisfy his daily needs. His prayer revealed a pursuit of God and the contentment that’s found in Him alone.
May we have Agur’s attitude, recognizing God as the provider of all we have. And as we pursue financial stewardship that honors His name, let’s live in contentment before Him—the One who not only provides “just enough,” but more than enough.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ROVERBS 30:7–9Give me neither poverty nor riches,
but give me only my daily bread. [ PROVERBS 30:8 ]
What can you do to pursue God and find contentment in Him?
How can you express your gratitude to Him for His faithfulness?
God, our Provider, help me to be satisfied with
everything You supply.
오늘의 말씀
12/16/2022 금요일
믿음의 유산
보고서의 편집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영적 성장에서... 어머니의 영향이 오래간다는 것을 거듭 말해주고 있습니다.” 이런 영향력은 성경에서도 발견됩니다.
바울은 그의 제자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에서 디모데의 믿음이 그의 외조모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에게서 왔다고 했습니다(디모데후서 1:5). 이것은 초대 교회의 지도자 디모데 개인의 삶에 두 여인이 미친 영향을 설명하는 아름 다운 이야기입니다. 그들 두 사람의 영향력은 바울이 디모데에게 한 다음과 같은 격려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너는 네가 누구에게서 배운 것을 알며 또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3:14-15).
강력한 영적 유산은 소중한 선물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디모데의 믿음을 자라게 한 것과 같은 선한 영향을 가정에서 받지 못했더라도, 우리의 영적 성장에 큰 영향을 주었던 다른 사람들이 우리 삶에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주변 사람들에게 진실한 믿음의 본보기가 되고 오래도록 전해질 유산을 남길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3-5이는 네 속에 거짓이 없는 믿음이 있음을 생각함이라 이 믿음은 먼저
네 외조모 로이스와 네 어머니 유니게 속에 있더니 [디모데후서 1:5]
당신의 영적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람은 누구입니까?
당신은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믿음으로 격려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 삶에 진실한 믿음의 본을 보여주신 분들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2/16/2022 FRIDAY
LEGACY OF FAITH
The report’s editor remarked, “Over and over, this study speaks to the enduring impact of mothers in . . . spiritual develop- ment.” It’s an impact we also discover in Scripture.
In Paul’s letter to his protégé Timothy, he acknowledged that Timothy’s faith was modeled to him by his grandmother Lois and his mother Eunice (2 TIMOTHY 1:5). It’s a delightful personal detail highlighting the impact of two women on one of the leaders of the early church. Their influence can also be seen in Paul’s encouragement to Timothy: “continue in what you have learned [because] from infancy you have known the Holy Scriptures” (3:14–15).
A strong spiritual heritage is a precious gift. But even if our upbringing lacked the kind of positive influences that helped form Timothy’s faith, there are likely others in our life who’ve had a profound impact in helping to shape our spiritual development. Most important, we all have the opportunity to model sincere faith to those around us and leave a lasting legacy.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2 TIMOTHY 1:3–5I am reminded of your sincere faith,
which first lived in your grandmother Lois
and in your mother Eunice. [ 2 TIMOTHY 1:5 ]
Who’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your spiritual development?
How can you encourage others in faith?
Father, thank You for the men and women in my life that have
modeled sincere faith.
오늘의 말씀
12/15/2022 목요일
평생 친구
쿠퍼와 뉴턴 사이의 깊은 우정은 구약성경의 다윗과 요나단의 우정과 닮아있습니다. 다윗이 골리앗을 물리쳤을 때 “요나단의 마음이 다윗의 마음과 하나가 되어” 그를 자기 생명과 같이 사랑했습니다(사무엘상 18:1). 요나단은 사울 왕의 아들이었지만 아버지에게 다윗을 왜 죽여야 하는지 물으며 왕의 질투와 분노에 맞서 다윗을 변호했습니다. 그로 인해 “사울이 요나단에게 단창을 던져 죽이려 하였습니다”(20:33). 요나단은 이것을 피했지만 자기의
친구가 이렇게 당하는 것이 부끄럽고 슬펐습니다(34절).
친구에 관한 위의 두 이야기는 친구로서 서로 격려하며 하나님을 섬길 때 목숨까지 내어주는 우정의 이야기입니다. 당신은 오늘 친구를 어떻게 이처럼 격려할 수 있습니까?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20:26-34[요나단은] 그의 아버지가 다윗을 욕되게 하였으므로
다윗을 위하여 슬퍼함이었더라 [사무엘상 20:34]
친구와의 우정은 당신의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줍니까?
어떻게 하면 다른 이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고
그들을 세워줄 수 있을까요?
예수님, 예수님과 친구로서의 우정과 사귐을 누릴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2/15/2022 THURSDAY
FRIENDS FOR LIFE
I see parallels between the strong friendship of Cowper and Newton with that of David and Jonathan in the Old Testament. After David defeated Goliath, “Jonathan became one in spirit with David,” loving him as himself (1 SAMUEL 18:1). Although Jonathan was the son of King Saul, he defended David against the king’s jealousy and anger, asking his father why David should be put to death. In response, “Saul hurled his spear at him to kill him” (20:33). Jonathan dodged the weapon and was grieved at this shameful treatment of his friend (V. 34).
For both sets of friends, their bond was life-giving as they spurred each other on to serve and love God. How might you similarly encourage a friend today?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1 SAMUEL 20:26–34[Jonathan] was grieved at his father’s shameful
treatment of David. [ 1 SAMUEL 20:34 ]
What role does friendship play in your sense of well-being?
How could you show God’s love to someone
and build them up?
Jesus, help me to enjoy Your friendship and fellowship.
오늘의 말씀
12/14/2022 수요일
그분의 손 안에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완전한 어둠 가운데 있는 하나의 푸른 점입니다. 그래서 불안해 보입니다. 샤트너는 푸른 하늘을 떠나 흑암으로 날아가는 것이 마치 죽음을 향하는 것과 같았다고 말했습니다. “순간 ‘아, 이게 죽음이구!’
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것이 제가 본 것이었습니다. 너무나 감동적이었습니다. 이것은 믿을 수 없는 경험입니다.”
샤트너에게 엄청난 충격을 준 우주비행은 삶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우리는 우주의 작은 존재이지만 빛을 창조하시고 빛과 어둠을 나누신 하나님(창세기 1:3-4)의 사랑을 받는 자들입니다.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흑암이 있는 곳과 거기로 가는 길을 아십니다(욥기 38:19-20). 하나님이 “땅의 기초를 놓을 때에 새벽 별들이 기뻐 노래하며 하나님의 아들들이 다 기뻐 소리를 질렀습니다”(4-7절).
온 우주를 손안에 두고 계신 하나님께 우리의 작은 삶을 맡깁시다.
오늘의 성구
욥기 38:4-21어느 것이 광명이 있는 곳으로 가는 길이냐
어느 것이 흑암이 있는 곳으로 가는 길이냐 [욥기 38:19]
광대한 우주를 생각하면 무엇이 떠오릅니까?
밤하늘에서 하나님의 어떤 점을 보게 됩니까?
하나님 아버지, 당신은 이 세상과 그 너머에 있는 모든 것을 다스리십니다.
당신의 권능 있는 사랑을 믿습니다.
Daily Article
12/14/2022 WEDNESDAY
IN HIS HANDS
Our planet is a blue dot surrounded by utter darkness. It’s unsettling. Shatner said that flying from blue sky into blackness was like flying into death. “In an instant, you go, ‘Whoa, that’s death!’ That’s what I saw. It was so moving to me. This experience, it’s something unbelievable.”
Shatner’s shattering flight puts life in perspective. We’re small objects in the universe, yet we’re loved by the One who created light and separated it from the darkness (GENESIS 1:3–4). Our Father knows where the darkness resides and the path to its dwelling (JOB 38:19–20). He “laid the earth’s foundation . . . while the morning stars sang together and all the angels shouted for joy” (VV. 4–7).
Let’s trust our small lives to the God who holds the whole universe in His hands.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OB 38:4–21What is the way to the abode of light?
And where does darkness reside? [ JOB 38:19 ]
What comes to mind as you consider the vastness of space?
What does the night sky reveal about God?
Father, You rule this world and all that lies beyond.
I trust Your powerful love.
오늘의 말씀
12/13/2022 화요일
삶의 의미
마르쿠스처럼 우리도 때로는 삶의 내리막길에서 죽음을 생각하면 절망감을 느낍니다(시편 88:3). 우리는 죽음이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한다는 데에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바로 여기에서 이야기가 갈라집니다. 마르쿠스와 달리 우리는 그리스도의 죽음에서 우리 삶의 진정한 의미를 발견한다는 것을 압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에서 자신의 피를 흘리심으로 사망을 이기셨으며 그것을 삼키고 승리하셨습니다(고린도전서 15:54). 우리에게 해독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수”(요한복음 4:10)입니다. 그것을 마심으로 삶과 죽음, 그리고 영생에 대한 모든 법칙이 바뀌었습니다(고린도전서 15:52).
그렇습니다. 우리는 육체의 죽음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요점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삶과 죽음에 대한 우리의 절망을 모두 뒤집어 놓으십니다(히브리서 2:11-15).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천국에 대한 소망과 주님과 영원토록 누릴 참된 기쁨에 대한 확실한 소망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5:50-58사망을 삼키고 이기리라
[고린도전서 15:54]
당신은 무엇을 걱정하고 있습니까? 죽음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듭니까?
고린도전서 15장을 통해 당신은 어떤 격려를 받습니까?
하나님, 당신과 함께 영원한 삶을 살도록 구원하시겠다는 약속을
붙들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13/2022 TUESDAY
THE MEANING OF LIFE
Like Marcus, we too sometimes despair over the decline of life and the prospect of death (PSALM 88:3). We agree that death gives significance to life. But this is where the stories diverge. Unlike Marcus, we know it’s in Christ’s death that we find the true meaning of our lives. With the shedding of His blood on the cross, Christ conquered death, swallowing it up in victory (1 CORINTHIANS 15:54). For us, the antidote is in the “living water” of Jesus Christ (JOHN 4:10). Because we drink that, all the rules of life, death, and life immortal have changed (1 CORINTHIANS 15:52).
It’s true, we won’t escape physical death, but that isn’t the point. Jesus upends all our despair about life and death (HEBREWS 2:11–15). In Christ, we’re reassured with the hope of heaven and of meaning-
ful joy in eternal life with Him.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5:50–58Death has been swallowed up in victory.
[ 1 CORINTHIANS 15:54 ]
What are you worried about? What are your thoughts
about the prospect of death? How does 1 Corinthians 15
encourage you?
God, help me to embrace Your promises about deliverance
into eternal life with You.
오늘의 말씀
12/12/2022 월요일
내게 들린 종소리
슬픔에서 희망으로 나오는 진행 방식은 성경에서 슬픔을 기록한 시편 가운데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편 43편은 시편 기자가 자기를 공격하는 원수(1절)와 자기를 잊으신 것 같은 하나님(2절)에 대해 부르짖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그러나 시인은 슬픔 가운데 머무르지 않습니다. 그는 완전히 이해는 안 되어도 여전히 신뢰하는 하나님을 바라보며 노래합니다. “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낙심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불안해 하는가 너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라 그가 나타나 도우심으로 말미암아 내 하나님을 여전히 찬송하리로다”(5절).
인생은 슬퍼할 이유들로 가득하고 우리 모두는 그것을 늘 경험합니다. 그러나 그 애통함 때문에 우리가 소망의 하나님께로 향하게 된다면 우리는 눈물을 흘려도 기쁘게 노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3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낙심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불안해 하는가 너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라 [시편 43:5]
지금 이 순간 어떤 고민을 하고 있습니까?
성경 말씀에 비추어볼 때 하나님께서 이 시기에
어떻게 소망을 주실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삶의 짐으로 힘겨워 아버지께 부르짖습니다.
나의 도움은 위에서, 곧 천지를 지으신 하나님에게서 온다는 것을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12/2022 MONDAY
I HEARD THE BELLS
The pattern of hope rising out of lament is also found in the lament psalms of the Bible. As such, Psalm 43 begins with the psalmist crying out about his enemies who attack him (V. 1) and his God who seems to have forgotten him (V. 2). But the singer doesn’t stay in lament—he looks up to the God he doesn’t fully understand but still trusts, singing, “Why, my soul, are you downcast? Why so disturbed within me? Put your hope in God, for I will yet praise him, my Savior and my God” (V. 5).
Life is filled with reasons for lament, and we all experience them on a regular basis. But, if we allow that lament to point us to the God of hope, we can sing joyfully—even if we sing through our tear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43Why, my soul, are you downcast?. . . Put your hope in God. [ PSALM 43:5 ]
What concerns are you experiencing in this moment?
From the testimony of Scripture, how can
I cry to You, Father, as I struggle under the burdens of life.
Remind me that my help comes from above, from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