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02/2023     목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9-30; 마태복음 21:23-46
찬송가: 453(통506)

우리의 훌륭한 스승처럼

흰 띠를 맨 세 살짜리 아이가 사범을 따라 가라테를 하는 영상이 인터넷에 널리 퍼졌습니다. 그 여자아이는 열정과 확신에 찬 목소리로 리더를 따라 가라테 선서를 했습니다. 그리고 그 귀엽고 에너지 넘치는 작은 아이는 사범이 하는 모든 말과 행동을 침착하고 주의 깊게 아주 잘 따라 했습니다!

예수님은 “제자가 그 선생보다 높지 못하나 무릇 온전하게 된 자는 그 선생과 같으리라”(누가복음 6:40)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자신을 본받아 관대하고, 사랑하고, 비판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37- 38절). 또한 “맹인이 맹인을 인도할 수 있느냐 둘이 다 구덩이에 빠지지 아니하겠느냐”(39절)고 하시면서 사람을 분별하여 따르라고 하셨습니다. 사람들을 파멸로 인도하는 눈먼 바리새인들에게는 예수님이 말씀하신 그런 자질이 없다는 것을 제자들은 분별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마태복음 15:14). 그리고 제자들은 그들의 스승인 예수님을 따르는 것의 중요성을 확실히 알아야 했습니다. 이처럼, 제자들의 목표는 예수님처럼 되는 것이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주의를 기울여 관용과 사랑에 대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배우고 적용하는 것이 그들에게 아주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오늘 예수님을 닮으려고 애쓰는 믿는 자로서, 주님의 지식과 지혜와 행동을 본받기 위해 우리의 가장 크신 스승이신 주님께 우리의 삶을 맡기도록 합시다. 주님만이 우리 삶에 그의 관용과 사랑이 나타나게 도우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6:37-42
제자가 그 선생보다 높지 못하나 무릇 온전하게 된 자는 그 선생과 같으리라
[누가복음 6:40]

요즈음 예수님의 어떤 부분을 닮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까?
가장 크신 스승인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이 언제 가장 어렵습니까?

위대한 스승이신 예수님, 주님께 합당한 훈련과 집중을 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02/2023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9–30; MAT THEW 21:23–46
Hymn: 453(old 506)

LIKE OUR GREAT TEACHER

In a viral video, a three-year-old white belt karate student imitated her instructor. With passion and conviction the little girl said the student creed with her leader. Then, with poise and attentiveness, the little ball of cuteness and energy imitated everything her teacher said and did—at least she did a pretty good job!

Jesus once said, “The student is not above the teacher, but everyone who is fully trained will be like their teacher” (LUKE 6:40). He told His disciples that to imitate Him included being generous, loving, nonjudgmental (VV. 37–38), and discerning about whom they followed: “Can the blind lead the blind? Will they not both fall into a pit?” (V. 39). His disciples needed to discern that this standard disqualified the Pharisees who were blind guides—leading people to disaster (MATTHEW 15:14). And they needed to grasp the importance of following their Teacher. Thus, the aim of Christ’s disciples was to become like Jesus Himself. So it was important for them to pay careful attention to Christ’s instruction about generosity and love and apply it.

As believers striving to imitate Jesus today, let’s give our lives over to our Master Teacher so we can become like Him in knowledge, wisdom, and behavior. He alone can help us reflect His generous, loving way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LUKE 6:37–42
The student is not above the teacher, but everyone who is fully trained will be like their teacher.
[ LUKE 6:40 ]

What parts of Jesus’ life are you seeking to imitate these days?
When is it most difficult for you to imitate Christ, the Master Teacher?

Jesus, my Great Teacher, help my discipline and attentiveness to be worthy of You!

오늘의 말씀

02/01/2023     수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7-28; 마태복음 21:1-22
찬송가: 272(통330)

눈물 속의 축복

영국의 한 젊은이가 이메일을 보내왔습니다. 63세밖에 안 된 아버지가 위독해서 병원에 입원했는데 생명이 위태롭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우리 둘이 만난 적은 없었지만 그의 아버지와 내가 하는 일이 많이 비슷했습니다. 그는 자기 아버지에게 용기를 주려고 나에게 격려와 기도의 영상 메시지를 부탁했습니다. 마음에 감동을 느낀 나는 쾌유를 비는 짧은 메시지와 기도를 담은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그의 아버지가 그 영상을 보고 진심으로 좋아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틀 후 안타깝게도 그의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그분은 부인의 손을 잡고 마지막 숨을 거두었다고 했습니다.

나는 그 가족의 커다란 사랑과 슬픔에 마음이 아팠습니다. 그들은 남편과 아버지를 너무 일찍 여의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예수님은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다”(마태복음 5:4)고 말씀하시며 바로 이렇게 슬퍼하는 자들이 복이 있는 자들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고통이나 슬픔이 좋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가 그것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부어진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사별로 인하여, 더 나아가 자신의 죄로 인해 슬퍼하는 사람들이 바로 하나님의 관심과 위로가 가장 필요한 사람들입니다. 예수님은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4절)이라고 우리에게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은 그의 사랑하는 자녀인(9절) 우리에게 다가오시며, 애통해 하는 우리를 축복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1-12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마태복음 5:4]

당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삶에 어떤 슬픔이 있습니까?
예수님이 약속하신 축복을 믿을 때 그 슬픔이 어떻게 달리 보입니까?

하나님, 슬픔과 애통에 젖어 있지만, 눈물 속에서도 하나님의 축복을 경험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2/01/2023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7–28; MAT THEW 21:1–22
Hymn: 272(old 330)

BLESSING IN THE TEARS

I received an email from a young man in England, a son who explained that his father (only sixty-three) was in the hospital in critical condition, hanging on to life. Though we’d never met, his dad’s work and mine shared many intersections. The son, trying to cheer his father, asked me to send a video message of encouragement and prayer. Deeply moved, I recorded a short message and a prayer for healing. I was told that his dad watched the video and gave a hearty thumbs-up. Sadly, a couple days later, I received another email telling me that he had died. He held his wife’s hand as he took his final breath.

My heart broke. Such love, such devastation. The family lost a husband and father far too soon. Yet it’s surprising to hear Jesus insist that it’s precisely these grieving ones who are blessed: “Blessed are those who mourn,” Jesus says (MATTHEW 5:4). Jesus isn’t saying suffering and sorrow are good, but rather that God’s mercy and kindness pour over those who need it most. Those overcome by grief due to death or even their own sinfulness are most in need of God’s attention and consolation—and Jesus promises us “they will be comforted” (V. 4).

God steps toward us, His loved children (V. 9). He blesses us in our tears.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MAT THEW 5:1–12
Blessed are those who mourn.
[ MATTHEW 5:4 ]

What places do you encounter sorrow in your story and in others’ stories?
How does Jesus’ promise of blessing alter how you view this grief?

God, I am awash in grief and sorrow. Please help me to experience Your blessing even in the tears.

오늘의 말씀

01/31/2023     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5-26; 마태복음 20:17-34
찬송가: 429(통489)

축복의 주관자

1919년 1월 15일, 보스턴에서 거대한 당밀 저장 탱크가 폭발했습니다. 그 사고로 200만 갤런(약 760만 리터)이 넘는 당밀이 15피트(약 4.6 미터) 높이의 파도를 이루며 시속 30마일(48 킬로미터)이 넘는 속도로 도로를 덮쳐서 철도와 건물, 사람들과 가축을 휩쓸었습니다. 당밀로 인한 피해가 있으리라고는 상상도 못했지만, 이날의 사고는 21명의 사망자와 150명이 넘는 부상자를 발생시켰을 정도로 끔찍했습니다.

당밀같이 우리에게 유익한 것도 예기치 않게 우리를 해칠 수 있습니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이 약속해 주신 땅에 들어가기에 앞서 그들이 누리게 될 좋은 것들을 그들 자신의 공로로 돌리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네가 먹어서 배부르고 아름다운 집을 짓고 거주하게 되며 또 네 소와 양이 번성하며 네 은금이 증식되며 네 소유가 다 풍부하게 될 때에 네 마음이 교만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잊어버릴까 염려하노라.”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의 힘과 능력으로 부를 얻었다고 말하지 말아야 했습니다. 모세는 그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그가 네게 재물 얻을 능력을 주셨음이라”(신명기 8:12–14, 17–18).

우리의 건강과 생계를 위한 기술 등, 모든 좋은 것들은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온 축복입니다. 우리가 열심히 일할 때라도 우리를 주관하시는 분은 바로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감사함으로 찬양하며 우리에게 주시는 축복을 꼭 붙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8:10-18
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신명기 8:18]

오늘 하나님의 인자하신 어떤 모습에 감사하고 있습니까?
당신이 받은 복으로 누구를 도울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매 순간 저를 붙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깨닫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것을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31/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5–26; MAT THEW 20:17–34
Hymn: 429(old 489)

SUSTAINER OF BLESSINGS

On January 15, 1919, a huge molasses tank burst in Boston. A fifteen-foot wave of more than two million gallons of molasses careened through the street at over 30 mph, sweeping away railcars, buildings, people, and animals. Molasses might seem harmless enough, but that day it was deadly: 21 people lost their lives with more than 150 injured.

Sometimes even good things—like molasses—can overwhelm us unexpectedly. Before the Israelites entered the land God promised them, Moses warned the people to be careful not to take credit for the good things they’d receive: “When you eat and are satisfied, when you build fine houses and settle down, and when your herds and flocks grow large and your silver and gold increase . . . , then your heart will become proud and you will forget the Lord your God.” They weren’t to attribute this wealth to their own strength or capabilities. Instead, Moses said, “Remember the Lord your God, for it is he who gives you the ability to produce wealth” (DEUTERONOMY 8:12–14, 17–18).

All good things—including physical health and the skills needed to earn a living—are blessings from the hand of our loving God. Even when we’ve worked hard, it’s He who sustains us. Oh, to hold our blessings with open hands, that we may gratefully praise God for His kindness to us!
- JAMES BANKS

Today's Reading

DEUTERONOMY 8:10–18
Remember the Lord your God.
[ DEUTERONOMY 8:18 ]

What kindnesses from God are you thankful for today?
Who can you help with a blessing you’ve received?

Thank You, Father, for sustaining me every moment.
Please help me to recognize Your kindness, so I may share it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1/30/2023     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3-24; 마태복음 20:1-16
찬송가: 370(통455)

탈진해 지쳤을 때

전 세계적인 보건 위기 속에서 간호사로서 겪는 엄청난 절망감을 얘기하다가 친구는 눈물을 흘리며 말했습니다. “이제 더 이상 못할 것 같아. 하나님께서 나를 간호사로 부르신 것은 알겠지만 난 너무 지쳤고 정신적으로 메말라버렸어.” 완전히 탈진해 있는 친구를 보며 나는 말했습니다. “지금 너무 어려운 상황이라 그래. 하지만 하나님께 네가 어떻게 해야 할지 알려달라고, 그리고 견딜 수 있는 힘을 달라고 기도하자.” 그러자 친구는 열심히 기도하며 하나님을 찾아보겠다고 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친구는 새로운 소명을 갖고 활기를 되찾았습니다. 간호사의 일을 계속할 용기를 얻었을 뿐 아니라, 전국 곳곳의 병원을 다니며 더 많은 사람들을 섬길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힘도 더해 주셨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과중한 짐으로 고단할 때 언제나 하나님을 바라봄으로 도움과 용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분은 “피곤하지 않으시며 곤비하지 않으시기”(이사야 40:28) 때문입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께서 “피곤한 자에게는 능력을 주시며 무능한 자에게는 힘을 더하신다”(29절)고 말합니다. 하나님의 능력은 영원하지만, 하나님은 우리가 언젠가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지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잘 아십니다(30 절). 삶의 어려움을 혼자 헤쳐 나가려고 애쓰지 않고 하나님께 힘을 달라고 간구하면, 그분은 우리를 회복시키고 새롭게 하시며 믿음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의지를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0:28-31
달음박질하여도 곤비하지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하지 아니하리로다
[이사야 40:31]

당신은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을 혼자 해결하려고 노력한 적이 있습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삶의 문제를 감당할 수 없을 때 저를 도와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30/2023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3–24; MAT THEW 20:1–16
Hymn: 370(old 455)

RUNNING ON EMPTY

“I just don’t think I can do this anymore,” my friend said through her tears as she discussed the overwhelming sense of hopelessness she faced as a nurse in a global health crisis. “I know that God has called me to nursing, but I’m overwhelmed and emotionally drained,” she confessed. Seeing that a cloud of exhaustion had come over her, I responded, “I know you feel helpless right now, but ask God to give you the direction you’re seeking and the strength to persevere.” At that moment, she decided to intentionally seek God through prayer. Soon after, my friend was invigorated with a new sense of purpose. Not only was she emboldened to continue nursing, but God also gave her the strength to serve even more people by traveling to hospitals around the country.

As believers in Jesus, we can always look to God for help and encouragement when we feel overburdened because “He will not grow tired or weary” (ISAIAH 40:28). The prophet Isaiah states that our Father in heaven “gives strength to the weary and increases the power of the weak” (V. 29). Though God’s strength is everlasting, He knows that we’ll inevitably have days when we’re physically and emotionally consumed (V. 30). But when we look to God for our strength instead of trying to sprint through life’s challenges alone, He’ll restore and renew us and give us the resolve to press on in faith.
- KIMYA LODER

Today's Reading

ISAIAH 40:28–31
They will run and not grow weary, they will walk and not be faint.
[ ISAIAH 40:31 ]

When have you tried to handle overwhelming situations alone?
How might you look to God for help?

Dear God, thank You for helping me when the challenges of life seem unbearable.

오늘의 말씀

01/29/2023     주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1-22; 마태복음 19
찬송가: 368(통486)

공포의 7분

2021년 2월 18일, 화성 탐사선 퍼서비어런스가 착륙할 당시 착륙을 지켜보던 이들은 “공포의 7분”을 견뎌야 했습니다. 탐사선은 2억 9 천2백만 마일(4억 7천만 킬로미터)의 여정을 끝낸 후 탐사선 스스로 복잡한 착륙 절차를 완료하는데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화성에서 지구까지 신호가 도달하려면 몇 분이 걸리기 때문에 미 항공우주국은 착륙이 진행되는 동안 퍼서비어런스로부터 온 소식을 지구에서 받으려면 적어도 몇 분간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이 일에 엄청난 노력과 자원을 쏟아부었던 팀에게 연락 두절은 정말로 끔찍한 상황이었습니다.

때로는 우리도 하나님께 기도를 드렸지만 응답을 받지 못할 때 두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성경에서 기도 응답을 속히 받았던 인물과(다니엘 9:20-23 참조), 오랜 기간 응답을 받지 못했던 인물(사무엘상 1:10-20의 한나의 이야기 참조), 두 경우를 모두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도 응답이 지연됨으로 가장 안타까웠던 예는 아마도 병든 오빠 나사로를 도와달라고 예수님께 간청했을 때의 마리아와 마르다 마음에 생겼던 두려움이었을 것입니다(요한복음 11:3). 예수님이 늦게 오셨고, 결국 나사로는 죽었습니다(6-7절, 14-15절). 하지만 나흘 뒤 예수님은 나사로를 부활시키심으로써 그 간구에 응답해 주셨습니다 (43-44절).

기도의 응답을 기다리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긍휼하심을 받고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얻기 위하여 [그의] 은혜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갈 때”(히브리서 4:16)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로하시고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38-43
그러므로 우리는 긍휼하심을 받고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얻기 위하여 은혜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갈 것이니라
[히브리서 4:16]

기도하지만 응답이 없는 것 같은 당신의 기도 제목은 무엇입니까?
응답을 기다릴 때 하나님께서 당신의 믿음을 어떻게 성장시켜 주십니까?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은 저의 마음을 아십니다.
하나님의 응답을 믿음으로 기다릴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9/2023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1–22; MAT THEW 19
Hymn: 368(old 486)

SEVEN MINUTES OF TERROR

When the Mars rover Perseverance landed on that red planet on February 18, 2021, those monitoring its arrival endured “seven minutes of terror.” As the spacecraft ended its 292- million-mile journey, it went through a complex landing procedure it had to do on its own. Signals from Mars to Earth take several minutes, so NASA couldn’t hear from Perseverance during the landing. Not being in contact was frightening for the team who had put so much effort and resources into the mission.

Sometimes we may experience our own times of fear when we feel we’re not hearing from God—we pray but we don’t get answers. In Scripture, we find people getting answers to prayer quickly (SEE DANIEL 9:20–23) and those not getting answers for a long time (see Hannah’s story in 1 Samuel 1:10–20). Perhaps the most poignant example of a delayed answer—one that surely struck terror in the hearts of Mary and Martha—was when they asked Jesus to help their sick brother Lazarus (JOHN 11:3). Jesus delayed, and their brother died (VV. 6–7, 14–15). Yet four days later, Christ answered by resurrecting Lazarus (VV. 43–44).

Waiting for answers to our prayers can be difficult. But God can comfort and help as we “approach [His] throne of grace with confidence, . . . [that] we may receive mercy and find grace to help us in our time of need” (HEBREWS 4:16).
- DAVE BRANON

Today's Reading

JOHN 11:38–43
Let us then approach God’s throne of grace with confidence, so that we may receive mercy and find grace to help us in our time of need.
[ HEBREWS 4:16 ]

What are you praying for, but the answer doesn’t seem to be coming?
How can God increase your faith as you wait on Him?

Loving God, You know what’s on my heart.
Please help me trust You as I await Your answer.

오늘의 말씀

01/28/2023     토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9-20; 마태복음 18:21-35
찬송가: 218(통369)

분홍색 코트

브랜다는 쇼핑몰을 나서다가 진열창에서 분홍빛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돌아서는 순간 “솜사탕색 코트” 앞에서 넋을 잃고 말았습니다. 와, 할리가 정말 좋아하겠다! 브랜다 생각에 미혼모인 직장 동료 할리가 따뜻한 코트가 필요하지만 재정상태가 넉넉지 못한 그녀가 자신을 위해 돈을 쓰지는 않을 것 같았습니다. 잠시 머뭇거린 후 브랜다는 미소를 머금고 지갑을 꺼냈습니다. 그 코트를 사서 할리의 집으로 배송시키면서, “당신은 정말 사랑받고 있어요”라고 적힌 카드를 익명으로 동봉했습니다. 브랜다는 거의 춤을 추며 주차장으로 향했습니다.

기쁨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마음으로 베풀 때 생기는 부산물입니다. 바울은 고린도 성도들에게 베풂의 방법을 가르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각각 그 마음에 정한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으로나 억지로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즐겨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고린도후서 9:7). 그리고 “많이 심는 자는 많이 거둔다”(6절)고도 했습니다.

우리는 헌금 바구니에 현금을 넣기도 하고, 귀한 사역에 온라인으로 기부를 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으로 친구의 필요를 채워주도록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도하실 때도 있습니다. 그것은 식료품 한 봉지나 자동차 기름을 채워주는 것이거나... 혹은 완벽한 분홍색 코트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9:6-9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라
[고린도후서 9:7]

오늘 누구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내시겠습니까?
관대히 베풀 때 어떻게 더 큰 기쁨으로 돌아오게 될까요?

사랑의 하나님, 당신의 아들을 선물로 주셨기에 저도 다른 이들에게 베풀기를 원합니다.
다른 사람의 필요를 채우도록 이끄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따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28/2023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9–20; MAT THEW 18:21–35
Hymn: 218(old 369)

THE PINK COAT

Brenda was walking toward the mall exit when a flush of pink from a display window caught her eye. She turned and stood spellbound before a “cotton-candy-colored coat.” Oh, how Holly would love it! Finances had been tight for her coworker friend who was a single mother, and while Brenda knew Holly needed a warm coat, she was also confident that her friend would never lay down cash on such a purchase for herself. After wavering ever so slightly, Brenda smiled, reached for her wallet, and arranged for the coat to be shipped to Holly’s home. She added an anonymous card, “You are so very loved.” Brenda practically danced to her car.

Joy is a by-product of God-nudged giving. As Paul instructed the Corinthians in the art of generosity, he said, “Each of you should give what you have decided in your heart to give, not reluctantly or under compulsion, for God loves a cheerful giver” (2 CORINTHIANS 9:7). He also noted, “Whoever sows generously will also reap generously” (V. 6).

Sometimes we slip cash into the offering plate. At other times we donate online to a worthy ministry. And then there are moments when God leads us to respond to the need of a friend with a tangible expression of His love. We offer a bag of groceries, a tank of gas . . . or even the gift of a perfectly pink coat.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9:6–9
Each of you should give what you have decided in your heart to give . . . for God loves a cheerful giver.
[ 2 CORINTHIANS 9:7 ]

Who might you show God’s love to today?
How can your generosity bubble up in joy as a return gift to you?

Loving Father, You gave me the gift of Your Son, and so I want to give to others.
May I respond to Your gentle nudge to meet the needs of another.

오늘의 말씀

01/27/2023     금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6-18; 마태복음 18:1-20
찬송가: 304(통404)

너와 나를 위한 자비

코로나 19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유람선들이 항구에 머무르고 승객들은 격리되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몇몇 관광객과의 인터뷰를 기사에 다루었습니다. 한 승객은 격리로 인해 많은 대화의 기회가 생겼다고 말하며, 비상한 기억력을 가진 아내가 그의 과거의 잘못을 낱낱이 끄집어냈는데도 아직 더 남은 것 같다고 농담했습니다.

이 기사는 우리를 웃음 짓게 하고 인간미를 느끼게 해 주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내려놓아야 할 것들을 세게 움켜쥐고 있는 모습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해줍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상처를 준 사람들에 대한 감정을 어떻게 잘 정리해야 할까요? 시편 103:8-12에 묘사된 위대하신 하나님의 모습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8-10절에 담긴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호와는 긍휼이 많으시고 은혜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고 인자하심이 풍부하시도다 자주 경책하지 아니하시며 노를 영원히 품지 아니하시리로다 우리의 죄를 따라 우리를 처벌하지는 아니하시며 우리의 죄악을 따라 우리에게 그대로 갚지는 아니하셨으니.” 기도하는 마음으로 말씀을 읽으며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면 앙심이나 복수하려는 계획을 다시 생각해 보게 되며, 은혜나 자비, 용서 대신 해를 끼치고 싶었던 사람들이나 우리 자신을 위해 더 기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3:8-12
자주 경책하지 아니하시며 노를 영원히 품지 아니하시리로다
[시편 103:9]

받은 상처를 되갚아주고 싶었던 사람이 있습니까?
누구에게 당신을 위한 기도 부탁을 할 수 있습니까?

자비와 친절과 용서의 하나님, 저에게 아픔을 준 사람들에게 은혜와 자비를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7/2023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6–18; MAT THEW 18:1–20
Hymn: 304(old 404)

MERCY FOR YOU AND ME

One of consequences of the COVID-19 pandemic was the docking of cruise ships and the quarantining of passengers. The Wall Street Journal featured an article that included interviews of some of the tourists. Commenting about how being quarantined provided more opportunities for conversations, one passenger joked how his spouse—who possessed an excellent memory—was able to bring up every transgression he ever had and sensed she wasn’t done yet!

Accounts like this might make us smile, remind us of our humanness, and serve to caution us if we’re prone to hold too tightly to the things we should release. Yet what helps us to be kindly disposed to those who hurt us? Glimpses of our great God, as He’s portrayed in passages like Psalm 103:8–12.

The Message’s rendering of verses 8–10 is noteworthy: “God is sheer mercy and grace; not easily angered, he’s rich in love. He doesn’t endlessly nag and scold, nor hold grudges forever. He doesn’t treat us as our sins deserve, nor pay us back in full for our wrongs.” Asking for God’s help as we prayerfully read Scripture can cause us to have second thoughts about ill-conceived payback or plans to punish. And it can prompt prayers for ourselves and for those we may be tempted to harm by withholding grace, mercy, and forgiveness.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103:8–12
He will not always accuse, nor will he harbor his anger forever.
[ PSALM 103:9 ]

Who have you been tempted to harm because of the hurt they’ve caused you?
Who can you ask to pray for you?

God of mercy, kindness, and forgiveness, please help me to extend grace and mercy to those who’ve caused me pain.

오늘의 말씀

01/26/2023     목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4-15; 마태복음 17
찬송가: 251(통137)

용서하는 사랑

결혼 80주년! 남편의 작은 할아버지 부부 피트와 룻은 2021년 5월 31 일에 이 놀라운 기념일을 축하했습니다. 룻이 아직 고등학생이었던 1941년에 우연히 만난 두 사람은 너무나 결혼을 원했던 나머지 룻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다음날 함께 집을 나가버렸습니다. 피트와 룻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짝지어 주셨고 이제껏 그들을 인도해 주셨다고 믿습니다.

80년의 결혼 생활을 회고하면서 피트와 룻은 결혼 생활을 이어올 수 있었던 열쇠는 바로 용서를 택하는 것이었다고 둘 다 동의합니다.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가시 돋친 말이나 약속을 어기는 것, 해야 할 일을 잊어버리는 것 등으로 우리가 서로 상처를 주는 것에 대해 그때마다 용서가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압니다.

예수님을 믿는 성도들이 연합하여 함께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록된 성경의 한 부분에서 바울은 용서가 주는 꼭 필요한 역할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바울은 서신을 읽는 이들에게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골로새서 3:12)을 택하라고 강권한 후, “너희 중에 누가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서하라”(13절)는 권면을 덧붙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서로 간의 이 모든 소통이 사랑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14절).

바울이 서술한 특성들을 본받는 인간관계는 그 자체가 축복입니다. 우리 모두가 사랑과 용서의 모습으로 드러나는 건강한 인간관계를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도와주시기를 간구합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4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골로새서 3:13]

당신은 누군가를 용서하거나 용서를 받음으로 치유를 경험해 보셨습니까?
서로 용서하고 신뢰함으로 어떻게 인간관계가 견고해질 수 있을까요?

예수님, 주님께서 저를 용서하신 것처럼 저도 다른 사람들을 용서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6/2023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4–15; MAT THEW 17
Hymn: 251(old 137)

LOVE THAT FORGIVES

Eighty years of marriage! My husband’s great-uncle Pete and great-aunt Ruth celebrated this remarkable milestone on May 31, 2021. After a chance meeting in 1941 when Ruth was still in high school, the young couple were so eager to get married that they eloped the day after Ruth graduated. Pete and Ruth believe God brought them together and has guided them all these years.

Reflecting on eight decades of marriage, Pete and Ruth both agree that one key to sustaining their relationship has been the decision to choose forgiveness. Anyone in a healthy relationship understands that we all regularly need forgiveness for the ways we hurt each other, whether through an unkind word, a broken promise, or a forgotten task.

In a section of Scripture written to help believers in Jesus live together in unity, Paul refers to the essential role forgiveness plays. After urging his readers to choose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COLOSSIANS 3:12), Paul adds the encouragement to “forgive one another if any of you has a grievance” (V. 13). Most importantly, all their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were to be guided by love (V. 14).

Relationships that model the characteristics outlined by Paul are a blessing. May God help all of us work to cultivate healthy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love and forgiveness.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COLOSSIANS 3:12–14
Bear with each other and forgive one another.
[ COLOSSIANS 3:13 ]

How have you experienced healing through forgiving or being forgiven?
How are relationships strengthened through practicing both forgiveness and accountability?

Jesus, help me to forgive others just as You’ve forgiven me.

오늘의 말씀

01/25/2023     수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2-13; 마태복음 16
찬송가: 449(통377)

“눈에 멋있어 보이는” 것과의 싸움

1960년대 TV 시리즈 ‘앤디 그리피스 쇼’에서 어떤 사람이 앤디에게 그의 아들 오피가 삶의 방식을 스스로 선택하도록 놔두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앤디는 그 말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어린아이가 스스로 결정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아이는 반짝이는 리본이 달린 가장 눈에 멋있어 보이는 것을 택할 겁니다. 그러다가 그 안에 덫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릴 때에는 너무 늦지요. 나쁜 생각은 아주 반짝이는 포장지에 싸여 있어서 다른 것이 결국에는 더 나을 수 있다고 아이들을 설득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앤디는 부모가 바른 행동으로 본을 보이고 “유혹을 물리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앤디의 말은 잠언에 나오는 지혜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22:6). 많은 사람들이 이 말씀을 언약으로 여기지만, 실제로 이것은 가르침입니다. 예수님을 믿는 것은 우리 모두의 스스로의 결정이지만, 우리는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말씀을 통해 그들 안에 성경적 기초가 세워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또 우리가 양육하는 아이들이 성장하여 그리스도를 구주로 받아들이고 “악인의 길”(5절)이 아닌 주님의 길을 걸을 수 있도록 기도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성령님의 능력으로 ‘눈에 멋있어 보이는 것’을 이기는 것도 진정 힘 있는 간증입니다. 예수님의 영은 우리가 유혹을 이겨내게 도와주시고, 닮고 싶은 본이 되도록 우리의 삶을 빚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2:1-6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잠언 22:6]

잠언 22장 6절 말씀이 언약이 아니라 지혜의 원칙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왜 도움이 됩니까?
당신은 누구를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삶에 허락하신 자녀의 마음에 주님의 가치를 심어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5/2023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2–13; MAT THEW 16
Hymn: 449(old 377)

FIGHTING “FLASHY” THINGS

In the 1960s-era TV series The Andy Griffith Show, a man tells Andy he should let his son Opie decide how he wants to live. Andy disagrees: “You can’t let a young’un decide for himself. He’ll grab at the first flashy thing with shiny ribbons on it. Then, when he finds out there’s a hook in it, it’s too late. Wrong ideas come packaged with so much glitter that it’s hard to convince them that other things might be better in the long run.” He concludes that it’s important for parents to model right behavior and help “keep temptation away.”

Andy’s words are related to the wisdom found in Proverbs: “Start children off on the way they should go, and even when they are old they will not turn from it” (22:6). Although many may read these words as a promise, they’re really a guide. All of us are called to make our own decision to believe in Jesus. But we can help lay a biblical foundation through our love for God and Scripture. And we can pray that as the little ones under our care mature, they choose to receive Christ as Savior and walk in His ways and not “in the paths of the wicked” (V. 5).

Our own victory over “flashy things” through the Holy Spirit’s enabling is also powerful testimony. Jesus’ Spirit helps us to withstand temptation and molds our lives into examples worth imitating.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PROV ERBS 22:1–6
Start children off on the way they should go, and even when they are old they will not turn from it.
[ PROVERBS 22:6 ]

Why is it helpful to remember that Proverbs 22:6 isn’t a promise but a wise principle?
Who can you help to “train up”?

Dear Father, help me to instill Your values into the hearts of the children You’ve placed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1/24/2023     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9-11; 마태복음 15:21-29
찬송가: 436(통493)

헛되지 않은 삶

내 친구 루엘은 어느 날 학교 동창의 집에서 모이는 고등학교 동창회에 참석했습니다. 마닐라 해변가에 위치한 친구의 집은 이백 명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큰 저택이었는데, 그 사실에 루엘은 자신이 초라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루엘이 내게 말했습니다. “외딴 시골 교회에서 목회를 하면서 나는 여러 해 동안 행복한 시간을 보냈어. 그런데 쓸데없는 생각인 줄 알면서도 그 동창의 재력을 부러워하지 않을 수 없었어. 만약 내 학위로 사업가가 되었다면 난 지금과 얼마나 다르게 살고 있을까 하는 생각에 빠져버리고 말았지.”

루엘은 미소를 지으면서 이야기를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그것은 부러워할 일이 아니라고 나 자신을 다독였어. 난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인생을 바쳤고 그 결과는 영원할 거니까.” 이 고백을 하는 순간 루엘의 평온해 보이던 얼굴을 나는 잊을 수 없습니다.

루엘은 마태복음 13:44-46에 나오는 예수님의 비유에서 평안을 얻었습니다. 그는 궁극적인 보물은 하나님의 나라라는 것을 깨달은 것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며 사는 삶의 모습은 실로 다양합니다. 어떤 이에게는 전임 사역일 수도 있고, 또 어떤 이에게는 세상 속에서 직장 생활을 하며 복음을 실천하는 삶일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어떻게 사용하시든지 우리는 예수님의 비유에 등장하는 사람들처럼 우리가 받은 썩지 않는 보물의 가치를 알고 꾸준히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믿고 따라야 합니다. 세상의 그 어떤 것도 하나님을 따르며 얻는 유익보다 더 가치 있는 것은 없습니다(베드로전서 1:4-5).

우리의 삶은 하나님의 손길 안에서 영원한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3:44-46
천국은 마치 보화와 같으니
[마태복음 13:44]

하나님을 따르기 위해 당신은 무엇을 포기해야만 했습니까?
마태복음 13:44-46 말씀이 당신을 어떻게 격려해 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주님 안에서 찾은 보물로 인해 매일의 삶이 축제가 되게 해 주소서.

Daily Article

01/24/2023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9–11; MAT THEW 15:21–29
Hymn: 436(old 493)

NO LOSS

My friend Ruel attended a high school reunion held in a former classmate’s home. The waterfront mansion near Manila Bay could accommodate two hundred attendees, and it made Ruel feel small.

“I’ve had many happy years of pastoring remote rural churches,” Ruel told me, “and even though I know I shouldn’t, I couldn’t help but feel envious of my classmate’s material wealth. My thoughts strayed to how different life might be if I’d used my degree to become a businessman instead.”

“But I later reminded myself there’s nothing to feel envious about,” Ruel continued with a smile. “I invested my life in serving God, and the results will last for eternity.” I’ll always remember the peaceful look on his face as he said those words.

Ruel drew peace from Jesus’ parables in Matthew 13:44−46. He knew that God’s kingdom is the ultimate treasure. Seeking and living for His kingdom might take various forms. For some, it might mean full-time ministry, while for others, it may be living out the gospel in a secular workplace. Regardless of how God chooses to use us, we can continue to trust and obey His leading, knowing, like the men in Jesus’ parables, the value of the imperishable treasure we’ve been given. Everything in this world has infinitely less worth than all we gain by following God (1 PETER 1:4−5).

Our life, when placed in His hands, can bear eternal fruit.
- KAREN HUANG

Today's Reading

MAT THEW 13:44–46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treasure.
[ MATTHEW 13:44 ]

What have you had to live without for the sake of following God?
How does Matthew 13:44–46 encourage you?

Father, let each day of my life be a celebration of the treasure I’ve found in You.

Pages